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가 조손가정 조부모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on Somatization of Grandparent Raising Grand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2, 2015년, pp.262 - 270  

김세영 (기독간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on somatization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92 elderly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was recruited. The study instrument for death anxiety was the 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손가정 조부모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 및 신체화 정도를 파악하고,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가 조손가정 조부모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가 조손가정 조부모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조손가정 조부모의 죽음불안, 삶의 의미와 신체화 정도를 알아보고,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가 조손가정 조부모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죽음불안이 신체화에 영향을 미치는 큰 예측인자로 나타남에 따라 본 연구 결과는 신체화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을 시사하고 있다.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중재가 신체화를 감소시킬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가설 설정

  • 가정은 부부를 중심으로 그들의 자녀와 부모와 함께 생활하는, 사회 구성의 기본단위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가정의 개념이 현대에 들어서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다양한 형태적 변화를 보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이란 무엇인가? 가정은 부부를 중심으로 그들의 자녀와 부모와 함께 생활하는, 사회 구성의 기본단위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가정의 개념이 현대에 들어서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다양한 형태적 변화를 보이고 있다.
가족해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무자녀가정, 1인 가정, 편부모가정, 다문화가정, 미혼모가정, 동성애 가정 등 비정형적 가정구조가 출현하고 이혼이나 가출 등으로 인한 가족해체 현상이 심화되었다[1]. 가족해체는 아동빈곤문제를 불러오고, 손자녀의 양육을 조부모에게 의탁하면서 조부모와 손자녀가 살아가는 조손가정을 형성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2년 이혼율은 전년 동월 대비 7.
조손가정에 대한 정부의 지원 및 현황은 어떠한가? 4% 증가하여[2], 이혼율 증가에 따른 결손가정의 형태인 조손가정이 점점 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정부는 방문간호를 통한 아동보호 통합서비스를 거쳐 드림스타트 사업 등국가 차원의 통합지원체계를 운영하고 있지만, 조부모의 양육부담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원하기 위한 복지대책 방안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HJ, Yun SN, Kim SY, Kim CM, Kim HS, Park E, et al. Community health nursing. Paju: Sumoonsa; 2013. 

  2. Statistics Korea. Population trends in July 2012: Birth, death, marriage and divorce [Internet]. Daejeon: Author; 2012 [cited 2013 February 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1/index.board?bmoderead&aSeq260323. 

  3. Lee MY. A study of parenting stress of grandparent as a caregiver family. Journal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2008;14(4):327-353. 

  4. Yang KS, Han JH.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custodial grandmother: Focusing on basic living security received custodial grandmother in Seoul.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3;14(2):911-930. 

  5. Park C, Park Y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health empowerment scale (K-HES) for older adults. Asian Nursing Research. 2013;7(3):142-148. http://dx.doi.org/10.1016/j.anr.2013.07.004 

  6. Lee CS, Kang MO, Ko GH, Go MJ, Gong SJ, Kim S, et al.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Seoul: Hyunmoonsa; 2012. 

  7. Fonda SJ, Herzog AR. Patterns and risk factors of change in somatic and mood symptoms among older adults. Annals of Epidemiology. 2001;11 (6):361-368. 

  8. Novy D, Berry MP, Palmer JL, Mensing C, Willey J, Bruera E. Somatic symptoms in patients with chronic non-cancer-related and cancer-related pain.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5;29(6):603-612.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04.09.005 

  9. Dowdell EB. Caregiver burden: Grandmothers raising their high risk grandchildren.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1995;33(3):27-30. 

  10. Shin MK, Kang JS. Factors affecting physical symptoms of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10;22(2):211-220. 

  11. Kim HL, Park K.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anger on somatization of women. Korean Psychologial Assocoaition Annual Conference; Augst 17-19;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p. 246-247. 

  12. Seo L. The effects of manifest anxiety and death anxiety on the symptoms of somatization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2. 

  13. Kwon OG. A survey on the determinants of death anxiety in nursinghome residen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8;41:27-50. 

  14. Reker GT. Theoretical perspective,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existential meaning. In: Reker GT, Chamberlain K, editors. Exploring existential meaning: Optimizing human development across the life spa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000. p. 39-55. 

  15. Kim K, Ryu S, Choi I. The effect of meaning in life on happiness and health in late lif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011;30(2):503-523. 

  16. Yang OK, Ju SH.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to suicidal ideation among single-household elderly popula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1;37:321-347. 

  17. Kim BM, Lee JY. Relations of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y with grandparents in kinship care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2006;10(3):321-342. 

  18. Steger MF, Frazier P.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006;53(1):80-93. http://dx.doi.org/10.1037/0022-0167.53.1.80 

  19. Kim HH. Meaning in life and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ersity of Busan; 2006. 

  20. Mascaro N, Rosen DH. The role of existential meaning as a buffer against stress.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2006;46(2):168-190. http://dx.doi.org/10.1177/0022167805283779 

  21. Templer DI.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death anxiety scale. Th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1970;82(2d Half):165-177. http://dx.doi.org/10.1080/00221309.1970.9920634 

  22. Ko HG, Choi JO, Lee HP. The reliability and factor structure of K-Templer death anxiety scal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6;11(2):315-328. 

  23. Won D, Kim KH, Kwon SJ.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5;10(2):211-225. 

  24. Kim KI, Kim JH, Won HT.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eoul: Choong Ang Aptitude Publishing Co.; 1984. 

  25. Kim SY, Lee JI. Self-transcendence, spiritual well-being, and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3;27(3):480-489.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3.480 

  26. Jo EH, Lee YS. The relation between the meaning in life and savoring beliefs, ways of savoring in older adults: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013;20(3):565-585. 

  27. King LA, Hicks JA, Krull JL, Del Gaiso AK. Positive affect and the experience of meaning in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6;90(1):179-196. http://dx.doi.org/10.1037/0022-3514.90.1.179 

  28. Eom TW.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in indigent women: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omatizatio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08;24:61-88. 

  29. Lim SJ, Song SH. Effects of death attitude on death anxie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5):243-255.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5.243 

  30. Chung Y, Cho YH.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4;40(1):55-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