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기 남성의 지방 섭취 수준에 따른 혈중지질 함량, C-반응성 단백질 및 아디포넥틴 비교
Comparison of the lipids levels, C-reactive protein and adiponectin in adolescent male by fat intake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5 no.4, 2012년, pp.303 - 314  

이성혜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미영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순경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민영기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fat intake, anthropometric data, blood lipids, C-reactive protein, and adiponectin in Korean male college students. Forty-eight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ased on dietary fat intake: UERF (under 30% of energy 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한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지방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혈중 지질 및 대사성 질환 지표와의 관련성을 찾아 비만 및 대사성질환을 예방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계획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가 섭취하는 총 에너지에 대한 지방의 비율이 30% 이상인 군을 UERF (20명, 42%) 로, 30% 미만인 군을 AERF (28명, 58%)로 분류하였다.
  • 본 연구는 청년기 남성의 지방섭취 상태와 혈액 내 지질, 염 증반응지표 및 비만 관련 호르몬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20 대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체계측치, 식사섭취조사, 혈청 내지질, 염증반응지표 (C-반응성단백질) 및 비만 관련 호르몬 (아디포넥틴)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지방급원 에너지비율에 따라 두 군 (I군: UERF - Under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이하 UERF군이라 함, II군: AERF - Above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이하 AERF군이라 함)으로 분류하여 각 변수들을 비교하고, 각 변수 간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보 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혈중 지질 지표, C-반응성 단백질, 아디포넥틴과 여러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혈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은 체중, 체지방량, BMI, 제지방량, WHR, 내장지방 및 이완기혈압과 같은 비만과 관련된 신체계측치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혈중 HDL-콜레스테롤은 이러한 지표들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섭취가 급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식생활환경에서 지방의 섭취량, 섭취형태 등의 영양 문제가 C-반응성 단백질과 아디포넥틴 등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를 알고자 계획하였으며, 2010년 국민건강통계 자료에서 비만의 고위험군이었던 19~29세 청년기 남성의 지방섭취실태를 분석하고, 혈중 지질, C-반응성 단백질과 아디포넥틴 등의 대사성 질환 측정지표와의 관련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5년 기준 우리나라 남녀의 과체중 비율은? 1)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습관 변화 중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지방섭취 증가이며 이는 실제로 체중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 따르면 2005년 우리나라 남자의 45%, 여자의 54%가과체중 (아시아-태평양 기준 체질량지수 23 이상)이었으며,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15년에는 남녀 각각 66% 및 67% 로 증가될 것이라고 발표하여 앞으로 공중보건 차원에서 체중 관리가 중요함을 밝힌 바 있다.2) 또한 Song 등 (2010)은 우리 나라 청소년의 45.
과잉 축적된 지방이 비만 뿐 아니라 대사성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이유는? 체내 과잉 축적된 지방은 비만 유발 뿐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 고지혈증, 고혈압 등 대사 장애를 초래하여 대사성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는 지방조직이 아디포카인이라 부르는 염증성 인자와 호르몬 등 다양한 단백질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관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5,6) 즉, 비정상적인 지방 축적은 아디포카인의 분비 이상을 초래하고 이는 염증반응을 촉진시켜 비만으로 동반되는 대사성 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지방의 섭취량 증가한 요인은 무엇인가? 3%를 나타내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4) 이와 같은 지방의 섭취량 증가는 외식의 증가, 편이식품의 노출, 가족과 분리된 자유로운 식사형태 및 음주 등이 이의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식사 습관이 고착화된다면 중년기의 비만 유발율이 더욱 증가할 것이며 발병 연령 또한 더욱 낮아질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Hays NP, Galassetti PR, Coker RH.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current role of lifestyle, natural product, and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Pharmacol Ther 2008; 118(2): 181-191 

  2. Pokorski R. Effect of increasing body weight on morbidity and mortality in South Korea. J Insur Med 2011; 42(2-4): 78-84 

  3. Song Y, Park MJ, Paik HY, Joung H. Secular trends in dietary patterns and obesity-related risk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aged 10-19 years. Int J Obes (Lond) 2010; 34(1): 48-56 

  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2011 

  5. Galic S, Oakhill JS, Steinberg GR. Adipose tissue as an endocrine organ. Mol Cell Endocrinol 2010; 316(2): 129-139 

  6. Scarpellini E, Tack J.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n inflammatory condition. Dig Dis 2012; 30(2): 148-153 

  7. Falcao-Pires I, Castro-Chaves P, Miranda-Silva D, Lourenco AP, Leite-Moreira AF. Physiological, pathological and potential therapeutic roles of adipokines. Drug Discov Today 2012; 17(15-16): 880-889 

  8. Lee GR, Shin MK, Yoon DJ, Kim AR, Park NW, Yu R, Han IS. Topical application of capsaicin reduces visceral adipose fat by affecting adipokine levels in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Obesity (Silver Spring). Forthcoming; 2012 

  9. Maury E, Brichard SM. Adipokine dysregulation, adipose tissue inflammation and metabolic syndrome. Mol Cell Endocrinol 2010; 314(1): 1-16 

  10. Kim ES, Im JA, Kim KC, Park JH, Suh SH, Kang ES, Kim SH, Jekal Y, Lee CW, Yoon YJ, Lee HC, Jeon JY. Improved insulin sensitivity and adiponectin level after exercise training in obese Korean youth. Obesity (Silver Spring) 2007; 15(12): 3023-3030 

  11. Cox AJ, Agarwal S, Herrington DM, Carr JJ, Freedman BI, Bowden DW. C-reactive protein concentration predicts mortality in type 2 diabetes: the Diabetes Heart Study. Diabet Med 2012; 29(6): 767-770 

  12. Kengne AP, Batty GD, Hamer M, Stamatakis E, Czernichow S. Association of C-reactive protei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according to diabetes status: pooled analyses of 25,979 participants from four U.K. prospective cohort studies. Diabetes Care 2012; 35(2): 396-403 

  13. Ridker PM, Morrow DA. C-reactive protein, inflammation, and coronary risk. Cardiol Clin 2003; 21(3): 315-325 

  14. Ozuguz U, Ergun G, Isik S, Gokay F, Tutuncu Y, Akbaba G, Berker D, Guler S. Association between C-reactive protein,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nd P-wave dispersion in obese premenopausal women: an observational study. Anadolu Kardiyol Derg 2012; 12(1): 40-46 

  15. Lee SW, Jo HH, Kim MR, You YO, Kim JH. Association between obesity, metabolic risks and serum osteocalcin level in postmenopausal women. Gynecol Endocrinol 2012; 28(6): 472-477 

  16. Montenegro-Neto AN, da Silva-Simoes MO, de Medeiros AC, Portela Ada S, Ramos de Queiroz Mdo S, Cunha-Montenegro R, Irany-Knackfuss M. The correlation betwee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cardiovascular risk markers in the hypertensive elderly. Rev Salud Publica (Bogota) 2011; 13(3): 421-432 

  17. Balk EM, Lichtenstein AH, Chung M, Kupelnick B, Chew P, Lau J. Effects of omega-3 fatty acids on serum marker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 systematic review. Atherosclerosis 2006; 189 (1): 19-30 

  18. Clifton PM. Diet and C-reactive protein. Curr Atheroscler Rep 2003; 5(6): 431-436 

  19. Silva FM, de Almeida JC, Feoli AM. Effect of diet on adiponectin levels in blood. Nutr Rev 2011; 69(10): 599-612 

  20. Reis CE, Bressan J, Alfenas RC. Effect of the diet components on adiponectin levels. Nutr Hosp 2010; 25(6): 881-888 

  21.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972; 18(6): 499-502 

  22. Saito M, Ishimitsu T, Minami J, Ono H, Ohrui M, Matsuoka H. Relations of plasma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to tradition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therosclerosis 2003; 167(1): 73-79 

  23. Srirattana P, Boonyasirinant T. Correlation between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and aortic stiffnes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patients with known/suspected coronary artery disease. J Med Assoc Thai 2012; 95 Suppl 2: S105-S110 

  24. Tolmay CM, Malan L, van Rooyen JM. The relationship between cortisol, C-reactive protein and hypertension in African and Causcasian women: the POWIRS study. Cardiovasc J Afr 2012; 23(2): 78-84 

  25. Hong S, Kang YA, Cho BC, Kim DJ. Elevated serum C-reactive protein as a prognostic marker in small cell lung cancer. Yonsei Med J 2012; 53(1): 111-117 

  26. Fung TT, Rimm EB, Spiegelman D, Rifai N, Tofler GH, Willett WC, Hu FB.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plasma biomarkers of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m J Clin Nutr 2001; 73(1): 61-67 

  27. King DE, Egan BM, Geesey ME. Relation of dietary fat and fiber to elevation of C-reactive protein. Am J Cardiol 2003; 92(11): 1335-1339 

  28. Lopez-Garcia E, Schulze MB, Fung TT, Meigs JB, Rifai N, Manson JE, Hu FB. Major dietary patterns are related to plasma concentrations of markers of inflammation and endothelial dysfunction. Am J Clin Nutr 2004; 80(4): 1029-1035 

  29. Pirro M, Schillaci G, Savarese G, Gemelli F, Mannarino MR, Siepi D, Bagaglia F, Mannarino E. Attenuation of inflammation with short-term dietary intervention i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of arterial stiffness in subjects with hypercholesterolaemia. Eur J Cardiovasc Prev Rehabil 2004; 11(6): 497-502 

  30. Maeda N, Takahashi M, Funahashi T, Kihara S, Nishizawa H, Kishida K, Nagaretani H, Matsuda M, Komuro R, Ouchi N, Kuriyama H, Hotta K, Nakamura T, Shimomura I, Matsuzawa Y. PPARgamma ligands increase expression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adiponectin, an adipose-derived protein. Diabetes 2001; 50(9): 2094-2099 

  31. Chu SH, Lee MK, Ahn KY, Im JA, Park MS, Lee DC, Jeon JY, Lee JW. Chemerin and adiponectin contribute reciprocally to metabolic syndrome. PLoS One 2012; 7(4): e34710 

  32. McCullough RS, Edel AL, Bassett CM, Lavallee RK, Dibrov E, Blackwood DP, Ander BP, Pierce GN. The alpha linolenic acid content of flaxseed is associated with an induction of adipose leptin expression. Lipids 2011; 46(11): 1043-1052 

  33. Desmarchelier C, Ludwig T, Scheundel R, Rink N, Bader BL, Klingenspor M, Daniel H. Diet-induced obesity in ad libitum-fed mice: food texture overrides the effect of macronutrient composition. Br J Nutr 2012; 1-10 

  34. Sharma N, Okere IC, Duda MK, Chess DJ, O'Shea KM, Stanley WC. Potential impact of carbohydrate and fat intake on pathological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Cardiovasc Res 2007; 73(2): 257-268 

  3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10 

  36. Jang HB, Lee HY, Han YH, Song J, Kim KN, Hyun T. Changes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between 1999 and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3): 324-336 

  37. Kim SH. A survey on dietary behaviors and liquid consum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ngju of Chungnam province in Korea. Korean J Nutr 2009; 42(4): 327-337 

  38. Basu A, Devaraj S, Jialal I. Dietary factors that promote or retard inflammation.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6; 26(5): 995-1001 

  39. Spence JD, Jenkins DJ, Davignon J. Dietary cholesterol and egg yolks: not for patients at risk of vascular disease. Can J Cardiol 2010; 26(9): e336-e339 

  40. Fernandez ML. Effects of eggs on plasma lipoproteins in healthy populations. Food Funct 2010; 1(2): 156-160 

  41. Choi SN, Chung NY. Bone density, nutrient intake, blood composition and food habits in non-smoking and non-alcohol drinking 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 2010; 25(4): 389-399 

  42. Jung BM, Oh ES, Choi SM, Cha YS. Survey of alcoholic and nonalcoholic beverage preference in college students of the Chonnam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3): 290-296 

  43. Hasselstrom H, Hansen SE, Froberg K, Andersen LB.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during adolescence as predi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young adulthood. Danish Youth and Sports Study. An eight-year follow-up study. Int J Sports Med 2002; 23 Suppl 1: S27-S31 

  44. Murthy NS, Mukherjee S, Ray G, Ray A. Dietary factors and cancer chemoprevention: an overview of obesity-related malignancies. J Postgrad Med 2009; 55(1): 45-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