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손가정 청소년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학습정서지원 서비스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Daily Life Experiences of Adolescents Being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Focusing on the Practical Experience of Learning and Emotional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a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0 no.4 = no.118, 2012년, pp.59 - 75  

박경애 (세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무영 (대덕대학교 사회복지과) ,  강기정 (백석대학교 기독교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shall be to achieve an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emotional support services for adolescents being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In-depth interview and qualitative methodology were used to find changes in the service experiences of 10 adolescents being raised by their gr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손가정의 청소년들이 다른 사람과의 소통, 관계 맺기 등의 어려움이 발생한 이유는 무엇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인가? 셋째, 조손가정 청소년들은 가족구성원 간의 유대관계나 결속력, 응집력의 미약함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다른 사람과의 소통, 관계 맺기 등의 어려움을 직면하고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다른 가족구성원들과 관계를 맺는 방법을 알아가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줄 알며, 다른 구성원들과 관심을 공유하고 관심을 적극 적으로 표현하는 가운데 가족이라는 공동체가 갖는 결속력을 경험하게 되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조손가정에 대한 연구자들의 개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조손가정을 별도로 구분하는 공식적인 개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조부모-손자녀 가정, 조손가정, 조손가족, 할머니 할아버지 가장세대, 조부모 손자녀 세대, 조부모와 동거하는 소년소녀가장세대 등으로 불린다(Shin, 2004;Han, 2010). 조손가정에 대한 연구자들의 개념은 조손가정을 조부모와 손자녀로 구성된 가족이라는 점에서는 공통된 의견을 가지나, 연구자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례로 국내 연구에서는 조손가정은 가정해체 등으로 인해 아동의 부모가 아동과 실제로 동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6개월 이상 조부모가 아동과 함께 생활하며, 아동의 기본적인 의식주 및 생활전반을 일차적으로 책임지는 가정이라는 정의와(Park, 2005; Lee, 2006), 부모 없이 조부모와 18세 이하 또는 고등학생 이하의 손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라는 정의(Gyungbuk Women's Policy Development Institute, 2003; Han, 2010)로 구분 된다.
조손가정이 지닌 복합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지원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조손가정이 지닌 복합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지원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었으며 부분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즉 2010년 5월에 조손가족 관련 생활민원제도 개선 과제 검토 및 관계부처 협의를 시작으로 당해 10월에는 조손가족 통합 지원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부산, 인천, 충남, 전북 등 권역별 4개 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2011년 3월에는 “조손가족희망사다리사업”으로 사업명을 변경하여 조손가족을 위한 통합적 지원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이 사업은 여성가족부가 사업을 총괄하고, 시․도에서 예산 집행 및 지도와 점검을 담당하며, 사업시행기관에서는 조손가족희망사다리사업 운영 및 관리를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사업은 방문사업으로 배움사다리(손자녀를 위한 학습정서지원 서비스), 키움사다리(조부모를 위한 생활가사지원 서비스)로 이루어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n, E.(2009). A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on the life experiences of Grandchildren of Grandparent-Grandchild family.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 Bae, J. & Chung, J.(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ntoring Program for the Adolescents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in Rural Areas, Studies on Korean Youth, 20(1), 5-28. 

  3. Cho, Y.(2001). Characteristies and Prospects in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4, 1-10. 

  4. Choi, H.(2004). The impact of types of grandparent caregiving on the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grandparents and adult children.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4(3), 31-49. 

  5. Choi, H.(2006). Social Support for Grandparent-headed Families and Its Effects on Grandparent Caregivers' Physical and Mental Health.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9(2), 115-142. 

  6. Choi, M. & Lee, J.(2007). Loneliness of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0(2), 33-43. 

  7. Forehand, R, Middleton, R & Longo, N.(1987). Adolescent functioning and consequence of recent parent divorce and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Applied Development Psychology, 8, 305-315 

  8. Green, Y,R.(2006). Birth Parent involvement in kinship families Custodial Grandmothers' Perception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N.Y. Un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9. Gyungbuk Women's Policy Development Institute(2003). 농촌 여성노인가구의 손자녀 양육실태와 정책과제. 

  10. Han, G., Joo, J. & Jeong, D.(2009). Life course perspective on social exclusion and adjustment of poor custodial grandpar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6, 87-122. 

  11. Han, K.(2010).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in Rural Grand parent-grand children Family.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 sity. Daegu. 

  12. Huh, N.(2004). Kinship care and foster family homes and their service desi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18, 243-270. 

  13. Jeon, C.(2007). Factors affecting on ego-identity of teenagers in grandparents-grandson family. master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4. Jeong, D.(2007). The caregiving experience of custodial grandparents in low socio-economic clas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Jeong, I.(2004). Formation of grandparents maintained families and adjustment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in rural communities; in Gyungsangbukdo. doctoral dissertation. Gyungsbuk University, Daegu. 

  16. Kim, D.(2006). Psychological Well-being Custodial Grandmothers and Related Factor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Kim, H.(2004).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emotion and behavior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doctori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Kim, J.(2002).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n poverty and its influential factors. master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9. Kim, J.(2009).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ifeworld of Adolescents from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9), 223-248. 

  20. Kim, M. & Kim, H.(2004).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grandparent's life satisfaction in low income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4(3), 153-170. 

  21.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2009). National Current Research of Crisis situation in Adolescent. Seoul;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 

  22. Lee, H.(2007).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hildren's long-term boarding care at surrogate foster hom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8(6), 52-72. 

  23. Lee, J. & Choi, M.(2007). Behavioral problems of the grand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ccording to home environmental propertie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0(1), 63-72. 

  24. Lee, W.(2006). Determinants of Family Functioning among Custodial Grandparen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2, 327-355. 

  2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2010). 조손가족실태조사. 

  26.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2011). 조손가족희망사다리 사업운영 매뉴얼. 

  27. Na, S.(2008).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aladjustment of Grandchildren Raised by Custodial Grandparents in Rural Area. master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8. Oh, S., Chang, H. & Cho, Y.(2006). A Case Study on Experienc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10(4), 577-604. 

  29. Ok, K.(2010).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3), 103-114. 

  30. Park, J.(2005). Study of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type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children in poor grandparent- grandchild family on the children's school adaptation. master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31. Rue, J. & Cho, A.(2007). The examination of the school resilience model among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adolesc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4(2), 49-69. 

  32. Seo, S.(2010). The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and grandmother's parenting stress in grandparent-grand children family on grandchildren's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master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33. Shin, E.(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of grandchildren-headed hom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grandchildren : focused on their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eagu. 

  34. Sung, J.(2001). A Study on Depression and Anxiety of Grandchildren Parented by their Grandparents in Poverty.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5. Yang, S.(2003).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Foster Care Types and Factors of the Adjustability for the Foster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5), 131-148. 

  36. Yoon, H. & Jang, H.(2011). Understanding of grandparents as parents :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 7th ordinary science lecture meeting of Society of Parent Education, Paper, 87-1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