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불 유형별 식생회복정도에 따른 현존생물량 비교
Comparison of Biomass by Forest Fire Type and Recovery at Samcheuk-si, Gangwon-do,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4, 2012년, pp.528 - 536  

임석화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정섭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신진호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방제용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양금철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7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4년 동안 강원도 삼척시에서 산불 유형(비산불조사구: 산불피해를 입지 않은 지역, 수관화: 산불에 의해 교목의 수관까지 전소한 지역, 지표화: 산불에 의해 교목의 수관 하층만 전소한 지역)과 산불 후 식생의 재생정도(산불피해 후 식피의 재생정도가 1/3이하인 지역: 1, 산불피해 후 식피의 재생정도가 1/3 ~ 2/3인 지역: 2, 산불피해 후 식피의 재생정도가 2/3이상인 지역: 3)에 따른 현존생물량과 순생산량을 비교하였다. 비산불조사구(Un),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C-3), 지표화 발생 조사구(G-2)에서 4년간 평균 현존생물량은 각각 $181.20{\pm}5.39$, $62.04{\pm}4.38$, $131.09{\pm}14.83$, $63.39{\pm}2.72ton{\cdot}ha^{-1}$로 나타났다. 비산불조사구,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C-3), 지표화 발생 조사구(G-2)에서 4년간 평균 순생산량은 각각 $4.17{\pm}0.56$, $3.27{\pm}1.56$, $11.51{\pm}0.53$, $2.10{\pm}0.31ton{\cdot}ha^{-1}{\cdot}yr^{-1}$로 나타났다. 각 조사구의 공통수종인 신갈나무의 DH_{10}$(지상으로부터 10cm 높이에서의 직경, mm)의 생장률을 비교하여 보면 수관화 발생 조사구(C-1)에서 $1.21{\pm}0.55mm{\cdot}yr^{-1}$로 가장 높았으며 수관화 발생조사구(C-3), 지표화 발생 조사구(G-2), 비산불조사구(Un)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고생장률로 비교하였을 때 수관화 발생 조사구(C-3)에서 $15.43{\pm}4.57cm{\cdot}yr^{-1}$로 가장 높았으며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지표화 발생 조사구(G-2), 비산불조사구(Un)의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compared the different types of forest fires(unburned, crown fire, ground fire) and the degree of vegetation recovery at Samcheuk-si, Gangwon-do by assessing the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from July 2007 through July 2010.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average biomass of unbur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산불피해지 중 삼척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비산불지역과 산불 유형별 피해지역에서 식생의 회복정도에 따른 현존생물량과 연간 순생산량 변화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군락의 현존생물량이란? 산림생태계는 지구 육상생태계 지상부 생물량의 약 90 %를 차지하고, 초지와 농지 등 육지의 다른 생태계와 비교 하여 높은 순생산량(NPP)을 가진다(Waring and Schlesinger, 1985). 식물군락의 현존생물량은 생태계 내 물질생산의 지 표이며, 생물량 분배는 생태계의 물질축적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요인이다(Whittaker and Marks, 1975). Kittredge(1944)에 의하여 임목의 흉고직경과 엽량 사이에 상대생장 관계가 성립된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래, 1950년 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산림생태계의 현존생물량과 순생산량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여러 연구자들 (Shidei, 1960; Hozurni, 1963; Kira and Shidei, 1967)에 의하여 수목의 DBH와 각 기관들 사이의 상대생장식을 이용하여 임목의 현존생물량이 추정되었다
생태계의 기능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생태계의 기능은 물질생산과 영양염류 순환으로 구분되며(Odum, 1971), 지구의 육상생태계에서 식물에 의하여 매년 생산되는 순생산량은 10 ~ 125 × 109 ton에 이른다(Lieth, 1973). 산림생태계는 지구 육상생태계 지상부 생물량의 약 90 %를 차지하고, 초지와 농지 등 육지의 다른 생태계와 비교 하여 높은 순생산량(NPP)을 가진다(Waring and Schlesinger, 1985).
산불의 피해가 식물군집과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데에 차이가 나게 되는 요인은? 산불의 피해는 일차적으로는 현존생물량의 감소 등 구조적 변화를 야기하지만, 이차적으로 물질의 순환 등 생태계의 기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식물군집과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들 영향은 산불의 강도와 지속기간, 토양의 수분함량, 산불이 발생하는 시기, 산불 후 강우의 강도 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Chandler et al., 198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ndler, C., P. Cheney, P. Thomas, L. Trabaud and D. Williams (1983) Fire in forestry. Vol. I .Forest fire behavior and effects. Johnwiley & Sons, NewYork, 450pp. 

  2. Choung, Y.(2000) Natural regeneration after forest fire, and restoration policy. In the ecological role of fire. The Ecological Society of Korea International Symposium: 1-26. 

  3. Choung, Y., B.C. Lee, J.H. Cho, K.S. Lee, I.S. Jang, S.H. Kim, S.K. Hong, H.C. Jung and H.L. Choung(2004) Forest responses to the large-scale east coast fires in Korea. Ecological Research 19(1): 43-54. 

  4. Hiratsuka, M., T. Toma, R. Diana, D. Hadriyanto and Y. Morikawa (2006) Biomass recovery of naturally regenerated vegetation after the 1998 forest fire in east Kalimantan, Indonesia. Japan agricultural research quarterly 40(3): 277-282. 

  5. Hong, S.K. and N. Nakagoshi(1996) Biomass changes of a human-influenced pine forest and forest management in agricultural landscape system. Korean J. Ecol 19(4): 305-320. 

  6. Hozurni, K.(1963) Allometry in higher plants. 2. Allometry in trees, especially on the allometry relating DBH. Seicho 2: 1-18. 

  7. Ji, D.H.(2005) Biomass of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acutissima in Geum-Gang Recreational Forest. M. thesis, Univ. of Chungnam, Daejeon, Korea, pp. 17-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ohnson, F.L. and P.G. Risser(1974) Biomass, annual net primary production and dynamics of six mineral elements in a post oak-black oak forest. Ecology 55: 1,246-1,258. 

  9. Kim, J.H. and S.M. Yoon(1972) Studies of the productivity and the productive structure of forests II. Comparison between the productivity of Pinus densiflora and of Quercus mongolica Stands located near Choon-Chun City. The botanical society of Korea 15: 71-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S. and K.C. Yang(2012) Comparison of litter production and nutrient returned to forest floor according to forest fire type and recovery.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1):67-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S.(1995) Biomass and distribu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for Pinus rigida, Larix leptolepis and Quercus serrata stands in Yang pyeong. M. thesis, Univ. of Korea, Seoul, Korea, pp. 57-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S.(2011) The comparison of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distribution according to forest fire type and recovery degree. M. thesis, Univ. of Kongju, Chungnam, Korea, pp. 14-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ra, T. and T. Shidei(1967) Primary production and turnover of organic matter in different forest ecosystems of the western Pacific. Jap J Ecol 17: 70-87. 

  14. Kittredge, J.(1944) Estimation of the amount of foliage on trees and stands. Journal of Forestry 42: 905-912. 

  15. Lee, C.S. and S.K. Hong(1998) Changes of landscape pattern and vegetation structure in Rural Area Disturbed by Fire. Korean J. Eco. 21(4): 389-3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D.K. and K.C. Kwon(2006) Biomass and annual net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Pyungchang and Jecheon area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3): 309-3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K.S. and Y.S. Choung(1999) Comparison of nutrient budget on the planting revegetation site with natural revegetation site in Kosung area disturbed by fire. Journal of east coastal research 1: 137-153. 

  18. Lee, K.S., Y.S. Choung, S.C. Kim, S.S. Shin, C.H. Ro and S.D. Park(2004) Development of vegetation structure after forest fire in the east coastal region, Korea. Korean J. Ecol 27(2): 99-1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S.W.(1985)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vity of Pinus densiflora natural ecosystem in Kangwondo,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1: 74-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ieth, H.(1973) Primary production: Terrestrial ecosystems. Human Ecology 1: 302-303. 

  21. Mun, H.T. and Y.S. Choung(1996) Effects of forest fire on soil nutrients in pine forests in Kosong, Kangwon Province. Korean J. Eco. 19(5): 375-3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Nakagoshi, N., K. Nehira and F. Takahashi(1987) The role of fire in pine forest of japan. In L. Trabaud(ed.), The role od fire in ecological systems. SPB Academic publishing, Hague, pp. 91-119. 

  23. Namgung, J.(2010) Production and nutrient cycling in Quercus variabilis forest at Mt. Worak. Doctoral thesis, Univ. of Kongju, Chungnam, Korea, pp. 25-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Odum, E.P.(1971) Fundamentals of production. A source of error in estimating woodland production, energy flow and mineral cycling. Oikos 14: 148-153. 

  25. Park, G.S. and M.J. Lee and H.K. Song(2002) Effects of Forest Fire on Herb Layer Development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1): 67-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Shidei, T.(1960) Studies on the productivity of the forest I. Essential needle-leaved forests on Hokkaido. Kokusaku Pulp. Industry Co., Tokyo, 99pp. 

  27. Skre, O., F.E. Wielgolaski and B. Moe(1998) Biomas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ommon forest plants in response to fire in western Norway.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9(4): 501-510. 

  28. Slik, J.W., C.S. Bernard, M. Beek, F.C. Breman and K.A. Eichhorn(2008) Tree diversity, composition, forest structure and aboveground biomass dynamics after single and repeated fire in a Bornean rain forest.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158(3): 579-588. 

  29. Waring, R.H. and W.H. Schlesinger(1985) Forest ecosystems; Concept and Management. Academic press, New York, 304pp. 

  30. Whittaker, R.H. and P.L. Marks(1975) Methods of assessing terrestrial productivity. In primary productivity of the biosphere(Lieth H, Whittaker RL, eds). Springer, New York, pp. 55-118. 

  31. Yu, X., Y. Pang, D. Zhuang and X. Hou(2004) Forest fire disturbance and its effect on forest biomass in Daxinganling region. Interb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4: 2,310-2,3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