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혈압 재가노인의 자가간호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in Elders with Hypertension Living at Home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4 no.1, 2017년, pp.72 - 83  

정혜민 (군산간호대학교) ,  이명하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김혜영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resilience, autonomous motivation, depression and self-care and their correlates in elders with hypertens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0 elders with hypertension living in J, I, and K c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극복력, 자율적 동기, 우울 및 자가간호의 정도를 파악하고, 고혈압 재가노인의 자가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고혈압 재가노인의 자가간호를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복력이란? 최근 자가간호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심리사회적인 요인 중 극복력(resilience)이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었다[12]. 극복력은 대상자가 위협받는 내 · 외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감소시키고 적응을 증진시키는 인간의 잠재적인 사회적 능력으로,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만성질환자의 질병 및 증상관리, 자가간호 수행에 따르는 디스트레스, 우울 및 스트레스에 대처하도록 행동을 유도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더 나아가 간호의 궁극적인 목표인 최적의 안녕상태로 회복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13]. 또한 극복력은 일상생활 수행과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14], 고혈압을 동반한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대다수의 재가노인에게서 극복력은 자신의 역경을 딛고 일어나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돕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으로 고혈압 관리에서 극복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5].
극복력은 고혈압을 극복하는데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최근 자가간호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심리사회적인 요인 중 극복력(resilience)이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었다[12]. 극복력은 대상자가 위협받는 내 · 외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감소시키고 적응을 증진시키는 인간의 잠재적인 사회적 능력으로,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만성질환자의 질병 및 증상관리, 자가간호 수행에 따르는 디스트레스, 우울 및 스트레스에 대처하도록 행동을 유도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더 나아가 간호의 궁극적인 목표인 최적의 안녕상태로 회복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13]. 또한 극복력은 일상생활 수행과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14], 고혈압을 동반한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대다수의 재가노인에게서 극복력은 자신의 역경을 딛고 일어나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돕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으로 고혈압 관리에서 극복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5].
고혈압 관리 실태는 어떠한가? 따라서, 고혈압 환자의 경우 질병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건강회복 및 증진을 위한 자가간호의 수행은 매우 중요한 행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사람 중 약 50% 정도는 자신이 고혈압인지 모르고, 고혈압임을 알고 있는 사람 중에서도 약 50%만이 약물치료를 받으며, 이들 중에서도 약 절반만이 고혈압을 적절히 관리하고 있다[5]. 특히, 노년층에서 고혈압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나[3] 고혈압 재가노인들은 사회경제적인 역할 상실로 인해 적절한 고혈압 치료를 받지 못하는 위험에 노출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2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6 May 2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 ?bmoderead&bSeq&aSeq308559&pageNo1&rowNum 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0 

  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elderly survey report. Policy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April. Report No.: 2014-61. 

  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5 population census [Internet]. Seoul: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5 [cited 2016 May 2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 MT_ZTITL#SubCont 

  4. Jeon SY, Ju SM, Lee SG. Factors associated with drug treatment and life style modification in newly detected hypertension patients. Chungnam Medical Journal. 2001;28(2):247-261. 

  5.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2013 hypertension management guidelines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2013 [cited 2016 May 20]. Available from: http://www.koreanhypertension.org/download/131107_01.pdf 

  6. Kim K, Park S, Lee H.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o the medication compliance of the hypertension, patient in one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2005;5(4):267-274. 

  7. Orem DE. Nursing: Concept of practice. 2nd ed. St. Louis: Mosby; 1980. 

  8. Lee YW. A study of the effect of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on self efficacy and self car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95;7(2):212-227. 

  9. Ko IS, Kim GS, Lim MH, Lee KJ, Lee TW, Park HS, et al.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self-care of hypertension for visiting nursing cli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07;21(2):134-145. 

  10. Deci EL, Ryan RM.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1985. 

  11. Seo YM. A structural model development for health behavior adherence in hypertensive or diabetic patients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8. p. 2-88. 

  12. Schok ML, Kleber RJ, Lensvelt-Mulders GJ. A model of resilience and meaning after military deployment: Personal resources in making sense of war and peacekeeping experiences. Aging & Mental Health. 2010;14(3):328-338. http://dx.doi.org/10.1080/13607860903228812 

  13. Walsh F.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Guilford; 1998. p. 3-27. 

  14. Yoo KH.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astery and activity of daily life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4;7(2):207-212. 

  15. Shapiro ER. Chronic illness as a family process: A social-developmental approach to promoting resilience. Journal of Clinical Psychotherapy. 2002;58(11):1375-1384. http://dx.doi.org/10.1002/jclp.10085 

  16. Kwon SS, Chung YK, Kwon HJ. Comparison of depression level of poor elderly an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2;13(1):30-38. 

  17. Oh YH, Bae HO, Kim YS. A study 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self-perceived health of older perso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6;26(3):461-476. 

  18. Park JH, Kwon YC.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89;28(1):125-135. 

  19. Wagnild GM, Young H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993;1(2):165-178. 

  20. Song YS.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at home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2004. p. 2-53. 

  21. Williams GC, Freedman ZR, Deci EL. Supporting autonomy to motivate patients with diabetes for glucose control. Diabetes Care. 1998;21(10):1644-1651. http://dx.doi.org/10.2337/diacare.21.10.1644 

  22. Yesavage JA, Sheikh JI. 9/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173. http://dx.doi.org/10.1300/J018v05n01_09 

  23.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2):298-306. 

  24. Kim OS, Jeon HO.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elf-care in elderly with hypertens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8;20(5):675-684. 

  25. Wagnild G. Resilience and successful aging: Comparison among low and high income older adult.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3;29(12):42-49. 

  26. Oh J, Yi M. Factors that affec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2;9(2):102-110. 

  27. Paek KS.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adherence to self care behavior among the elderly with hypertension in a community.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2015;11(8):157-174. 

  28. Ko Y, Lee IS.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of vulnerabl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9;20(1):31-40. 

  29. Lee EK, Ryu EJ, Kim K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11;11(2):101-107. http://dx.doi.org/10.5388/jkon.2011.11.2.101 

  30. Lee HJ, Park KY, Park HS. Self care activity, metabolic control,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of cl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2):283-2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