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 사찰음식으로 이용되는 식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ts Used as Temple Food in Jeju Island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5 no.4, 2012년, pp.465 - 472  

송정민 (제주대학교 화학과) ,  양효선 (제주대학교 화학과) ,  선병윤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철환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  도선길 ((주)유니베라) ,  김영주 ((재)제주테크노파크 코스메틱클러스터사업단) ,  송관필 ((재)제주테크노파크 코스메틱클러스터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사찰에서 음식으로 이용되는 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5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수행되었다. 조사대상 사찰은 36개 사찰이었고 설문대상자는 58명이었다. 사찰에서 이용하는 식물종은 27과 51속 55종 2변종 총 57분류군이었다. 이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과단위 분류군은 국화과가 8종으로 가장 많고, 십자화과 6종, 산형과 4종 등의 순이었으며, 목본 식물은 10종, 제주지역 자생식물은 25종이었다. 식물체의 이용부위는 잎을 사용하는 종이 19종으로 가장 많았고, 뿌리, 어린순, 열매 순 이었다. 특허검색을 통한 지식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식물은 조사식물 대부분이 포함되었고, 이 중 식품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 48종, 화장품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것이 34종, 의약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 38종으로 집계되었다. 제주지역 사찰 음식에 사용하는 식물재료의 구입 및 조달 방법은 주변의 식물 활용보다는 시장 또는 재배에 의존하고, 산나물 채취에 의한 사용은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제주 생물자원의 이용에 대한 전통지식의 수집은 사찰 보다는 다른 조건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plants that were used as temple food in Jeju from May 2011 to January 2012. Thirty-six temp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re were 58 questionnaire respondents. Fifty-seven taxa were used as temple food, which belonged to 27 families, 51 genera, 55 species, and two varieties. Th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 지역에 분포하는 12개의 전통 사찰을 비롯한 24개의 일반 사찰을 대상으로 식재료로 이용되는 식물 및 이용정보를 확보하여 전통지식의 효율적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에는 몇 개의 사찰이 있는가? 제주도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서가 긴 타원형의 화산섬으로 273개소의 사찰이 있고, 이중 12개의 사찰이 문화재로 지정돼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08). 사찰 음식은 자연의 생산물을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여 섭취하는 환경 중심적 식문화를 갖는다(Sun, 2002).
사찰 음식에 이용되는 식물은 몇 종류가 있는가? 우리나라 전통 음식의 하나인 사찰 음식에 이용되는 식물은 65과 135속 161종으로 이 중 132종이 약용식물로 약성을 가지고 있다는 보고(송 등, 2005), 사찰음식의 대중화를 위한 보고(김, 1999; Sun, 2002; 장, 2011), 음식을 먹는 스님들의 건강에 대한 연구(Lee, 1996; Kim and Lee, 2006) 등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사찰의 음식도 생활양식 및 시대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으나, 불살생의 규율 때문에 육류의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아 단백질과 지질의 섭취가 부족할 뿐 비타민과 무기질의 결핍이 없는 식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성인병 질환이 일반인들에 비해서 양호하다는 보고가 있는 바와 같이 건강식으로서 전통 사찰 음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Yoo and Lee, 1996).
제주도만의 사찰 음식에 관한 조사 및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는? 현재 국내에는 전통사찰이 935개소인 것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이 중, 제주도에는 12개 사찰이 전통사찰로 지정되어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08). 이처럼 육지지역의 사찰 수에 비하여 제주도의 사찰 수가 적기 때문에 사찰 음식에 관한 연구는 주로 육지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결과적으로 육지지역과는 전혀 다른 생태적 환경을 갖는 제주도만의 사찰 음식에 관한 조사 및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ung, G.Y., M.S. Park, B.M. Nam, K.N. Hong, J. Jang and C.H. Lee. 2010. The regional folk plants in inland of Gyeongsangbuk-do(I). Korean J. Plant Res. 23(5):465-479 (in Korean). 

  2. Chung, G.Y., M.S. Park, B.M. Nam, D.H. Jeong, D.H. Lee, Y.H. Shin, H.J. Kim and S.H. Kang. 2011. The folk plants in southern region of Gangwon-do. Korean J. Plant Res. 24(4):379-394 (in Korean). 

  3.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482. 

  4. Hong, G.J., Y.S. Lee, J.S. Nam, H.K. An and E.J. Lee. 2007. A study on the preference determinant of buddhist temple food. Korean J. Food & Nutr. 4:387-391 (in Korean). 

  5. Im, H.T., H.H. Hong, H.D. Son, M.S. Park, B.M. Nam, B.K. Kwon, C.H. Lee and G.Y. Chung. 2011. The usage of regional folk plant in Gyeongsangnam-do. Korean J. Plant Res. 24(4):419-429 (in Korean). 

  6. Kim, J.A, and S.Y. Lee. 2006. Evaluation of served menu and management of food service in Korean buddhist temples. J. East Soc. Dietary 16(2):215-225 (in Korean). 

  7.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n. Vol. I.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4 (in Korean). 

  8.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n. Vol. II.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0 (in Korean). 

  9. Lee, W.T. 1996. Standard Illustration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24 (in Korean). 

  10.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G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247 (in Korean). 

  11. Park, S.M. 2010. The aspect and meaning of the lore on picking wild edible greens. Kor. Folklore 52:137-178 (in Korean). 

  12. Sun J. 2002. Nature and zen food in temple.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5(1):33-39 (in Korean). 

  13. Yoo, Y.S. and Y.H. Lee. 1996. A study on the dietary life and ntrutionl status of the buddhist priests. J. East Soc. Dietary 6(3):425-434 (in Korean). 

  14. 김영인. 1999. 일상식에 이용할 수 있는 사찰음식에 관한 고찰. 상지대학교 논문집 21:299-305. 

  15. 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이경순. 2004. 중약대사전. 정담, 서울. p. 5174. 

  16. 김한주. 2004. 제주도 약용식물자원에 관한 조사연구. 제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제주대학교, 제주. p. 202. 

  17. 문관심. 1984. 약초의 성분과 이용. 과학.백과사전 출판사, 평양. p. 912. 

  18. 문화체육관광부. 2008. 한국의 종교현황.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pp. 157-164. 

  19. 송미장, 김현, 서혜경. 2005. 한국사찰음식에 이용된 식물들의 민속 약학적 분석. 한국정신과학학회지 9(2):1-16. 

  20. 이철호, 김규식, 현창우, 송관필, 강창훈. 2009. 한반도 민속식물 III - 제주도. 국립수목원,경기. p. 226. 

  21. 안덕균. 1998.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서울. p. 928. 

  22. 장병주. 2011. 한국전통사찰음식의 대중화와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7(2):147-162. 

  23. 특허정보검색서비스(http://www.kipris.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