$\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GPS 정밀단독측위 성과의 보정을 위한 기준시점 조정모델 개발
Development of Reference Epoch Adjustment Model for Correction of GPS Precise Point Positioning Result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0 no.3, 2012년, pp.249 - 258  

성우진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황진상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조재명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정적 측지기준계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GPS 정밀단독측위 해석 결과에 정적 측지기준계의 기준시점으로부터 지진이나 지각변동에 의해 발생한 위치의 변동량을 보정함으로써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GPS상시관측소 중 14개소를 선정하여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약 10년간의 일별 GPS데이터에 대하여 GIPSY-OASIS II를 이용한 정밀단독측위 해석을 실시하고 이로부터 GPS상시관측소의 지각변동량을 결정하였다. 이로부터 SOPAC에서 채택하고 있는 지각변동모델식의 파라미터를 계산함으로써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하여진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적용한 결과 GPS상시관측소의 위치는 약 12mm의 정확도로 결정할 수 있었으며, 일반 측량점의 위치는 약 16mm의 정확도로 결정할 수 있다. 향후 보다 많은 GPS상시관측소의 데이터 처리를 통하여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결정할 경우 지진이나 지각변동에 의하여 변동된 측량점의 위치를 실용적인 정확도 범위 내에서 GPS 정밀단독측위에 의하여 정적 측지계 기준의 좌표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poch adjustment model was developed to correct GPS precise point positioning result to be suitable for the current geodetic datum of Korea which is tied at past epoch statically. The model is based on the formula describing crustal movements, and the formula is composed of seve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최근들어 GPS 측위 기술 및 해석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인해 가능해진 GPS 고정밀 단독측위(precise point positioning)에서는 계산된 현 시점의 측점위치를 특정시점으로 조정하기 위한 상대적인 기준이 계산과정에서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조정과정과 방법이 고려되어져야 한다(Khan,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처리 및 실시간 단독측위에 있어서 지각변동량을 고려한 기준시점 기반의 좌표로 조정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활용 가능한 조정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단독측위 정밀해석 소프트웨어인 GIPSY-OASISII를 이용하여 국내 GPS상시관측소 14점에 대한 약 10년 간의 GPS 데이터를 해석하고 이로부터 GPS상시관측소의 년간 변동량을 계산하고, 우리나라의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구하였다.
  • 그러나 작은 변동량이라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크기가 누적되면 이는 결국 위치 오차로 나타나기 때문에 정밀 측지측량을 위해서는 이러한 변동량을 보정하거나 기준계와 좌표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정적 측지기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각변동 및 지진에 의한 위치의 변화를 고려한 기준시점 조정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GPS상시관측소 14개소의 10년간의 일별 정밀단독측위 해석 결과, 우리나라 지각변동량의 평균 속도는 3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지각변동 속도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결정하기 위하여 국내 GPS상시관측소 14개소에 대한 약 10년간(2000년 1월 1일 2011년 5월 31일)의 일별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GPS상시관측소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1995년부터 구축 운영하기 시작한 GPS상시관측소 중 지각변동에 의한 변화량을 제외한 인위적 또는 물리적 변동요인이 없었고 데이터 손실률이 적은 14개소를 선정하였다(그림 2).

가설 설정

  • 정적기준계는 지구상에 위치하는 제점의 위치가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변화되지 않고 고정된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심 및 지각은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정은 엄밀하게는 잘못된 가정이다.
  • 준동적 기준계는 시간변화에 따른 좌표의 변동량을 고려함에 있어서 기준계의 변화에 의한 것보다는 지각의 변화에 초점을 두게 된다. 즉, 기준계의 원점인 지심은 정적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지각변동에 의한 제점의 위치 변화는 동적인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LINZ(Land Information New Zealand)에서는 NGZD2000 측지기준계를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준동적 기준계로서 기준좌표계와 시점은 고정되어 있으나 지진이나 지각변동으로 인한 지역적인 좌표의 변동량은 고려하는 측지기준계이다(Blick,200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적기준계란 무엇인가? 정적기준계는 지구상에 위치하는 제점의 위치가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변화되지 않고 고정된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심 및 지각은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정은 엄밀하게는 잘못된 가정이다.
NGZD2000 측지기준계의 특징은 무엇인가? 즉, 기준계의 원점인 지심은 정적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지각변동에 의한 제점의 위치 변화는 동적인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LINZ(Land Information New Zealand)에서는 NGZD2000 측지기준계를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준동적 기준계로서 기준좌표계와 시점은 고정되어 있으나 지진이나 지각변동으로 인한 지역적인 좌표의 변동량은 고려하는 측지기준계이다(Blick,2007).
정적기준계의 잘못된 가정으로 인해 어떤 단점을 가지는가?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심 및 지각은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정은 엄밀하게는 잘못된 가정이다. 즉, 특정시점으로부터 시간이 변함에 따라 제점의 위치는 실제로는 점점 변화되기 때문에 위치 오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정적기준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적기준계(dynamic datum)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국토지리정보원 (2010), 국가기준점(위성기준점)의 측량성과,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10-189호. 

  2. 박관동 (2007), 한반도 지각변동 연구, 발간등록번호 1-1500714-000054-01,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3. 박필호, 최위찬, 안용원, 임형철, 박종욱, 조정호 (2001), 남한지역 GPS 지각속도와 신기지구조의 예비적 해석, 한국지질학회지, 한국지질학회, 제37권, 제3호, pp. 455-464. 

  4. 송동섭 (2006), GPS로 추정한 지각변동 속도 및 판 거동 모델과의 비교,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 26권, 제5호, pp. 877-884. 

  5. 윤홍식 (2001), GPS 상시관측소의 절대좌표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9권, 제 4호, pp. 415-423. 

  6. 윤홍식 (2010), 국가수직기준 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발간등록번호 11-1611265-000041-01, 국토지리정보원. 

  7. 조재명 (2006), GPS 상시관측소 데이터의 정밀해석 및 한반도 지각변동량 추정,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8. 조재명 (2011), GPS상대측위 정확도 향상을 위한 한반도 지각변동모델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9권, 제 3호, pp. 237-247. 

  9. 황진상 (1999), ITRF에 준거한 정밀 GPS 측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10. Blick, Graeme (2007), Imlementing Localised Deformation Models into a semi-dynamic datum,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odesy Symosia, Vol. 130, Part V, pp. 631-637. 

  11. Herring, T. A. (1999). Geodetic aplications of GPS. Proceeding of IEEE, Vol. 87, Issue 1, pp. 92-110. 

  12. Khan, Shfaqat Abbas (2005), Surface deformations analyzed using GPS time serie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penhagen, Copenhagen. 

  13. Nikolaidis, Rosanne (2002), Observation of geodetic and seismic deformation with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California. 

  14. Tregoning, P. and Jackson, R. (1999), The need for dynamic datum, Geomatics Research Australasia, No. 71, pp. 87-102. 

  15. Wolf, Paul R. and Ghilani, Charles D. (1997), Adjustment computations, 4th ed., John Wiley & Sons Inc., pp. 169-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