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하장애 위험 여성노인의 노래중재 적용 효과
The Effect of Singing Intervention for Women Elderly with Dysphagia Risk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4, 2012년, pp.380 - 389  

윤옥종 (일본 국제의료복지대학 후쿠오카 간호학부) ,  이영희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risk of dysphagia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inging intervention for women elderly in community. Methods: One-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29 women over the age of sixty and residing in a local area. A singing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서 연하장애 위험 여성노인군을 파악하여 그들에게 연하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노래 중재를 적용해 연하장애 위험의 개선 효과를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연하장애 위험정도를 파악하여 연하장애 위험군에게 노래중재를 적용 한 후 연하장애 위험감소 정도의 효과를 파악하는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one- group pre test-posttest design)의 유사실험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자 노인에서 연하장애 위험을 사정하는 도구를 적용하여 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노인에서 뇌졸중 같은 심각한 질병이 없더라도 연하장애가 있을 수 있음을 인식시키고 연하장애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는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들에서 연하장애 위험 여성 노인군을 파악하여 연하장애 위험군에게 노래 중재를 적용해 연하장애 위험 감소의 효과를 검정하는데 목적이 있는바,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3. 노래중재 후 연하장애 위험 여성노인의 영양상태 점수는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하장애는 무엇인가? 연하장애는 음식물이 구강에서 위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의 기능장애로 인한 식이섭취 장애상태를 말한다. 연하과정은 구강준비단계와 구강단계, 인두단계 및 식도단계로 구분되며 구강준비단계는 필요한 경우 음식을 씹거나 입안에서 조작하여 삼킬 수 있는 농도와 형태로 만드는 단계이며, 구강단계는 혀가 음식을 뒤로 밀어 넘겨 인두 삼킴이 유발되기까지의 단계이고 인두단계는 인두 삼킴이 유발되고 음식덩이가 인두 안으로 넘어가는 단계, 식도단계는 식도의 연동운동으로 음식덩이가 경부식도와 흉부식도를 통과하여 위로 옮겨지는 단계이다.
연하과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연하장애는 음식물이 구강에서 위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의 기능장애로 인한 식이섭취 장애상태를 말한다. 연하과정은 구강준비단계와 구강단계, 인두단계 및 식도단계로 구분되며 구강준비단계는 필요한 경우 음식을 씹거나 입안에서 조작하여 삼킬 수 있는 농도와 형태로 만드는 단계이며, 구강단계는 혀가 음식을 뒤로 밀어 넘겨 인두 삼킴이 유발되기까지의 단계이고 인두단계는 인두 삼킴이 유발되고 음식덩이가 인두 안으로 넘어가는 단계, 식도단계는 식도의 연동운동으로 음식덩이가 경부식도와 흉부식도를 통과하여 위로 옮겨지는 단계이다. 이중 어느 한 부분에서든 문제가 생기면 연하장애가 발생한다(Logemann, 2007).
연하장애를 조기에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노인에서 삼키는 것과 씹는 것의 장애는 임상적으로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기가 어렵다(Fukada, Kamakura, Kitaike, & Nojiri, 2002). 그렇지만 연하장애는 영양장애, 탈수, 식사의 질 감소, 흡인성 폐렴 등을 가져올 수 있다(Miura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en, P. H., Golub, J. S., Hapner, E. R., & Johns III, M. M. (2009). Prevalence of perceived dysphagia and quality-oflife impairment in a geriatric population. Dysphagia, 24, 1-6. 

  2. Chong, H. J. (2005).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usic therapy.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3. Clark, H. M., O'Brien, K., Calleja, A., & Corrie, S. N. (2009). Effects of directional exercise on lingual strength.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2, 1034-1047. 

  4. Freed, M. L., Freed, L., Chatburn, R. L., &Christian, M. (2001). Electrical stimulation for swallowing disorders caused by stroke. Respiratory Care, 46, 466-474. 

  5. Fukada, J., Kamakura, Y., Kitaike, T., & Nojiri, M. (2002). Development of dysphagia risk assessment scale for elderly living at home. Japan Society of Nursing Research, 25 (1), 87-99. 

  6. Fukada, J., Kamakura, Y., Manzai, T., & Kitaike, T. (2006). Development of dysphagia risk screening system for elderly persons. The Japanese Journal of Dysphagia Rehabilitation, 10 (1), 31-42. 

  7. Holland, G., Jayasekeran, V., Pendleton, N., Horan, M., Jones, M., & Hamdy, S. (2011). Prevalence and symptom profiling of oropharyngeal dysphagia in a community dwelling of an elderly population: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rvey. Disease of the Esophagus, Online library, 1-5. 

  8. Jomori, I., Mutou, S., Kikuchi, Y., Mukaikubo, K., & Hoshiyama, M. (2009). Modulation of swallowing movement during music therapy. Japanese Journal of Music Therapy, 9, 88-93. 

  9. Kim, J. H. (2007). A study on the effects of phonation training and aerophone performance on improvement of dysphagia handicapped people's oral musc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 Kim, M. H., & Kim, M. Y. (2007). The effects of swallowing with oropharyngeal sensory stimulation in nasogastric tube inser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558-567. 

  11. Kim, N. H., Kwon, Y. S., Kim, M. A., Lee, K. H., & Kwak, H. W. (2011).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symptoms, and information needs in stoke patients with dysphagi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 72-80. 

  12. Kim, S. J. (2010) Music therapy protocol development to enhance swallowing training for stoke patients with dysphagia. Journal of Music Therapy, 47, 102-119. 

  13. Kim, T. H., Jhoo, J. H., Park, J. H., Kim, J. L., Ryu, S. H., Moon, S. W., et al. (2010).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and its short form. Psychiatry Investigation, 7, 102-108. 

  14. Lee, J. W., Lee, M. S., Kim, J. H., Son, M. S., & Lee, B. S. (2007). Nutritional assessment. Paju: Kyomunsa. 

  15. Lim, S. O. (1999). The effect of articulator training on speech intelligibility for adult with swallowing disor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16. Logemann, J. A. (2007). Evaluation and treatment of dysphagia. (M. S. Kwon, & J. S. Kim, Trans.) Seoul: Hakgi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17. Miura, H., Kariyasu, M., Yamasaki, K., & Arai, Y. (2007). Evaluation of chewing and swallowing disorders among frail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34, 422-427. 

  18. Park, M. K., Chae, S. Y., Hwang, K. C., & Kwon, H. C. (2010). The effect of olfactory stimulation on the swallowing function recovery of stroke patien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 (1), 43-53. 

  19. Rofes, L., Arreola, V., Almirall, J., Cabre, M., Campins, L., & Garcia- Peris, P., et al. (2011) Diagnosis and management of oropharyngeal dysphagia and its nutritional and respiratory complications in the elderly. Gastroenterology Research and Practice, 1-13. 

  20. Saitoh, E., & Mukai, Y. (2007). Dysphagia rehabilitation (2nd ed.). Tokyo: Ishiyaku Publishers, INC. 

  21. Sharkawi, A. E. I., Ramig, L., Logemann, J. A., Pauloski, B. R., Rademaker, A. W., Smith, C., et al. (2002). Swallowing and voice effects of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 $LSVT^{(R)}$ ): A pilot study.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72, 31-36. 

  22. Takahashi, N., Kikutani, T., Tamura, F., Suda, M., Hukui, T., Katagiri, H., et al. (2009). Evaluation of tongue motor function using videoendoscopic evaluation: System for patients with mastication disorders with motor dysfunction. Japanese Journal of Gerodontology, 24 (1), 20-27. 

  23. Takai, I., Murakami, M., Oonisi, T., Nakayama, M., Tanaka, M., Otsi, K., et al. (2006).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ysphagia among frail the elderly. Japan Society of Physical Anthropology, 11 (13), 35-40. 

  24. Thaut, M. H. (2005). The Future of music in therapy and Medicine.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060, 303-308. 

  25. Tohara, H., Saitoh, E., Mays, K. A., Kuhlemeier, K., & Palmer, J. B. (2003). Three tests for predicting aspiration without videofluorography. Dysphagia, 18, 126-134. 

  26. Whang, S. A. (2010). Dysphagia risk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Won, C. W., Yang, K. Y., Rho, Y. G., Kim, S. Y., Lee, E. J., Yoon, J. L., et al.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 Society, 6, 107-120. 

  28. Yokoyama, M., Nishiuchi, M., Koyama, Y., Tadano, T., Haneda, T., & Kurita, H. (2011). The prevention countermeasure for mis-swallowing: Trying the rehabilitation of the mouth by means of music. Fukushima Journal of Rural Medicine, 53 (1), 46-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