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NF 상지 운동이 다열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NF Pattern for Upper Extrimity on the Multifiudu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3, 2012년, pp.303 - 308  

구봉오 (부산 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hange of lumbar asymmetry multifidus muscles when upper extremity PNF pattern. Methods : For this research, twenty-nine asymptomatic participants were voluntary attended. Under the identical conditions, Multifidus muscles were measured standing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유수용성신경근 촉진법(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은 치료목적으로 다른 분절을 이용해 약화된 동측이나 반대측의 근 수축력을 촉진시키는 방산 기법을 사용하고 있고 이를 이용한 중재는 다열근의 두께에 변화가 있다고 하였다(Knott와 Voss, 1968; 김기도 등, 2012).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상지 PNF 움직임을 통한 척추 안정화 근육인 다열근의 좌우 비대칭에 선택적 강화에 적합한 운동방법 제시를 통해 요통예방을 통한 사회, 경제적 비용 절감에 기여 하고자 한다.
  • Oliveira Ade 등(2009)은 근전도를 이용하여 상지 저항운동을 최대 근수축의 25% 30% 35% 40%로 시행 하였을 때 다열근 최장근 장늑근의 근수축이 일어났으며 이중 다열근의 수축이 가장 먼저 일어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상지의 움직임을 통해 다열근 수축을 유도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된다.
  • 이전 연구에서는 움직임을 통한 다열근의 변화를 보았지만 정확한 운동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심부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다열근의 비대칭에 대한 선택적 운동 방법을 제시하고 요통을 예방하며, 요통환자에게 이러한 선택적 운동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선행 연구에서 상지 움직임을 통한 요부의 근육들의 움직임을 통해 상지의 움직임과 요부의 운동의 연관성을 보여 요통으로 인한 다열근의 위축을 완화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지 움직임의 정형화된 움직임과 어느 쪽 상지를 움직인다는 설명이 없었고 약화된 부위의 다열근을 선택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는 상지의 어느 쪽을 어떻게 움직이는가에 따른 차이를 보고자 한다.
  • 선행 연구에서 상지 움직임을 통한 요부의 근육들의 움직임을 통해 상지의 움직임과 요부의 운동의 연관성을 보여 요통으로 인한 다열근의 위축을 완화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지 움직임의 정형화된 움직임과 어느 쪽 상지를 움직인다는 설명이 없었고 약화된 부위의 다열근을 선택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는 상지의 어느 쪽을 어떻게 움직이는가에 따른 차이를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추 분절간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요추 분절간 안정성은 척추 기립근들 중 다열근(multifidus muscles)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의 운동치료에서도 요부의 표층 근육보다는 심부의 근육의 안정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Macdonald, 2006). 이런 심부 근육들을 촬영하는 방법에는 단층촬영(Computted Tomography, CT)영상이나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가 있으나 이러한 장비들은 요부의 심부근 활성 관찰시 이동 및 동적인 상태에서의 측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고비용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심부의 근육을 촬영하는 방법으로 무엇들이 있는가? 요추 분절간 안정성은 척추 기립근들 중 다열근(multifidus muscles)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의 운동치료에서도 요부의 표층 근육보다는 심부의 근육의 안정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Macdonald, 2006). 이런 심부 근육들을 촬영하는 방법에는 단층촬영(Computted Tomography, CT)영상이나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가 있으나 이러한 장비들은 요부의 심부근 활성 관찰시 이동 및 동적인 상태에서의 측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고비용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하지만 초음파 영상은 이동이 용이하고, 동적인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근 활성 촬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Kermode, 2004), 심부근을 선택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근수축 시 발생하는 동원 순서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수단이라고 보고 되고 있다(Whittaker, 2007).
만성요통을 유발하는 주 원인은 무엇인가? Panjabi(1992, 2003)는 척추 자체의 직접적인 장애나 손상보다는 척추의 안정화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복횡근(transversus abdominis) 및 다열근(multifidus)과 같은 심부근의 위축과 활성 저하에 따른 척추의 불안정(instability)이 만성요통을 유발하는 주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많은 체간 근육은 척추의 안정화와 조절에 필요하다. 하지만 심부근육이 척추 안정화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고, 심부근육인 다열근은 요통환자의 통증부위 다열근이 통증이 없는 부위의 다열근 보다 더 큰 위축을 가져온다 하였다(Hides, 등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기도, 이윤정, 최완석 등. 만성요통환자에서 PNF 기법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요부 심부근 두께 및 기능적 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지. 2012;12(3):233-43. 

  2. 김선엽. 요통의 요골반부 안정화 접근법.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지. 1998;7(19):7-19. 

  3. Dickx N, Cagnie B, Parlevliet T et al. The effect of unilateral muscle pain on recruitment of the lumbar multifidus during automatic contraction. An experimental pain study. Man Ther. 2010; 15(4):364-9. 

  4. Grieve GP. Lumbar instability. Physiotherapy. 1982; 68(1):2-9. 

  5. Hides JA, Richardson CA, Jull GA. Multifidus muscle recovery is not automatic after resolution of acute, first-episode low back pain. Spine. 1996; 21(23):2763-9. 

  6. Hides JA, Gilmore C, Stanton W et al. Multifidus size and symmetry among chronic LBP and healthy asymptomatic subjects. Man Ther. 2008 Feb;13 (1):43-9. 

  7. Jackie LW. Ultrasound Imaging for Rehabilitation of the Lumbopelvic Region. Churchill Livingstone. 2007. 

  8. Kader DF, Wardlaw D, Smith FW. Correlation between the MRI changes in the lumbar multifidus muscles and leg pain. Clin Radiol 2000;55(2):145-9. 

  9. Kermode F. Benefits of utilising real-time ultrasound imaging in the rehabilitation of the lumbar spine stabilisng muscles following low back injury in the elite athlete-a single case study. Phys Ther in Sport. 2004;5(1):13-6. 

  10. Knott M, Voss D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attern and technique. 2th ed. New York. Haper and Row. 1968. 

  11. Kyle KB, Uhl T, Underwood FB et al. Rehabilitative ultrasound measurement of select trunk muscle activation during induced pain. Man Ther. 2008; 13(2):132-8 

  12. Macdonald DA, Moseley GL, Hodges PW. The lumbar multifidus: Does the evidence support clinical beliefs?. Man Ther. 2006;11(4):254-63. 

  13. McGill SM. Low back stability: from formal description to issues for performance and rehabilitation. Exerc Sport Sci Rev. 2001;9(1):26-31. 

  14. Niemelainen R, Brian MM, Battie MC. Substantial asymmetry in paraspinal muscle cross-sectional area in healthy adults questions its value as a marker of LBP and pathilogy. Spine(Phila Pa 1976). 2011;36(25):2152-7. 

  15. Norasteh A, Ebrahimi E, Salavati M et al. Reliability of B-mode ultrasonography for abdominal muscles in asymptomatic and patients with acute low back pain. J Body Mov Ther. 2007;11(1):17-20. 

  16. Oliveira Ade S, Goncalves M. Lumbar muscles recruitment during resistance exercise for upper limbs. J Electromyogr Kinesiol. 2009;19(5):737-45. 

  17. O'Sullivan PB, Phyty GD, Twomey LT et al. Evaluation of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radiologic radiologic of spondylosis or spondylolisthesis. Spine. 1997;22(24):2959-67. 

  18. O'sullivan PB, Burnett A, Floyd AN et al. Lumbar repositioning deficit in a specific low back pain population. Spine. 2003;28(10):1074-79. 

  19. Panjabi MM. The stabilizing system of the spine. PartI.Fumction, dysfuncton adaptation and enhancemen. J Spinal Disordor. 1992;5(4):383-9. 

  20. Panjabi MM. Clinical spinal instability and low back pain. J Electromyography Kinesiology. 2003; 13(4):371-9. 

  21. Taylor J, O'sullivan P.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pathology, diagnosis, and conservative care. In: Physical therapy of the low back. 3th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2000:175-83. 

  22. Whittaker JL. Ultrasound Imaging for Rehabilitation of the Lumbopelvic Region: A Clinical Approach. Edinburgh. Elsevier Science.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