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거기반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 수준 및 영향 요인
Level of Knowledge on Evidence-based Infection Control and Influencing Factors on Performance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3, 2012년, pp.232 - 243  

유재용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오의금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허혜경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부) ,  최모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knowledge and performances on evidence-based infection control and influencing factors on performance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Two hundred thirty-nine nurses at intensive car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인식과 연구 관련 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근거기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및 수행 수준과 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구체적인 수행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거기반의 감염관리 간호지식과 근거기반실무의 수행 수준 및 그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환자실의 효율적 감염관리를 위한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거기반의 감염관리 지식과 감염관리와 관련된 근거기반실무 수행의 수준을 확인하고, 실제 수행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근거기반의 중환자 감염관리를 위한 효율적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거기반 감염관리 지식과 근거기반실무 수행 수준을 확인하고, 근거기반실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과 근거기반실무 수행 수준을 조사하고, 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환자실 감염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근거기반실무 활성화의 전략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한데 의의가 있다.
  •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자가 기입 방식으로 실제 근거기반실무 수행의 실천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중환자 간호의 최일선에 있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근거기반 감염관리 간호지식 수준과 근거기반실무 수행 수준을 파악하고, 그 수행의 영향요인을 이해함으로서, 간호사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 차원에서의 근거기반실무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근거기반 감염관리 간호지식 수준과 근거기반실무 수행, 그리고 실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상자들의 근거기반 감염관리 간호지식 수준과 근거기반실무 수행은 중간 이하로 저조하였으며, 근거기반실무 수행의 영향요인에는 정기적 논문 읽기, 전문직 만족도, 감염관리 수업 이수 여부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감염이란 무엇인가? 병원감염(Nosocomial infection)은 병원균으로 인하여 입원기간 동안 또는, 퇴원 후에 발생하는 감염증으로, 미국에서는 매년 200만 건 이상의 병원감염이 발생하고 이는 입원 환자의 5~10%에 해당되며, 연간 250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Aragon & Sole, 2006). 국내의 경우 약 5.
일반 병동에 비해 병원감염을 증가시키는 중환자실의 환경적 특수성은 무엇인가? , 2010). 중환자실 병원감염의 원인으로는 환자의 기저질환과 같은 환자 요인뿐만 아니라, 인공호흡기나 중심정맥관과 같은 침습적 장치와 관련된 요인 등으로 알려져 있다(CDC, 2002).
국내에서 발생하는 병원감염 비율은 얼마인가? 병원감염(Nosocomial infection)은 병원균으로 인하여 입원기간 동안 또는, 퇴원 후에 발생하는 감염증으로, 미국에서는 매년 200만 건 이상의 병원감염이 발생하고 이는 입원 환자의 5~10%에 해당되며, 연간 250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Aragon & Sole, 2006). 국내의 경우 약 5.8~15.5%에서 병원감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orean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6). 병원감염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질병관리본부(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를 비롯하여 미국 병원감염 자문위원회(American Hospital Association's Advisory Committee on Infections within Hospitals), 미국의학협회 (Institute of Medicine, [IOM])와 미국 의료기관 신임위원회 (The Joint Commission on the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JCAHO]) 등에서는 근거기반실무(Evidence-based Practice, [EBP]) 수행이 병원감염을 포함한 보건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 핵심적인 단계임을 알리고, 의료 기관의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Fineout-Overholt, Levin, & Melnyk,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agon, D., & Sole, M. L. (2006). Implementing best practice strategies to prevent infection in the ICU.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8 (4), 441-452. 

  2. Ban, K. O. (2009).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rogram to prevent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the ICU.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 (2), 155-166. 

  3. Bonello, R. S., Fletcher, C. E., Becker, W. K., Clutter, K. L., Arjes, S. L., Cook, J., et al. (2008). An intensive care unit quality improvement collaborative in nin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hospitals: Reduc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nd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rates. The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34 (11), 639-645. 

  4. Brown, C. E., Wickline, M. A., Ecoff, L., & Glaser, D. (2009). Nursing practice,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ived barriers to evidence-based practice at an academic medical cente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 (2), 371-381. 

  5. Cabana, M. D., Rand, C. S., Power, N. R., Wu, A. W., Willson, M. H., Abboud, P. A., et al. (1999). Why don't physicians follow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 framework for improvement.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2 (15), 1458-1465. 

  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 Recommendations for th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 related infections. Retrieved October 15, 2011, from http://www. cdc.gov/ncidod/dhqp/gl_intravascular.html 

  7. Cho, G. L., & Choi, J. S. (2010).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by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7 (1), 73-81. 

  8. Fineout-Overholt, E., Levin, R. F., & Melnyk, B. M. (2004). Strategies for advancing evidence-based practice in clinical settings. The Journal of the New York State Nurses Association, 35 (2), 28-32. 

  9. Funk, S. G., Champagne, M. T., Wiese, R. A., & Tornquist, E. M. (1991). Barriers: The barriers to research utilization scale. Applied Nursing Research, 4 (1), 39-45. 

  10. Gerrish, K., Nolan, M., McDonnell, A., Tod, A., Kirshbaum, M., & Guillaume, L. (2012). Factors influencing advanced practice nurses' ability to promote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frontline nurses.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9 (1), 30-39. 

  11. Gurses, A. P., Marsteller, J. A., Ozok, A., Xiao, Y., Owens, S., & Pronovost, P. J. (2010). Us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linicians' compliance with evidence- based guidelines. Critical Care Medicine, 38 (8), 282- 291. 

  12. Hatler, C. W., Mast, D., Corderella, J., Mitchell, G., Howard, K., Aragon, J., et al. (2006). Using evidence and process improvement strategies to enhance healthcare outcomes for the critically ill: A pilot projec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5 (6), 549-555. 

  13. Jain, M., Miller, L., Belt, D., King, D., & Berwick, D. M. (2006). Decline in ICU adverse events, nosocomial infections and cost through a quality improvement initiative focusing on teamwork and culture change.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5 (4), 235-239. 

  14. Korean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6).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3rd ed.). Seoul: Han-Mi Medical Publishing. 

  15. Kwak, Y. G., Lee, S. O., Kim, H. Y., Kim, Y. K., Park, E. S., Jin, H. Y., et al. (2010). Risk factors for device-associated infection related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intensive care units: Findings from the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75 (3), 195- 199. 

  16. Labeau, S., Vandijck, D. M., Claes, B., Van Aken, P., & Blot, S. I. (2007). Critical care nurses' knowledge of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preven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n evaluation questionnair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6 (4), 371-377. 

  17. Labeau, S., Vandijck, D., Rello, J., Adam, S., Rosa, A., Wenisch, C., et al. (2008).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Results of a knowledge test among European intensive care nurses. Th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70 (2), 180-185. 

  18. Labeau, S., Vandijck, D. M., Rello, J., Adam, S., Rosa, A., Wenisch, C., et al. (200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preventing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 Results of a knowledge test among 3405 European intensive care nurses. Critical Care Medicine, 37 (1), 320-323. 

  19. Labeau, S., Vereecke, A., Vandijck, D. M., Claes, B., & Blot, S. I. (2008). Critical care nurses' knowledge of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preventing infections associated with central venous catheters: An evaluation questionnair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7 (1), 65-71. 

  20. Lorente, L., Blot, S., & Rello, J. (2007). Evidence on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The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30 (6), 1193-1207. 

  21. Mashiach, E. M. (2011).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Nurses' personal and professional fa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 (1), 33-42. 

  22. Melnyk, B. M., Fineout-Overholt, E., Feinstein, N. F., Li, H., Small, L., Wilcox, L., et al. (2004). Nurses' perceived knowledge, beliefs, skills, and needs regarding evidence-based practice: Implications for accelerating the paradigm shift.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1 (3), 185-193. 

  23. Oh, E. G. (2008). Research activities and perceptions of barriers to research utilization among critical care nurses in Korea. Intensive & Critical Care Nursing, 24 (5), 314-322. 

  24. Oh, E. G., Oh, H. J., & Lee, Y. J. (2004). Nurses' research activities and barriers of research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5), 838-848. 

  25. Park, Y. M., & Park, K. Y. (2009). Influence of VRE knowledge and awareness with VRE infection control in compliance with VRE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1 (1), 42-50. 

  26. Pirret, A. M. (2007). The level of knowledge of respiratory physiology articulated by intensive care nurses to provide rationale for their clinical decision-making. Intensive & Critical Care Nursing, 23 (3), 145-155. 

  27. Plost, G., & Nelson, D. P. (2007). Empowering critical care nurses to improve compliance with protocol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6 (2), 153-156. 

  28. Pravikoff, D. S., Tanner, A. B., & Pierce, S. T. (2005). Readiness of U.S. nurses for evidence-based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5 (9), 40-51. 

  29. Retsas, A. (2000). Barriers to using research evidence in nursing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1 (3), 599-606. 

  30. Rosenthal, V. D., Maki, D. G., Jamulitrat, S., Medeiros, E. A., Todi, S. K., Gomez, D. Y., et al. (2010). International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consortium (INICC) report, data summary for 2003-2008, issued June 2009.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8 (2), 95-10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