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라산국립공원 소나무림의 공간분포 변화
Changes of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Red Pine Forest in Halla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5, 2019년, pp.578 - 586  

김종갑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 ,  고정군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 ,  임형택 ((주)동신지티아이) ,  김동순 (제주대학교 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라산국립공원 내 소나무림의 공간분포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06년과 2015년의 분포면적과 수관밀도를 조사하고 해발고도, 경사, 방위 및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2015년 소나무림의 전체 면적은 1,259.9ha로 조사되었는데, 2006년 1,208.5ha에 비해 10년 동안 4.1%에 해당되는 51.4ha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의 수관 밀도가 11~40%에 해당되는 소밀도의 면적은 10년 동안 59.8ha가 증가하였고 41~70%에 해당되는 중밀도의 면적도 59.0ha가 증가하였으며, 71% 이상의 조밀한 소나무림은 67.3ha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에 따라서는 2015년에 1,010~1,400m 구간에서 전체 면적의 79.6%인 1,003.0ha로 가장 넓었으며, 1,100~1,300m 구간의 면적은 증가하였지만 수관밀도 등급변화는 고밀도 등급면적이 대폭 감소하고 중밀도와 소밀도급 면적은 증가하였다. 지표경사에 따라서는 특징적으로 증감이 나타나지 않고 2006년보다 경사와 관계없이 증가하였다. 방위별로는 남사면을 중심으로 남서, 남동방향에 56.4%가 분포하여 10년 동안 27.8ha가 증가한 반면 북사면을 중심으로 북동, 북서 면적은 7.6ha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소나무림의 분포 변화는 영실지역 일대가 2006년에 비해 전체 증가면적 중 49.6%인 25.5ha 증가하였으며, 산벌음 계곡 우측을 포함하는 입석오름지역은 20.4ha, 족은드레를 포함하는 개미등지역은 7.4ha가 증가한 반면 성판악등산로 속밭지역은 1.9ha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한라산국립공원 내 소나무림의 면적 및 밀도변화는 해발고도, 경사, 방위 및 지역별 변화 상황을 고려할 때 소나무림 분포의 확대는 초지나 관목이 우점 하는 식생구조를 갖고 있거나 교란으로 인한 숲 틈이 발생한 지역으로 한정된 반면 소나무림이 낙엽활엽수림대에 둘러싸이거나 혼효된 식생구조를 지닌 분포지역은 낙엽활엽수 등과 경쟁으로 인해 면적보다는 수관밀도 변화가 주로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in Hallasan National Park by surveying the distribution and crown density and analyzing by the elevation, slope, orientation, and regional habitat in 2006 and 2015.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2006년과 2015년을 기준으로 한라산국립공원 내에 분포하는 소나무 림의 10년 동안의 면적 변화를 조사하고, 수관 밀도에 따라 4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그 분포 지역의 해발고도, 경사와 방위, 지역별 분포 특성을 알아보고자 비교분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의 분포 특징은? )는 육송, 적송이라고 불리고, 다양한 생태 형을 가진다(Lim, 1895). 소나무는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의 산둥반도, 압록강 연안지역 및 일본의 북해도 이남지역에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제주도부터 함경 북도 언성군 증산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울릉도, 서쪽으로는 백령도의 섬들까지 분포하고 있다. 수직적 분포는 완도가 200m, 한라산이 1,300~1,800m, 금강산이 100~180m, 백두산이 300~900m 사이에 위치한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소나무 림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 2018). 또한 기온상승에 따른 수분 결핍이 증가하여 결국 생장과 생리 반응에 영향을 주는 가뭄과 연관된 기후 환경이 소나무 림의 감소를 초래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Lee et al., 2004; Kim et al.
한반도에서 소나무는 어떻게 분포되어 있나? 소나무는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의 산둥반도, 압록강 연안지역 및 일본의 북해도 이남지역에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제주도부터 함경 북도 언성군 증산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울릉도, 서쪽으로는 백령도의 섬들까지 분포하고 있다. 수직적 분포는 완도가 200m, 한라산이 1,300~1,800m, 금강산이 100~180m, 백두산이 300~900m 사이에 위치한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2017) Mt. Hallasan National Park Precision control strategy to prevent the spread of pine wilt disease. Hallasan National Park Management Office, pp. 63-72. (in Korean) 

  2. Kang, T.G.(2006) Climate characteristics of Hallasna Natural Reserve. Report of Survey and Study of Hallasan Natural Reserve 2006. Research Institute for Mt. Halla, Jeju, pp. 33-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im, G.N., S.H. Han and G.S. Park(2014) Differences on Growth, Photosynthesis and Pigment Contents of Open pollinated Pinus densiflora Families Under Elevated Temperature and Drough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4): 285-296. 

  4. Kim, J.G., J.G. Koh, H.T. Yim and D.S, Kim(2017) Changes of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fir Forest in Mt. Hallasan for the Past 10 Years(2006, 2015).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1(6): 549-5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T.M., W.K. Lee, S.E. Jong and H.B. Kwak(2008)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and topographical factors.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6(3): 359-3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ong, W.S.(2004)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4): 528-5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1999) Pine, Pine Forest. 22pp. (in Korean) 

  8.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11) 6th National Forest Resources Survey and Forestry Health and Vitality Survey. 35pp. (in Korean) 

  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12) Economic tree, Pinus densiflora. 250pp. (in Korean) 

  10. Korea Forest Service(2016) 2015 Forest Basic Statistics Forest Service. 33pp. (in Korean) 

  11. Lee, C.S., J.H. Kim, H. Yi and Y.H. You( 2004) Seedling establishment and regeneration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s in Korea in relation to soil moistur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9: 423-432. 

  12. Lee, C.S., W.K. Lee, J.H. Yoon and C.C. Song(2006) Distribution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Stand in Korea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GIS. Journal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95(6): 663-6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K.J., C.H. Ryu and S.H. Choi(1992) The Structure df Plant Community On Orimok, Yongsil and Donnaeko Area in Mt. Hall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6(1): 25-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S.C., S.H. Hong, D.P. Kim, S.H. Choi and M.Y. Ahn(2018) A Study for Growth Density on the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in area of Busa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32(2): 215-2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im, K.B.(1985) Fundamental of Silviculture. Hayngmoon Press, 327pp. (in Korean) 

  16. Sin, H.G.(1981) Ecological Studies on Pinus densiflora S. et Z. Communities in Mt. Halla, Korea. Univ. of Jeju National, Jeju-do, pp. 12-15. (in Korean) 

  17. Song, K.M., C.S. Kim, M.O. Moon and M.H. Kim(2012) A Change and Distribution in Pinus densiflora Forest of Mt. Hallasa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1): 4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Uhm, K.B.(1962) Altitudinal zones of Mt. Halla according to Conifer distribution. Kor. Jour. Bot. V(2): 17-20. 

  19. Youn, J.H.(2003) Characteristics and change predic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Korea : Emphasis on impacts of topography, climate, and soil factors.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Korea, 4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