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식·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사찰음식에 대한 인식 및 대중화 방안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and Propagation for Temple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related Major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2, 2018년, pp.137 - 147  

허인준 (동국대학교-서울 가정교육과) ,  이심열 (동국대학교-서울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and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opularization and the fostering of professional lecture in temple food.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식·조리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찰음식에 대한 인식과 대중화 방안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여 향후 사찰음식 발전 방향 및 대중화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외 식 시장을 선도할 외식·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사찰음식 및 사찰음식 대중화 방안에 대한 인식 등을 파악하여 사찰음식 조리 교육 연구 시초를 마련하고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외식·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찰음식에 대한 인식, 섭취실태, 대중화 현황 등에 관하여 알아보고, 향후 사찰음식 대중화 · 세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찰음식의 대중화가 어려운 이유는? 그동안 사찰음식은 종교 음식이라는 인식이 강하여 사찰 내의 스님이나 극히 일부 신도들만이 접할 수 있는 음식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사찰음식의 전통적, 문화적 가치와 건강식으로서의 우수성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일반인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12].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사찰음식에 관심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조리방법, 흔하지 않은 식재료의 사용, 표준화된 조리법 부재 등의 이유로 지금까지 대중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13]. 기존의 사찰음식에 관한 연구는 주로 사찰음식에 대한 인식, 사찰음식의 선호도, 사찰음식의 관광 상품화 방안, 사찰음식 조리법 및 메뉴개발, 식단분석, 사찰음식 섭취와 건강 등에 관한 연구이며[5,9-11,14], 사찰음식 대중화에 관한 성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사찰음식을 접할 기회가 적은 젊은 층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그러나 본 조사대상 대학생들의 사찰음식에 대한 관심 및 인식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그 원인으로 사찰음식을 접할 기회가 적은 것 때문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이들 젊은 층을 위한 다양한 사찰음식 문화 체험 및 효과적인 홍보 프로그램을 개발 및 활성화를 하여 활발한 참여를 통해 사찰음식에 대한 긍정적 관심 및 인식을 높이고, 사찰음식을 널리 보급 시키기 위한 적절한 사찰음식 관련 교과과정 개발을 통하여 교육 기회를 높이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찰음식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사찰음식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의미와 전통은 살리되 현대인의 입맛에 맞도록 레시피를 일부 수정, 보완하고 표준화된 조리법을 개발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찰음식의 특징은? 특히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음식이면서 채식 위주인 사찰음식이 건강식으로 인지하게 되어 현대인의 건강을 지켜줄 새로운 웰빙 푸드로서 관심을 받게 되었다[8,9]. 사찰음식은 절에서 스님들이 수행하면서 먹는 음식으로, 사찰음식의 주요 특징은 우유 및 유제품을 제외한 일체의 동물성 식품을 사용하지 않으며 술과 오신채(五辛菜)라고 하는 다섯 가지 매운맛을 내는 채소인 파, 마늘, 부추, 달래, 흥거의 사용을 금하고 있다[10]. 천연 식재료 및 조미료를 사용하며 다양한 식물성 식재료를 주재료로 사용함으로써 풍부한 섬유소, 비타민과 무기질, 식물성 지방산을 제공하여 현대인들에게 건강식이며 웰빙 식문화에 가장 근접한 식단이라 할 수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hin DK, Jang BJ. A study of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temple food for tourism. Tour Res 2004; 2004: 471-482. 

  2. Kang YE, Lee SY. Utilization of internet dietary information by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Korean J Hum Ecol 2016; 25(6): 811-821. 

  3. Lee SL, Lee SH. Survey on health-related factors,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Won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2): 96-108. 

  4. Ko MS.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dietary habits and body compos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body mass index. Nutr Res Pract 2007; 1(2): 131-142. 

  5. Hong GJ, Lee YS, Nam JS, An HK, Lee EJ. A study on the preference determinants of Buddhist temple food. Korean J Food Nutr 2007; 20(4): 384-391. 

  6. Jeon HW. The effects on Sachaleumsik involvement of intention relation: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Korea Tour Res Assoc 2011; 25(5): 295-313. 

  7. Jeon HW, Cho SH, Lee MH.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emple food on satisfaction: moderating effect of religion. Culi Sci Hosp Res 2013; 19(4): 40-55. 

  8. Jin YH, Cho JO. The effect of the next generati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food on the popularization of foodservice industry. Culi Sci Hosp Res 2007; 13(3): 1-11. 

  9. Lee SY, Kim JA. A study on temple food intake and health.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4; 24(6): 691-699. 

  10. Kim JA, Lee SY. Evaluation of served menu and management of foodservice in Korean Buddhist temple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6; 16(2): 215-225. 

  11. Lee SY, Kim JA.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menu with temple food.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5): 338-350. 

  12. Kwak JH, Hong KW. Influences of the quality of life and education satisfaction in the temple food course: focused o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type. Korean J Tour Res 2016; 31(4): 231-247. 

  13. Cho MH. Research on the strategy to popularize the traditional Korean Zen cuisine [master's thesis]. Sookmyong women's University; 2002. 

  14. Jang BJ. A exploratory study on the method for population and tourism commerci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temple food. Northeast Asia Tour Res 2011; 7(2): 147-162. 

  15. Sung Y, Seo SY. Awareness of temple food for popularizing temple food preference and food research. Korea Acad Soc Tour Manag 2016; 31(5): 311-330. 

  16. Jeon HW, Cho SH, Lee MH.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emple food on satisfaction: moderating effect of religion. Culi Sci Hosp Res 2013; 19(4): 40-55. 

  17. Kim JH, Hong KW. The effect of the selected attributes of Korean temple food on satisfaction and the repurchase intention. J Hotel Resort 2016; 15(1): 283-302. 

  18. Jin YH. A study on recognition of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mong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service. Culi Sci Hosp Res 2011; 17(5): 57-73. 

  19. Kim TH, Lee EJ, Lee EJ. A study on perception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related majors. Korean J Food Cult 2009; 24(6): 597-606. 

  20. Chung, HJ. A study on the Korean food (Hansik) curriculum of culinary art & science related department: focus on the mainly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Korean J Hum Ecol 2011; 20(1): 183-194. 

  21. Kang JH, Kim JE. A survey of the perception of the superior factors to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college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Korean J Food Cult 2009; 24(2): 155-163. 

  22. Jin YH, Jo JO, Moon HY. A study on the effect of traditional food acce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with food majors in Seoul on menu development. Korean J Culi Res 2008; 14(4): 176-187. 

  23. Bae YH. A study of the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East Asian Soc Buddhist Cult 2015; 22: 636-670. 

  24. Kang KK. A study on the current availability and popularization of the Korean Buddhist temple dish [master's thesis]. Chodang University; 2010. 

  25. Son HJ. Satisfaction with and perception of the curricula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pecialized in training professional cook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2012. 

  26. Moon YS, Lee SY. A study on recognition, preference and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among local and foreign restaurant visitors.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1): 53-62. 

  27. Jeon HY, Kim KS. The effect of satisfaction on the involvement of temple food. J Hotel Resort 2011; 13(1): 77-99. 

  28. Hwang EG, Kim SJ, Kim BG, Lee JY. Awareness analysis for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in monks. J Korean Data Inform Sci Soc 2015; 26(6): 1217-1224. 

  29. Hwang EG, Ann YG, Kim BK. A survey analysis of perception about popularization for temple food based on consumer. Korean J Food Nutr 2017; 30(1): 67-73. 

  30. Jang SC, Ha JY. The influence of cultural experience: emotions in relation to authenticity at ethnic restaurants. J Foodserv Bus Res 2015; 18(3): 287-306. 

  31. Park ES. Factors of food adaptation and changes of food habit on Korean residing in America. Korean J Diet Cult 1997; 12(5): 519-529. 

  32. Byun KS, Cho YD, Kim CS. Opening of education program in the culinary related departments and 2012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division of food service & hotel culinary industry. Korea Acad Soc Tour Manag 2012; 27(4): 271-2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