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닭튀김 횟수에 따른 튀김닭 및 튀김유의 품질 특성의 변화
Changes in Quality Properties of Deep Frying Oil and Fried Chickens according to Frying Number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2 no.4, 2012년, pp.527 - 534  

손종연 (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식품생물산업연구소) ,  강근옥 (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닭튀김을 일정기간 반복 재사용했을 때, 닭튀김 횟수에 따른 튀김유 및 튀김닭의 품질 저하 정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닭 110마리 튀긴 후의 튀김유 및 튀김닭의 산가는 각각 2.27 및 1.90이었으며, 공액 이중 산가는 각각 0.70 및 0.44였다. 과산화물가는 튀김 횟수에 따른 일률적인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닭 110마리 튀긴 후 튀김유의 지방산조성을 보면, 리놀레산리놀렌산의 함량은 감소하고, 팔미트산스테아르산, 올레산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110마리 튀긴 후의 튀김유와 튀김닭의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은 각각 0.75 및 0.45%이었으며, 벤조피렌의 함량은 각각 2.20 및 2.19 ${\mu}g/kg$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튀김유와 튀김닭의 품질은 닭 60마리 튀긴 후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quality properties of deep frying oil and fried chickens according to frying number. Acid values of frying oil and fried chicken after frying 110 chickens were 2.27 and 1.90, respectively. The peroxide values of frying oil did not increase uniformly as frying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킨 전문점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튀김 조건 하에서 튀김유를 일정기간 반복 재사용했을 때, 튀김유의 튀김 횟수에 따른 사용 한계 시기를 설정하고, 튀김유 및 튀김닭에서 추출한 기름의 품질 저하 정도를 비교, 검토하여 이들에 대한 적절한 위생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벤조피렌 및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을 측정하여 이들의 안정성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닭튀김을 일정기간 반복 재사용했을 때, 닭튀김 횟수에 따른 튀김유 및 튀김닭의 품질 저하 정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닭 110마리 튀긴 후의 튀김유 및 튀김닭의 산가는 각각 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킨 전문점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튀김 조건 하에서 튀김유를 일정기간 반복 재사용했을 때, 튀김유의 튀김 횟수에 따른 사용 한계 시기를 설정하고, 튀김유 및 튀김닭에서 추출한 기름의 품질 저하 정도를 비교, 검토하여 이들에 대한 적절한 위생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벤조피렌 및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을 측정하여 이들의 안정성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활성화시킨 Sep-Pak Florisil cartridge에 시험 용액을 1 mL/min의 속도로 가하였다. 이어서 n-hexane 10 mL와 n-hexane/dichloromethane(3:1, v/v) 8 mL로 용출시켜 전량을 40℃ 이하의 수욕상에서 질소가스 하에 날려 보낸 후 잔류물을 acetonitrile에 녹여 전량을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온 가열조리식품(직화구이 13종, 간접 구이 4종 및 튀김류 8종)을 대상으로 가장 섭취 빈도가 높은 음식 세 가지를 나열하고 한 달에 몇 회 이상 섭취하는가? 튀김(deep fat frying)은 식용유지를 매개체로 하여 고온에서 단시간 가열하는 조리법으로, 영양소의 손실이 적고, 식품의 독특한 향미를 부여하고, 대량 조리가 용이하여 외식이나 단체 급식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Lee & Yoon(2011)은 25종류의 고온가열조리식품(직화구이 13종, 간접구이 4종 및 튀김류 8종)을 대상으로 한 섭취 빈도 조사에서 가장 섭취 빈도가 높은 음식은 프라이드 치킨> 삼겹살 간접구이> 꽁치 및 생선 직화구이 순으로 한 달에 3회 이상의 빈도로 섭취하였다고 하였다. Kim et al(2009)은 학교 급식에 제공되는 튀김식품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높다’ 72.
튀김은 어떤 조리법인가? 튀김(deep fat frying)은 식용유지를 매개체로 하여 고온에서 단시간 가열하는 조리법으로, 영양소의 손실이 적고, 식품의 독특한 향미를 부여하고, 대량 조리가 용이하여 외식이나 단체 급식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Lee & Yoon(2011)은 25종류의 고온가열조리식품(직화구이 13종, 간접구이 4종 및 튀김류 8종)을 대상으로 한 섭취 빈도 조사에서 가장 섭취 빈도가 높은 음식은 프라이드 치킨> 삼겹살 간접구이> 꽁치 및 생선 직화구이 순으로 한 달에 3회 이상의 빈도로 섭취하였다고 하였다.
학교급식에서 프라이드 치킨의 재료인 닭고기의 선호도는 몇 % 인가? 3%, ‘아주 높다’ 18.4%로 매우 높았으며, 학교 급식의 튀김 원료별 선호도는 닭고기(70.2%)와 돼지고기(26.2%)로, 두 원료에 대한 선호도가 95%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ckman RG, Mag TK (1998) Trans fatty acids and the potential for less in technical products. In Sebedio JL, Christie WW, eds. Trans fatty acids in human nutrition. The Oily Press. Dundee, UK pp. 35-58. 

  2. Ahn MS, Seo MS, Kim HJ (2008) A study on various trans fatty acid cont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542-548. 

  3. AOCS (1990)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ampaign, IL. USA Cd 8-53. 

  4. AOCS (1990)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ampaign, IL. USA Ce 1-62. 

  5. AOCS (1990)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ampaign, IL. USA Te-1a-64. 

  6. AOCS (1990)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ampaign, IL. USA Ti 1a-64. 

  7. Blumenthal MM (1991) A new look at the chemistry and physics of deep-fat frying. Food Technol 45: 68-71. 

  8. Chang YS, Yang JH (2001) Oxidative stability of tallow heated by different frying condition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331-337. 

  9. Cho HK, Kim Mh, Park SK, Shin HS (2011) Analysis of benzo[ a]pyren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 960-965. 

  10. Choe E, Min DB (2007) Chemistry of deep-fat frying oil. J Food Science 72:77-86. 

  11. Chough NJ (2004) Evaluation of the safety of fried-food in fast food store. J Fd Hyg Safety 19: 55-59. 

  12. Jang JR, Lim SY (2008) Effect of trans fat on lipid profil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rum, heart, liver and kidney in mice. Journal of Life Science 18: 1147-1153. 

  13. Jeon MS, Kim JY, Lee JW, Lee KT (2008) Changes in total trans fatty acids content in soybean oil, shortening, and olive oil used for fry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181-189. 

  14. Joo KI (1991)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various deep-fat fried foods. J Korean Soc Food Nutr 20: 162-166. 

  15. Kim DH (2010) Food chemistry. Tamkudang Press. Seoul, Korea. pp. 727-728. 

  16. Kim EM, Yi HC, Kim SN, Lee MA, Kim JW (2009) Study on the usage status and the management process of ingredients in fried foods provided in school food serv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61-266. 

  17. Kim HY, Song DS (2008) Minimizing benzo(a)pyrene content in the manufacturing of sesame oil and perilla oil. Korean J Food Preserv 15: 556-561. 

  18. Kim IS, Ahn MS (1994)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benzo (a)pyrene in fats and oils by heat treatment(II). Korean J Soc Food Sci 10: 301-307. 

  19. Kim NS, Shin JA, Lee KT (2006)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repeated deep-frying oil and odor pattern analysis by electronic nose system. J East Asian Soc Dietry Life 16: 717-723. 

  2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 Korean Food Standards Codex 2010. Seoul, Korea. 

  21. Lee JK, Yoon KS (2011) A study of adult's consumption of cooked food with high he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90-307. 

  22. Lee JW, Park JW (2010)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oxidation stability of edible oils with frying number of french fried potato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011-1017. 

  23. Lee KB, Kim DS (2009) Changes in benzo(a)pyrene content during processing of corn oil. Korean J Food Preserv 16: 75-81. 

  24. Mann CC (2005) Provocative study says obesity may reduce U.S. life expectancy. Science 307: 1716-1717. 

  25. Moreno MCMM, Olinares DM, Lopez FJA, Adelantado JVG, Reig FB (1999) Determination of unsaturation grade and trans isomers generated during thermal oxidation of edile oils and fats by FTIR. J Molecular Structure 482-483: 551-556. 

  26. Osawa CC, Goncalves LAG, Ragazzi S (2007) Correlation between free fatty acids of vegetable oils evaluated by rapid tests and by the official method.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20: 523-528. 

  27. Park GY, Kim AK, Park KA, Jung BK (2003) Acidification of frying oil used for chicken. J Fd Hyg Safety 18: 36-41. 

  28. SAS. Institute, Inc (1990)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29. Son JY, Chung MS, Ahn MS (1998)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frying oils during potato and chicken frying. Korean J Soc Food Sci 14: 177-181. 

  30. Son JY (2011) Food chemisrty. Jinro Publieshing Co. Seoul, Korea. pp 108-110. 

  31. Song YS, Jang MS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sed frying oil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340-348. 

  32. Surth JH (2009) Trans fatty acid and health. Korean J Dairy Sci Technol 27: 25-36. 

  33. Yoon TH, Lee SM, Shin HJ, Lee SY, Hong J, No KM, Park KS, Leem DG, Lee KH, Leong JY (2011) Study of trans fatty acids and saturated fatty acids in child-favored foods.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62-1568. 

  34. Young HT, Choi HJ (2003) Studies on nutrient components between the Chungjung chicken meats and general chicken meats. Korean J Food & Nutr 16: 187-1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