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산성 소나무림의 19년간(1993~2011년) 식생구조 변화와 관리방안
Management Planning and Change for Nineteen Years(1993~2011) of Plant Community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Namhan Mountain Fortress,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4, 2012년, pp.559 - 575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조경학과) ,  이학기 (경기도청) ,  노태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0년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록된 국가사적 제57호 남한산성을 대상으로 과거 문헌자료와 현장조사를 통해 식생구조 변화를 밝히고 역사 문화적 가치가 높은 남한산성의 식생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남한산성 식생의 비오톱 분석 결과 대상지 면적 $2,611,823m^2$ 중 참나무류림이 40.8%이었고, 천이 가능성이 높은 소나무림이 16.5%로 청량산 일원과 서문에서 북문 일원, 남문에서 청량산 사이의 산 능선에 분포하고 있었다. 천이 가능성이 낮은 소나무림은 4.7%로 남한산초등학교 뒤 산림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고, 천이가 진행중인 소나무림은 2.9%, 도태중인 소나무림은 2.1%였다. 19년간 식생구조 변화 분석 결과 소나무림${\rightarrow}$소나무 및 참나무류 혼효림${\rightarrow}$참나무류림${\rightarrow}$서어나무림으로 천이가 예측되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참나무류의 세력이 확대되었다. 남한산성 소나무림의 식생 관리방안은 식생구조 특성을 고려하여 관리권역을 구분하였고, 관리권역은 소나무림 경관유지지역 $553,508m^2$, 소나무림 경관복원지역 $114,293m^2$, 적극적 관리지역 $205,306m^2$, 자연천이 유도지역 $1,169,973m^2$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argeting Namhan Mountain Fortress which was designated as a No. 57 national historic site and placed on the World Heritage Tentative List in 2010,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change of vegetation structures by reviewing past references, pictures, research data and additionally condu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한산성의 주요 식생경관 요소이자 역사⋅문화적인 보전가치가 높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과거자료(그림, 기록, 사진 등)와 현재 식생구조를 조사분석하여 합리적인 소나무림 식생경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적지의 역사성 및 상징성을 부각시키는 주변 식생에 대한 연구의 예는? , 1988). 이와 관련하여 문화경관림에 관한 연구로 Lee et al.(2008)은 오대산국립공원 월정사 주변 문화경관림인 전나무숲의 식생구조 분석을 통해 문화⋅경관⋅관광자원 측면에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고 Cho et al.(2012)은 인왕산의 문화유적 자체 모습뿐만 아니라 배후의 경관인 소나무림으로의 문화경관 복원을 제시하였다. Shim(2010)은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 내 팔달공원의 역사⋅문화적 경관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남한산성은 무엇인가? 남한산성은 예로부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이며 연간 320만명이 찾는 도립공원이자 우리나라에서 널리 알려진 문화유적이다. 남한산성은 1963년 국가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으며 성 내에는 국가사적 제480호인 행궁을 비롯하여 12개소의 지정문화재와 군포, 장대터, 폐사지 등 206개 비지정문화재가 분포하고 있다.
남한산성은 언제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선정되었는가? 남한산성은 1963년 국가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으며 성 내에는 국가사적 제480호인 행궁을 비롯하여 12개소의 지정문화재와 군포, 장대터, 폐사지 등 206개 비지정문화재가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1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선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 Dubuque, Iowa, 194pp. 

  2. Cho, J.S., K.J. Lee, B.H. Han and K.S. Ki(2012) A Study on Restoration Plan of Cultural Forest and Change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nwangsan, Seoul. Kor. J. Env. Eco. 26(2): 201-2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M.S.(1995) A Study on the Actual Visiting Condition and Development Plan in the Namhansansung Provincial Park. Annual Bulletin of Seoul Health Junior College 15: 387-4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U.Y.(2005) A Study on Methods for Activation of Namhan Mountain Cultural Festival. Tourism Management Research Organization 9(1): 449-4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J.W., J.I. Kwak, K.J. Lee and W.K. Choi(2009) A Study for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5): 447-4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11) World Heritage Cultural Properties Committee Minutes and the First Meeting of the Tentative List of World Heritage Status Report Ki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316pp. (in Korean) 

  7.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8. Gyeonggi Green and Agriculture Foundation(2008) Namhansanseong in the Woods and Living History. Gyeonggi Green and Agriculture Foundation, 375pp. (in Korean) 

  9. Hill, M.O.(1979) DECORANA-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 Ithaca, New York, 52pp. 

  10. Hong, K.M.(1846) JUNGJEONG NAMHANJI. Gwangju City Gwangju Institute of Culture, 670pp. (in Korean) 

  11. Jo, J.C.(1987) Studies on the conservation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the nature park -Case study of hongru dong ravine, mt. gaya national park-.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the University of Seoul, 56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Kim, D.S.(2007) A Study on Landscape Restoration of the Namhan-Sansung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6): 101-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K.H., J.Y. Yun and S.H. Yoo(1995) Distribution of Cs-137 and K-40 in Korean Soils. J. KOREAN SOC. SOIL SCI. FERT. 28(1): 33-40. 

  1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1981-20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678pp. (in Korean) 

  15. Kwon, J.O.(2003)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Evaluation fot the Nature-friendly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Planning.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Philosophy,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314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Lee, H.G.(2012) Management Planning and Change in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Namhan Mountain Fortress.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167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Lee, K.J. et al.(1993) The Development of Green Restoration Technic in Urban and Industrial Complex Area(I).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91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Lee, K.J., J.C. Jo, C.H. Ryu and K.J. Song(1990) Ecological Changes in Pine Gall Midge-damaged Pinus densiflora Forest at the Southern Temperate Forest Zone in Korea(IV) -Analysis of Phytosociological Changes during Seven Years of the Korean Red Pine Community in Gwangju-gun-. Jour. Korean For. Soc. 79(1): 21-25. 

  19. Lee, K.J., J.S. Kim, J.W. Choi and B.H. Han(2008)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near Woljeong Templ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2(2): 173-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K.J., K.K. Oh and H.K. Jo(1988) Studies on the Analysis of Vegetational Community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Planning of the Royal Ancestor's Shrine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5(3): 2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K.J., K.S. Ki and J.W. Choi(2009) Vegetation Success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the Beopjusa Area, Songn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2): 208-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Ma, S.K.(1993) Pine trees are disappearing. Forest and culture 21-23. (in Korean) 

  23. McCune, B. and M.J. Mefford(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221pp. 

  24. Namhansanseong Culture and Tourism Initiatives(2010) Historical Memory of the Landscape of Mountain Fortress. Namhansanseong Culture and Tourism Initiatives, 123pp. (in Korean) 

  25. Oh, K.K., K.J. Lee and K.B. Yim(1988) Vegetational Management Planning of the Namsan Nature Park in Seoul on the Basis of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Jour. Korean For. Soc. 77(1): 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Park, I.K.(2005) The Ecological Manage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Namsan, Seou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Philosophy,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249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7. Shim, H.R.(2010) Management Planning of Vegetation Landscape in Paldal Park, World Culture Heritage Hwaseong, Suwon, Kore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158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