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찰음식관여도가 템플스테이의 체험만족도와 추천, 그리고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n Experience Satisfaction of Temple Foods, Recommendation, and Revisit Intentions toward Temple Stay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1, 2015년, pp.210 - 224  

신경이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  나영아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  황영정 (한국국제대학교 외식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사찰음식의 관여도가 템플스테이의 체험요소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여,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지각된 가치의 수준을 파악하며, 지각된 사찰음식 가치의 영향을 분석하고, 템플스테이의 체험요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사찰음식 가치와 템플스테이의 체험요소 및 만족도의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첫째, "사찰음식의 관여도(감정적, 사회적)가 템플스테이 체험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둘째, "사찰음식이 관여한 감정적, 사회적 가치가 템플스테이 만족도(추천의도,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셋째, "템플스테이 체험요인이 만족도, 즉 재방문 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모두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사찰음식 관여도가 템플스테이 체험요인에 모두 정(+)의 방향으로 템플스테이 체험동기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사찰음식을 통한 감정적 사회적 관여도는 체험만족도 추천의도와 재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volvement in temple food on overall satisfaction, recommendation, and revisit intention. From June 15 to August 30, 2014, for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temple stay at four temples in South Korea, the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템플스테이의 체험요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넷째, 사찰음식 가치와 템플스테이의 체험요소 및 만족도의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처럼 사찰음식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사찰음식에 대한 근본적인 특성, 식재료 등 사찰 음식이 내포하는 가치성과 지각성 등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 중에 체험요소, 대인 교류감, 신기성, 휴식, 자연 친화감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공급자 차원에서의 분석을 하고자 한다. 또한,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사찰음식의 변수들이 템플스테이 체험만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 중에 체험요소, 대인 교류감, 신기성, 휴식, 자연 친화감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공급자 차원에서의 분석을 하고자 한다. 또한,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사찰음식의 변수들이 템플스테이 체험만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사찰음식 관여도가 템플스테이의 체험요소 변수들과 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사찰음식 세계화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Pine BJ & Gil- more JH(1999)의 4가지 체험영역에 근거를 둔 선행연구들과 같은 맥락으로 4가지 체험요소와 함께 불교적 특성의 체험영역으로써 사찰음식 체험요소를 더하여 총 4가지 체험요소를 템플스테이에 적용하였다. 또한, 체험 특성에 따른 각각의 체험요소가 체험의 즐거움과 기억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대표적인 체험관광 상품으로써 템플스테이의 가치를 살펴보고, 템플스테이 활성화를 위한 발전발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또한,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사찰음식의 변수들이 템플스테이 체험만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사찰음식 관여도가 템플스테이의 체험요소 변수들과 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사찰음식 세계화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실증적 분석을 통해 사찰음식의 관여도가 템플스테이의 체험요소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구체적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설계는 한국적인 자연 환경과 한국의 전통 불교문화가 어우러진 템플스테이 체험시 사찰음식에 관여된 가치 수준과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템플스테이 체험요소와 템플스테이 만족도 질 관리 차원에서 발전을 모색하여, 지역의 특색있는 사찰음식 상품으로 활성화를 위한 가능한 제안을 찾고자 함에 있다. 체험만족도의 요인으로는 첫 번째 일탈감의 요인과 휴식을 묶어 휴식이라는 단일변수, 두 번째 모험감, 신기․이색체험, 지적체험, 창의적 체험을 묶어 신기감이라는 단일변수, 세 번째 자연 친화감, 네 번째 대인 교류감을 체험만족도의 요인으로 설정하였다(Fig.
  • 사찰음식과 템플스테이의 프로그램으로 인한 체험만족요인이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 사찰음식 관여도는 템플스테이 체험 만족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둘째, “사찰음식이 관여한 감정적, 사회적 가치가 템플스테이 만족도(추천의도,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가설 1에서 설명했듯이, 지각된 서비스 상품은 소비태도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런 맥락에서 사찰음식이 관여된 감정적, 사회적 가치는 개인마다 다른 느낌이나 혹은 템플스테이를 통해 긍정적 만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가설 2 : 사찰음식의 체험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 사찰음식의 체험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찰음식의 특징은 무엇인가? 사찰음식은 대부분의 식재료가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Song MJ et al 2005), 오신채라고 하는 마늘, 부추, 파, 홍거, 그리고 달래를 첨가하지 않은 고유한 특성이 있는 음식이기 때문에, 내국인뿐 아니라, 외국인들에게도 매력적인 외식 트랜드로 인식되고 있다(Hong GJ 2007). 이에 최근 웰빙과 슬로우 푸드의 대명 사적 역할 및 전통회귀와 복고이미지의 상품화(홍승스님 2009)로 주목을 받고 있다.
템플스테이란 무엇인가? 템플스테이(temple stay)란 전통 사찰에서 사찰 활동의 참여를 위해서 장기 혹은 단기간 머무는 것을 말하며, 사찰 활동에는 계획적인 사찰 활동과 비계획적인 사찰 활동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체험요인들은 전통문화와 오랜 역사를 확인할 수 있는 문화관련 체험관광이며, 현대인에게 이완과 즐거움을 주는 체험관광이라 할 수 있다.
체험의 중요성을 강조한 체험경제이론에서 구분하는 4가지 체험요소는? 체험의 중요성을 강조한 체험경제(experience economy) 이론에서 중요한 4가지 체험요소는 오락(entertainment)적 체험, 교육(educational)적 체험, 일탈(Escapist)적 체험, 심미(esthetic)적 체험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체험을 통해 형성된 오락적, 교육적, 심미적, 일탈적 체험요소는 체험에 대한 특별한 기억을 만들고, 즐거움을 느끼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Pine BJ & Gil- more JH(1999)의 4가지 체험영역에 근거를 둔 선행연구들과 같은 맥락으로 4가지 체험요소와 함께 불교적 특성의 체험영역으로써 사찰음식 체험요소를 더하여 총 4가지 체험요소를 템플스테이에 적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ee IS, Yoon HS, Kim YM (2009). Recognition & preference of Yaksun food. Chodang University, 5:184. 

  2. Joung S (1976). Sansa Food and Tea Fragrance. Shindonga (5):374-377. 

  3. Joung HR (2010). Sachal eumsik and cultural tourism: A study of enhancement plan for the values of Sachal eumsik and cultural tourism of cultural contens. Master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YoungIn. 

  4. Hong (2009). The study on popularization plans and value of Korean temple food, institu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7-8. Seoul. 

  5. Han BJ, Seo HK, Hwang HS, Han JA (1997).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Korean Food VI. Hanrim, 423. Seoul. 

  6. Ahn HY (2012). The effects of templestay experience tourism on the tourism satisfaction. Youngsan University. 104-108, Yangsan. 

  7. Choi SW, Cho SH (2010). Effect of health-orientated menu for restaurant customers on LOHAS, herbal food,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Korean Jounal of Culinary Research 16(2):96-109. 

  8. Chung YJ (2009). The leisure-psychological model of the temple stay experience.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9. Chun BG, Kim MJ (2012). Antecedents of temple stay satisfactio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7(4):411-433. 

  10. Han SY, Um SH (2005). Verification on experience realms of pine and gilmore: The cas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of experiential activities at Hansan Ramie Festiva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9(2):131-148. 

  11. Hong GJ, Lee YS, Nam JS, An HK, Lee EJ (2007). A study on the preference determinants of buddhist temple food.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0(4):384-391. 

  12. Jeon HJ, Park SS, Jeong C (2011). An effect of perceived value of package tour product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5(7):275-297. 

  13. Jeon HW, Kim KS (2014). The effect of satisfaction on the involvement of temple food - Moderating effect of well-being index. Journal of Hotel & Resort 13(1):77-99. 

  14. Kang JH, Kang JH (2014). The effect of healing food image and recognition of Jeonju native local food on purchase inten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9(3):181-204. 

  15. Kim HY (1999).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connected with regional festival. Culinary Society of Korea 5(2):211-234. 

  16. Kim MM, Kim SB, Lee SB (2012).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and involvement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food festival setting: A case of 2010 Gyeongju Traditional Drink and Ricecake Festival.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6(6):271-285. 

  17. Lee JR (2013). A study on buddhist monks' dietary life in relation to the contemporary culture of well-being,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8:57-79. 

  18. Lee JY, Kwon MY (2009). Effects of involvement of food tourists' on participation in food tourism activities and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13(2):177-198. 

  19. Lee YJ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ood tourism in Kangwon-do. Institution of Kangwon Development, 8:13. Chuncheon. 

  20. Nam Y, Heo SH, Hong KP (2012). A study on the external settings for temple stay-centered about Sudeoksa Temple and Woljeongsa Templ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0:33-40. 

  21. Ryu SS (2007). Studies on traditional buddhist temple food 1. Kimchi in buddhist temple, Korean J. Food & NUTR 9(4):516-520. 

  22. Son IH (2000). The effect of cross-cultural tourism experience and tourist site attribute on satisfaction and choice.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23. Song MJ, Kim H, Seo HY (2005). Medical and ethnical analysis of plants by using temple fo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Jungshin Science. 9(2):1-16. 

  24. Sung YS, Ko DW, Jung JH (1996). Psychological meaning of leisur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9(2):17-40. 

  25. Yang IS, Chang HJ, Shin SY, Chung LN (2004). Inbound tourism product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7(3):87-116. 

  26. Yoon SM, Jung HJ (2012).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of flow experienc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visitors of temple stay.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6(6):227-246. 

  27. Bello DC, Etzel MG (1985). The rule of novelty in the pleasure travel experience. Journal of Travel Research 24:20-26. 

  28. Chen CF, Chen FS (2010). Experience quality,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heritage tourists. Tourism Management 31(1):29-35. 

  29. Iso-Ahola, Seppo E (1983). Toward a social psychology or recreation travel. Leisure Science 2(1):45-56. 

  30. Krugman HE (1965). The impact of television advertising: Learning without involvement. Public Opinion Quarterly 29(3):349-356. 

  31. McDougall GHG, Levesque T (2000). Customer satisfaction with services: Putting perceived value into equation.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14(5):329-410. 

  32. Oh H, Flore AM, Jeoung M (2007). Measuring experience economy concepts: Tourism applica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46(2):119-132. 

  33. Oliver RL (1996).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M. E. Sharpe, New York. 

  34. Pierce PL (1982). The social psychology of tourist behavior. Annals of Tourism Research 10(4):580-582. 

  35. Pine, BJ, Gilmore, JH (1998) July-August).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Boston, MA. 

  36. Pine BJ, Gilmore JH (1999). The Experience Economy : Work is Theatre & Every Business a Stage. Ha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M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