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먹넌출은 안면도 지역에서만 소나무 숲에서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덩굴성 식물이다. 본 연구는 먹넌출 집단의 분포형태와 특성, 유전다양성 및 공간분포에 따른 유전구조를 파악하는데 있다. 선발된 8개 I-SSR primer에서 총 50개의 I-SSR 증폭산물을 얻었으며 37개의 단형성 증폭산물을 제외한 13개의 다형적 증폭산물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을 위한 조사구 $90m{\times}70m$내에 총 39개체의 먹넌출이 자생하고 있었으며, 군집지수(aggregation index)는 0.706으로 집중분포(clumped distribution)하는 공간분포를 나타냈다. I-SSR 표지자 분석 결과 39개체 중 유전자형이 서로 다른 21개의 유성생식체(genet)가 식별되었으며, 유전자형 비율(G/N)은 53.8%, 유전자형 다양성(D)은 0.966, 유전자형 균등도(E)는 0.946으로 각각 나타났다. Shannon의 다양성지수(I = 0.598)는 적은 개체수와 제한적 분포에도 불구하고 다른 수종들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유전다양성을 나타냈다. Tanimoto distance를 이용한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결과 안면도 먹넌출의 현지외 보존을 위한 표본 추출 전략은 6m 이상의 간격을 두고 개체를 선발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is only found in Anmyeon Island of South Korea. Genetic diversity and the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B. racemosa var. magna in Anmyeon Island were studied by I-SSR marker system. Fifty I-SSR amplicons were produced from 8 selected primers. We used 13 polymorphic mark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I-SSR 표지자 분석을 이용 소멸위기 수종인 먹넌출의 유전다양성과 공간분포에 따른 유전적 구조를 분석하고 현지외 생명자원 보존을 위한 보존표본 추출 전략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 Distogram에서의 거리등급(distance class)은 6m 간격으로 10개 거리등급으로 나눴고, 각 거리등급에서 3,000회의 permutation분석에 의해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여 자기상관성의 유의성 여부를 검정하였다. 또한 무성번식이 유전적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유성생식체 수준에서의 공간구조도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2개 이상의 개체에서 동일 유전자형이 나타나는 경우 근원 경이 큰 개체를 모수로 가정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무성번식이 유전적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유성생식체 수준에서의 공간구조도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2개 이상의 개체에서 동일 유전자형이 나타나는 경우 근원 경이 큰 개체를 모수로 가정하였다. 유전적 거리와 지리적 거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유성생식체 수준에서 Mantel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Isolation by Distance Web Service(IBDWS) v.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먹넌출은 무엇인가? racemosa) 등 3 수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모두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다(KNA, 2008; Lee, 2003). 그 중 먹넌출은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로서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며, 국내에서는 안면도에만 유일하게 분포하는 수종이다(KNA, 2008; Lee, 2003). 먹넌출의 기본종인 청사조는 전통적으로 약용으로 활용되었는데 최근 추출물이 백혈병 세포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먹넌출 또한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또는 미백 기능이 입증되어 유용한 식물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Chen and Carsten, 2007; Ji et al.
먹넌출은 번식에 있어서 어떤 특징을 갖는가? 먹넌출은 국가단위에서 취약종(VU/Vulnerable)으로 평가되어 있으며,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지 환경 악화로 인해 소멸 위험성이 매우 높아 자생지 확인 및 생명자원 보존을 위한 현지내・외 보전대책이 요구되고 있다(KNA, 2008). 덩굴성 식물로서 나무를 지지하고 올라가며 종자에 의한 유성번식과 줄기를 지표면에 내려 개체를 형성하는 무성번식을 하는 수종이다. 집단 내 개체수가 적고 보존 가치가 높은 먹넌출의 효율적인 보존을 위해서는 유전다양성뿐만 아니라 집단 내 형성되어 있는 공간적 유전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Escudero et al.
국내에서 먹넌출이 분포하는 곳은? racemosa) 등 3 수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모두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다(KNA, 2008; Lee, 2003). 그 중 먹넌출은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로서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며, 국내에서는 안면도에만 유일하게 분포하는 수종이다(KNA, 2008; Lee, 2003). 먹넌출의 기본종인 청사조는 전통적으로 약용으로 활용되었는데 최근 추출물이 백혈병 세포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먹넌출 또한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또는 미백 기능이 입증되어 유용한 식물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Chen and Carsten, 2007; J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eon, M.S. and Y.H. Kim. 2008. Veget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ics of Berchemia racemosa habits. Kor. J. Env. Eco. 22:679-690. 

  2. Chang, C.S., H. Kim, and T.Y. Park. 2003. Patterns of allozyme diversity in several selected rare species in Korea and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Biodivers. Conserv. 12:529-544. 

  3. Chen, T.L. and S. Carsten. 2007. Berchemia, p. 124-130. In: Z.Y. Wu, P.H. Raven, and D.Y. Hong. (eds.). Flora of China, Vol. 12.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4. Choi, H.S., K.N. Hong, J.M. Chung, B.Y. Kang, and W.W. Kim. 2004a. Genetic diversity and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in Mt. Halla, South Korea. J. Korean For. Soc. 93:175-180. 

  5. Choi, H.S., K.N. Hong, J.M. Chung, and W.W. Kim. 2004b. Spatial genetic sturucture and genetic diversity of a rare endemic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in Mt. Halla, Korea. Korean J. Ecol. 27:257-261. 

  6. Chung, M.G. and E.K. Epperson. 2000. Clonal and spatial genetic structure in Eurya emarginata (Theaceae). Heredity 84:170-177. 

  7. Clark, P.J. and F.C. Evans. 1954. Distance to nearest neighbor as a measure of spatial relationships in populations. Ecology 35:445-453. 

  8. Degen, B., R. Petit and A. Kremer. 2001. SGS-spatial genetic software: A computer program for analysis of spatial genetic and phenotypic structures of individuals and populations. J. Hered. 92:447-448. 

  9. Ellstrand, N.C. and M.L. Roose. 1987. Patterns of genotypic diversity in clonal plant species. Am. J. Bot. 74:123-131. 

  10. Escudero, A., J.M. Irionda, and M.E. Torres. 2003. Spatial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as a tool for plant conservation. Biol. Conserv. 113:351-365. 

  11. Fager, E.W. 1972. Diversity: A sampling study. Am. Nat. 106: 293-310. 

  12. Felsenstein, J. 2009. PHYLIP (Phylogeny Inference Package).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Version 3.69. http://evolution.genetics.washington.edu/phylip. 

  13. Hamrick, J.L. M.J.W. Godt, and S.L. Sherman-Broyles. 1992. Factors influencing levels of genetic diversity in woody plant species. New Forests 6:95-124. 

  14. Hong, Y.P., H.Y. Kwon, K.S. Kim, K.N. Hong, and Y.Y. Kim. 2004. Discordance between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genetic relationship among populations of Japanese red pine in Korea revealed by analysis of I-SSR markers. Silvae Genet. 53:89-92. 

  15. Jensen, J.L., A.J. Bohonak, and S.T. Kelley. 2005. Isolation by distance, web service. BMC Genet. 6:13. Version 3.21. http://ibdws.sdsu.edu/. 

  16. Ji, D.H., Y.T. Kim, K.N. Kang, Y.Y. Lee, and S.H. Cho. 2012.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having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 Korea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10-2011-0083528). 

  17. Kang, B.Y., K.N. Hong, J.M. Chung, and Y.P. Hong. 2003.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Korean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at Mt. Chiak using I-SSR markers. J. Korean For. Soc. 92:558-566. 

  18. Kawamoto, T. 1943. Illstrated manual of Korean trees and shrubs ( Chosen Shinrin Shokubutsu Zusetsu). Chosen Natural History Museum Society, Seoul. p. 476-477. 

  19.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Seoul. p. 186. 

  20. Kong, W.S.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lpine plants. Kor. Geogr. Soc. 37:357-370. 

  21. Krebs, C.J. 1999. Ecological methodology. 2nd ed. Addison Welsey Educational Publishers Inc., California, USA. p. 192-195. 

  22. Kwon, H.Y. and Z.S. Kim. 2002. I-SSR variation within and among Korean populations in Taxus cuspidata. J. Korean For. Soc. 91:654-660. 

  23.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 716. 

  24. Lee, S.W., C.S. Kim, K.J. Cho, and W.Y. Choi. 1997. Genetic variation in the endemic rare tree species,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K. Koch. Korean J. Breed. 29:376-381. 

  25. Lee, S.W., Y.M. Kim, and W.W. Kim. 2003. Lack of allozyme and ISSR variation in the rare endemic tree species, Berchemia berchemiaefolia (Rhamnaceae) in Korea. Ann. For. Sci. 60: 357-360. 

  26. Lewontin, R.C. 1972. The apportionment of human diversity. Evol. Biol. 6:381-398. 

  27. Nei, M. 1978. Estimation of average heterozygosity and genetic distance from a small number of individuals. Genetics 89: 583-590. 

  28. Park, I.H. and K.J. Cho. 2011.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itality analysis of the Berchemia berchemiaefolia habitat. J. Korean Env. Res. Tech. 14(2):97-105. 

  29. Pearman, P., A. Guisan., O. Broenninmann, and C.F. Randin. 2007. Niche dynamics in space and time. Trends Ecol. Evolution 23:149-158. 

  30. Pielou, E.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ey-Interscience, New York. 

  31. Reusch, T.B.H., W. Hukriede, W.T. Stam, and J.L. Olsen. 1999. Differentiating between clonal growth and limited gene flow using spatial autocorrelation of microsatellites. Heredity 83: 120-126. 

  32. Sato, N., S. Ohta, N. Sakurai, A. Kamogawa, T. Inoue, and M. Shinoda. 1995. Protective effects of the stem of Berchemia racemosa Sieb. et Zucc. on experimental liver injuires. J. Pharmaceutical Soc. Japan 115:295-306. 

  33. Song, J.H., J.J., Kang, K.S., and S.D. Hur. 2008. The variation of leaf form of rare endemic Berchemia berchemiaefolia populations. J. Korean. For. Soc. 97:431-436. 

  34. Song, J.H., K.H. Jang, B.H. Yang, and H.I. Lim. 2011. Propagation method of natural monument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Makino using hardwood cutting. Korea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10-2011-0026543). 

  35. Song, J.H., H.I. Lim, K.N. Hong, K.H. Jang, and Y.P. Hong. 2012. Genetic diversity and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dwarf stone pine in Daecheongbong Area, Mt. Seorak. Korean J. Plant Res. 25:407-415. 

  36.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UNEP). 2010. Conference of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Decision X/17. Consolidated update of the global strategy for plant conservation 2011-2020. http://www.cbd.int/decision/cop/?id12283. 

  37. Wang, Y.F., J.X. Cao, T. Efferth, G.F. Lai, and S.D. Luo. 2006. Cytotoxic and new tetralone derivatives from Berchemia floribunda (Wall.) Brongn. Chem. Biodivers. 3:646-653. 

  38. Yeh, F.C., R.C. Yang, T.B.J. Boyle, Z.H. Ye, and J.X. Mao. 1997. POPGENE, the user-friendly shareware for population genetic analysis.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Centre,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Canad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