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기와 당귀를 첨가한 약선 계육 양념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sun Chicken Sauce with Milk Vetch Roots and Angelica Root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2 no.3, 2012년, pp.350 - 356  

민성희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  오창환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Korean yaksun chicken sauce with milk vetch roots and angelica roots. Four different amounts of angelica roots were added to chicken sauc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e pH values of sauces increased with decreasing Angelica root content. O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약선 또는 한방 음식에 대한 기호도 조사에 의하면 약재의 강한 맛 때문에 거부감이 있다는 의견이 많아(Lee & Min 2009) 약선의 효능에 대하여 관심은 있지만, 선택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약선 계육 레시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는 약재인 황기와 당귀를 계육에 첨가한 닭찜 양념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중국 고전 약선 처방인 귀기증계(歸芪蒸鷄)를 참고하였다(譚興貴2003). 즉, 약선의 한의학적 효능은 유지하되 한국인의 입맛에 맞도록 약재의 강한 맛을 감소시킨 한국식 약선 계육 양념을 제조하고 특성을 평가하였다.
  • 예비실험 결과, 중국 약선 처방(계육 300 g 당 황기 20 g, 당귀 4 g)에 따라 제조한 계육은 한약재의 향과 맛이 너무 강하여 기호도가 낮았으므로 기호도를 고려하여 계육 중량 대비 황기와 당귀 함량을 조절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임의로 한약재를 가감하는 경우, 원방의 효능이 변화될 것을 고려하여 처방에서 군(君)이 되는 황기의 중량은 고정하고, 원래 처방의 약상(藥象)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김 과 최 2009, 안문생 2011) 처방에서 신(臣)의 역할을 하는 향미가 강한 당귀 첨가량을 각각 3 g, 2 g, 1 g으로 감소시켜 첨가하였다.

가설 설정

  • S3: Sauce with 1 g angelica roo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선은 어떤 목적으로 섭취하는 음식인가? 약선은 사용하는 약재 및 식품의 성미와 배합에 따라 질병의 예방 및 치료, 노화 방지 등의 목적으로 섭취하는 음식이다(Ku SJ 2000, 김과 최 2009). 그러나 대부분은 단순히 한약재를 첨가한 음식을 약선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약선에 대한 연구 논문들도 있지만 사용되는 약재의 성분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한국식 약선에 대해서는 정의 및 구체적 연구 내용도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Kang MS 2002, Kim JM 2006).
약리 실험에서 밝혀진 황기의 효능은? 한방에서 계육은 맛이 달고 따뜻한 성질로 허로(虛勞)로 인하여 몸이 여위는 증상, 위 기능이 쇠약하고 식욕이 감퇴된 증상, 설사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하였다(중약대사전편찬위원회 1997, 이 와 홍 2003). 황기는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한 약재로 지한, 이뇨, 강장, 혈압 강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약리 실험에서 강장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면역기능조절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대한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2005). 당귀는 달고 매운 맛으로 성질은 따뜻하며, 혈허(血虛), 혈체(血滯)로 인하여 생기는 병증에 사용된다고 하였다(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2005).
약선 계육 양념의 저장기간에 따른 총균수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같은 저장 기간 중 각 시료 간 총균수에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통해 무엇을 알 수 있었는가? 저장 18일 동안 총균수는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나 같은 저장 기간 중 각 시료 간 총균수에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아, 당귀 첨가량의 변화는 총균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 당귀 첨가량의 감소로 약선 계육 양념의 맛과 향을 개선하는데 있어 저장성에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인희 (1992) 한국인의 보양식.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p 288. 

  2. 김규열, 최윤희(2009) 약선식료학개론. 의성당, 서울pp 130-133. 

  3. 대한한의과대학 교재편찬위원회 (2005) 본초학. 영림사, 서 울. pp 579-581. 

  4. 안문생 (2011) 한국약선 조리기준. 약선 세계 서울 심포지엄 초록집. pp 33-46. 

  5. 이영은, 홍승헌(2003) 한방식품재료학. 교문사, 파주. pp 240-241. 

  6. 조신호, 임희수, 정낙원, 이진영, 조경련 (2003) 한국음식. 교문사, 파주. p 66. 

  7. 조정순, 한복선, 양미옥, 최윤희 (2011) 약선조리 이론과 실제. 교문사, 파주. p 142. 

  8. 중약대사전편찬위원회 (1997) 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서울. pp 887-895, 5010-5019. 

  9. 한국식품공업협회 (2008) 식품공전. 서울. pp 694-716. 

  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식품영양실험핸드북. 효일, 서울. pp 651-652. 

  11.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2005) 종합 약용식물학. 학창사, 서울. pp 245-247. 

  12. 譚興貴(2003) 中醫藥膳學. 中國中醫藥出版社, 북경. pp 361-362. 

  1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4. Choi JH, Oh SK (1985) Studies on the anti-aging action of Korean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506-515. 

  15. Jeon KH, Lee MH, Kim YB (1992) Effect of ginseng on the lipid oxidation in pork and poultry m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7-10. 

  16. Kang MS (2002) A purpose of Yaksunyori menu develop a plan. MS Thesis Kyunggi University, Suwon. pp 20-25. 

  17. Kim CR, Kim KH (2007) Quality evaluations of seasoning chicken containing pine needle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47-52. 

  18.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9. Kim HJ, Hwangbo MH, Hwang EY, Jung YT, Park SK, Lee SP, Lee I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skewered chicken added with fermented carrot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97-1103. 

  20.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21. Kim JM (2006) Research on the menu selecting attribute of medicinal cuisine and customers' recognition. M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pp 5-7. 

  22. Kim SJ, Youn KS, Park HS (2005) Antioxidative effect of pine, oak, and lily polle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33-837. 

  23. Kim SY, Kim JH, Kim SK, Oh MJ, Jung MY (1994) Antioxidant activities of selected oriental herb extracts. J Am Oil Chem Soc 71: 633-640. 

  24. Ku SJ (2000) Medicinal food culture in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 560-564. 

  25. Kwak EJ, An JH, Lee HG, Shin MJ, Lee YS (2002) A study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of herbal sauces of Jujube and Omij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11. 

  26. Lee BR, Min SH (2009)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Yaksun among school foodsdrvice dietitians in Chu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882-890. 

  27. Lee SH, Jeong EJ, Jung TS, Park LY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sesoning sauces prepared with Geranium thunbergii Sieb. et Zucc. and Crataegi fructus and the quality changes of seasoned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7-63. 

  28. Lee SH, Kang KM, Park HJ, Baek LM (2009)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of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use as functional materials in seasoning sauce for pork m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100-105. 

  29. Min SH, Lee BR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cultivated in Jecheon. Korean J Food Culture 22: 336-341. 

  30. Min S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216-223. 

  31. Park KT, Kim DW (2003) Studies on development of functional herbal food based on yaksun.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9: 191-202. 

  32. Park SA, Shin MH (1998) Standardization and cooking properties of spiced soy sauce. Korean J Soc Food Sci 14: 97-105. 

  33. Sung SK, Cho YS, Kim EJ, Kim SM (2003)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easoning chicken products using natural extracts of green tea and water soluble mineral ion. Korean J Food and Nutr 16: 171-1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