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눈잣나무는 동북아시아가 주 분포지로 남한에서는 설악산 고산지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본 연구는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의 분포형태와 특성, 유전다양성 및 공간분포에 따른 유전구조를 파악하였다. 선발된 9개 I-SSR primer에서 총 78개 I-SSR 증폭산물을 얻었으며, 30개의 단형성 증폭산물을 제외한 48개의 증폭산물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사구(40 m ${\times}$ 70 m)에는 눈잣나무 65개체가 자생하고 있었으며, 채집한 눈잣나무의 위치자료를 바탕으로 군집지수를 계산한 결과 약하게 집중분포(Aggregation Index = 0.871)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든 개체에 대하여 I-SSR 유전자형을 비교한 결과, 65개체 중 유전자형이 서로 다른 40개의 genet이 식별되었다. 유전자형 비율(G/N)은 61.5%, 유전자형 다양성(D)은 0.977, 유전자형 균등도(E)는 0.909로 각각 나타났다. Shannon의 다양성지수(I = 0.567)는 적은 개체수와 제한적 분포에도 불구하고 다른 수종들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유전다양성을 나타났다.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 내의 눈잣나무 집단은 12 m 이내에서 유전적으로 유사한 군락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antel 검정 결과 유전적 거리와 지리적 거리간에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 눈잣나무 집단이 초기에 여러 개의 모수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결과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의 현지외 유전자 보존을 위한 표본추출 전략은 최소 12 m 이상의 거리를 두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us pumila, which occurs in the northeast Asia, is found limitedly in Daecheongbong area of Mt. Seorak in the South Korea. This population was chosen to study spatial pattern, genetic diversity and spatial genetic structure. There were 48 polymorphic and 30 monomorphic I-SSR markers. A total of 6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I-SSR 표지자를 이용하여 희귀수종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공간분포에 따른 유전적 구조를 분석하여 현지 외 유전자원 보존을 하기 위한 유전적 군락의 크기 및 표본추출 전략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 눈잣나무는 동북아시아가 주 분포지로 남한에서는 설악산 고산지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본 연구는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의 분포형태와 특성, 유전다양성 및 공간분포에 따른 유전구조를 파악하였다. 선발된 9개 I-SSR primer에서 총 78개 I-SSR 증폭산물을 얻었으며, 30개의 단형성 증폭산물을 제외한 48개의 증폭산물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눈잣나무의 주 분포지는? 눈잣나무는 동북아시아가 주 분포지로 남한에서는 설악산 고산지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본 연구는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의 분포형태와 특성, 유전다양성 및 공간분포에 따른 유전구조를 파악하였다.
Mantel 검정 결과 유전적 거리와 지리적 거리간에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의 현지외 유전자 보존을 위한 표본추출 전략은 언제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는가? Mantel 검정 결과 유전적 거리와 지리적 거리간에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 눈잣나무 집단이 초기에 여러 개의 모수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결과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의 현지외 유전자 보존을 위한 표본추출 전략은 최소 12 m 이상의 거리를 두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의 무엇을 파악함? 눈잣나무는 동북아시아가 주 분포지로 남한에서는 설악산 고산지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본 연구는 설악산 눈잣나무 집단의 분포형태와 특성, 유전다양성 및 공간분포에 따른 유전구조를 파악하였다. 선발된 9개 I-SSR primer에서 총 78개 I-SSR 증폭산물을 얻었으며, 30개의 단형성 증폭산물을 제외한 48개의 증폭산물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nderson, P.M., A.V. Lozhkin, T.B. Solomatkina and T.A. Brown. 2010. Paleoclimatic implications of glacial and postglacial refugia for Pinus pumila in western Beringia. Quaternary Res. 73(2):269-276. 

  2. Ayres, D.R. and F.J. Ryan. 1997. The clonal and population structure of a rare endemic plant, Wyethia reticulata (Asteraceae): allozyme and RAPD analysis. Mol. Ecol. 6(8):761-772. 

  3. Bachmann, K. 1994. Molecular markers in plant ecology. New Phytol. 126:403-418. 

  4. Choi, H.S., K.N. Hong, J.M. Chung, B.Y. Kang and W.W. Kim. 2004a. Genetic diversity and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in Mt. Halla, South Korea. Jour. Korean For. Soc. 93(3):175-180 (in Korean). 

  5. Choi, H.S., K.N. Hong, J.M. Chung and W.W. Kim. 2004b. Spatial genetic sturucture and genetic diversity of a rare endemic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in Mt. Halla, Korea. Korean J. Ecol. 27(5):257-261 (in Korean). 

  6. Chung, M.G. and E.K. Epperson. 2000. Clonal and spatial genetic structure in Eurya emarginata (Theaceae). Heredity 84(2):170-177. 

  7. Clark, P.J. and F.C. Evans. 1954. Distance to nearest neighbor as a measure of spatial relationships in populations. Ecology 35(4):445-453. 

  8. Degen, B., H. Caron, E. Bandou, L. Maggia, M.H. Chevallier, A. Leveau and A. Kremer. 2001a. Fine-scale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eight tropical tree species as analysed by RAPDs. Heredity 87(4):497-507. 

  9. Degen, B., R. Petit and A. Kremer. 2001b. SGS-Spatial Genetic Software: A computer program for analysis of spatial genetic and phenotypic structures of individuals and populations. J. Hered. 92(5):447-448. 

  10. Ellstrand, N.C. and M.L. Roose. 1987. Patterns of genotypic diversity in clonal plant species. Am. J. Bot. 74(1):123-131. 

  11. Escudero, A., J.M. Irionda and M.E. Torres. 2003. Spatial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as a tool for plant conservation. Biol. Conserv. 113(3):351-365. 

  12. Esselman, E.J., L. Jianqiang, D.J. Crawford, J.L. Windus and A.D. Wolfe. 1999. Clonal diversity in the rare Calamagrostis porteri ssp. insperata (Poaceae): comparative results for allozymes an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d inter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Mol. Ecol. 8(3):443-453. 

  13. Fager, E.W. 1972. Diversity: a sampling study. Am. Nat. 106 (949):293-310. 

  14. Felsenstein, J. 2009. PHYLIP (Phylogeny Inference Package).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Version 3.69. (2012. 3. 7). 

  15. Gebauer, R., D. Volarik, T. Funda, I. Fundova, A. Kohutka, V. Klapetek, M. Martinkova, O.A. Anenkhonov and A. Razuvaev. 2010. Pinus pumila growth at different altitudes in the Svyatoi Nos Peninsula (Russia). J. For. Sci. 56(3):101-111. 

  16. Godt, M.J.W. and J.L. Hamrick. 1998. Allozyme diversity in the endangered pitcher plant Sarracenia rubra ssp. alabamensis (Sarraceniaceae) and its close relative S. rubra ssp. rubra. Am. J. Bot. 85(6):802-810. 

  17. Goncharenko, G.G., V.E. Padutov and A.E. Silin. 1993. Allozyme variation in natural populations of Eurasian pines. I. Population structure, genetic variation, and differentiation in Pinus pumila (Pall.) Regel from Chukotsk and Sakhalin. Silvae Genet. 42(4-5):237-246. 

  18. Hamrick, J.L. M.J.W. Godt and S.L. Sherman-Broyles. 1992. Factors influencing levels of genetic diversity in woody plant species. New Forest. 6(1):95-124. 

  19. Han, S.D., Y.P. Hong, H.Y. Kwon, B.H. Yang and C.S. Kim. 2005. Genetic variation of two isolated relict populations of Vaccinium uliginosum L. in Korea. Jour. Korean For. Soc. 94(4):209-213 (in Korean). 

  20. Hong, Y.P., K.J. Cho, Y.Y. Kim, E.M. Shin and S.K. Pyo. 2000. Diversity of I-SSR variants in the populations of Torreya nucifera. Jour. Korean For. Soc. 89(2):167-172 (in Korean). 

  21. Hong, Y.P., H.Y. Kwon, B.H. Yang, S.W. Lee, C.S. Kim and S.D. Han. 2004a. Genetic status of an isolated relict population of Dwarf Stone Pine in Mt. Seorak. Jour. Korean For. Soc. 93(5):393-400 (in Korean). 

  22. Hong, Y.P., H.Y. Kwon, K.S. Kim, K.N. Hong and Y.Y. Kim. 2004b. Discordance between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genetic relationship among populations of Japanese red pine in Korea revealed by analysis of I-SSR markers. Silvae Genet. 53(3):89-92. 

  23. IUCN.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1. (2012. 3. 7.). 

  24. Jensen, J.L., A.J. Bohonak and S.T. Kelley. 2005. Isolation by distance, web service. BMC Genet. 6: 13. Version 3.21. (2012. 3. 7). 

  25. Jeong, J.H., Y.J. Park and Z.S. Kim. 2007. Genetic diversity and spatial structure of Symplocarpus renifolius on Mt. Cheonma, Korea. Korean J. Plant Res. 20(6):530-539. 

  26. Kajimoto, T. 2002. Factors affecting seedling recruitment and survivorship of the Japanese subalpine stone pine, Pinus pumila, after seed dispersal by nutcrackers. Ecol. Res. 17(4):481-491. 

  27. Kang, B.Y., K.N. Hong, J.M. Chung and Y.P. Hong. 2003.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Korean black raspberry(Rubus coreanus) at Mt. Chiak using I-SSR markers. Jour. Korean For. Soc. 92(6):558-566 (in Korean). 

  28. Kim, C.S., S.H. Han, W.Y. Lee, J.C. Lee, Y.K. Park and C.Y. Oh. 2005. Biochemical adaptation of Pinus pumila on low temperature in Mt. Seorak, Korea. Korean J. Plant Res. 8(3):217-224. 

  29. Kong, W.S. 2000. Geoecology on the subalpine vegetation and landscape of Mt. Sorak.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5(2):177-187 (in Korean). 

  30. Kong, W.S. 2006. Biogeography of native Korean Pinacea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1):73-93 (in Korean). 

  31.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Seoul, Korea. p. 332 (in Korean). 

  32. Krebs, C.J. 1999. Ecological Methodology (2nd ed.). Addison Welsey Educational Publishers, Inc. CA, USA. pp. 192-195. 

  33. Kwon, H.J., J.H. Gwon, K.S. Han, M.Y. Kim and H.K. Song. 2010. Subalpine forest vegetation of Daecheongbong Area, Mt. Seoraksan. Kor. J. Env. Eco. 24(2):194-201 (in Korean). 

  34. Lewontin, R.C. 1972. The apportionment of human diversity. Evol. biol. 6:381-398. 

  35. Nakonechnaya, O.V., A.B. Kholina, O.G. Koren, V. Janecek, A. Kohutka, R. Gebauer and N. Zhuravlev. 2010. Characterization of gene pools of three Pinus pumila (Pall.) Regel populations at the range margins. Russ. J. Genet. 46(12): 1417-1425. 

  36. Nei, M. 1978. Estimation of average heterozygosity and genetic distance from a small number of individuals. Genetics 89(3):583-590. 

  37. Pielou, E.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ey-Interscience, NY, USA. pp. 1-286. 

  38. Reusch, T.B.H., W. Hukriede, W.T. Stam and J.L. Olsen. 1999. Differentiating between clonal growth and limited gene flow using spatial autocorrelation of microsatellites. Heredity 83(2):120-126. 

  39. Senjo, M., K. Kimura, Y. Watano, K. Ueda and T. Shimizu. 1999. Extensive mitochondrial introgression from Pinus pumila to P. parviflora var. pentaphylla (Pinaceae). J. Plant Res. 112(1):97-106. 

  40. Sydes, M.A. and R. Peakall. 1998. Extensive clonality in the endangered shrub Haloragodendron lucasii (Haloragaceae) revealed by allozymes and RAPDs. Mol. Ecol. 7(1):87-93. 

  41. Tani, N., N. Tomaru, M. Araki and K. Ohba. 1996. Genetic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in populations of Japanese stone pine (Pinus pumila) in Japan. Can. J. Forest Res. 26(8): 1454-1462. 

  42. Tani, N., N. Tomaru, Y. Tsumura, M. Araki and K. Ohba. 1998. Genetic structure within a Japanese stone pine (Pinus pumila Regel) population on Mt. Aino-Dake in central Honshu, Japan. J. Plant Res. 111(1):7-15. 

  43. Tomback, D.F. 1980. How nutcrackers find their seed stores. Condor 82:10-19. 

  44. Torimaru, T. and N. Tomaru. 2005. Fine-scale clonal structure and diversity within patches of a clone-forming dioecious shrub, Ilex leucoclada (Aquifoliaceae). Ann. Bot. 95(2): 295-304. 

  45. Vaughan, S.P., J.E. Cottrell, D.J. Moodley, T. Connolly and K. Russell. 2007. Clonal structure and recruitment in British wild cherry (Prunus avium L.). Forest Ecol. Manag. 242 (2-3):419-430. 

  46. Wallace, L.E. 2002. Examining the effects of fragmentation on genetic variation in Platanthera leucophaea (Orchidaceae): Inferences from allozyme an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s. Plant Spec. Biol. 17(1):37-49. 

  47. Waller, D.M., D.M. O'Malley and S.C. Gawler. 1987. Genetic variation in the extreme endemic Pedicularis furbishiae (Scrophulariaceae). Conserv. Biol. 1(4):335-340. 

  48. Watano, Y., M. Imazu and T. Shimizu. 1995. Chloroplast DNA typing by PCR-SSCP in the Pinus pumila-P, parviflora var. pentaphylla Complex (Pinaceae). J. Plant Res. 108(4):493-499. 

  49. Yeh, F.C., R.C. Yang, T.B.J. Boyle, Z.H. Ye and J.X. Mao. 1997. POPGENE, the user-friendly shareware for population genetic analysis.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Centre,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Canad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