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꽃꽂이 작업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활성도 측정 및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적용사례
Measuring Range of Motion and Muscle Activation of Flower Arrangement Tasks and Application for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0 no.4, 2012년, pp.449 - 462  

이손선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박신애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권오윤 (연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송종은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손기철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체재활을 위해 다양한 꽃꽂이 작업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꽃꽂이 작업 시 주로 사용되는 작업들을 분류하고, 각 작업 수행 시 사용되는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꽃꽂이 작업 시 상지의 관절 가동범위와 근육활성도 측정결과를 근거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꽂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임상현장에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상지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주요한 꽃꽂이 작업을 분류한 다음, 작업 분석을 토대로 8가지 꽃꽂이 기본 작업(자르기 1, 굵은 줄기; 자르기 2, 가는 줄기; 꽂기 1, 긴 줄기; 꽂기 2, 짧은 줄기; 말기; 관엽 이용; 휘기 1, 굵은 줄기; 휘기 2, 가는 줄기; 감기, 절화용 와이어 이용)을 재분류하였다. 강원도 소재 대학의 8명의 남학생(평균 연령 $24.1{\pm}2.5$세)들이 8가지 꽃꽂이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삼차원 실시간 동작 분석 시스템과 근 전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각 근육부위별 활성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꽃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시 소재 재활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참여대상자들의 의사에 따라 4명은 원예치료군에 나머지 4명은 작업치료군에 배정되었다. 원예치료는 1일 2회(총 33회기)로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 전과 후에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 평가를 위해서 관절가동범위와 장악력 및 전반적인 상지기능평가가 수행되었다. 꽃꽂이 작업 수행 시 어깨관절은 자르기 1 작업에서 관절가동범위의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팔꿈치 관절은 감기 작업에서, 손목부위 관절은 휘기 1 작업에서 가장 큰 관절가동 범위를 나타냈다(P < 0.001). 수행된 꽃꽂이 작업에 따라 상지 근육의 부위별 근육 활성도는 다양한 변화를 보였으며, 한 가지 작업에 대해 여러 부위의 근육들이 동시에 사용되었다(P < 0.001). 또한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는 작업일지라도 재료의 굵기나 길이에 따라 관절가동범위와 근수축의 차이가 나타났다(P < 0.001).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해 실시된 꽃꽂이 작업을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어깨, 팔꿈치, 손목관절)의 가동범위와 장악력 및 전반적인 상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꽃꽂이의 주요 작업을 이용하여 특정 신체부위의 기능향상이 필요한 대상자의 재활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제 재활환자의 상태에 따라 효율적인 맞춤형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range of motion for joints and muscle activation of upper limb for flower arrangement task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and to tes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using flower arrangement tasks for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4). 관절 가동범위를 측정하는 목적은 관절제한에 의한 기능장애를 규명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기 위해서이며, 관절가동범위는 성별, 연령, 직업에 따라 개인차가 존재하고, 같은 관절도 측정 자세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Lee et al., 2004; Neistadt, 2000), 본 실험에서는 비슷한 연령의 남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측정 자세에서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해 실시된 꽃꽂이 작업을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어깨, 팔꿈치, 손목관절)의 가동범위와 장악력 및 전반적인 상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꽃꽂이의 주요 작업을 이용하여 특정 신체부위의 기능향상이 필요한 대상자의 재활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제 재활환자의 상태에 따라 효율적인 맞춤형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재활을 위한 원예활동으로써 다양한 꽃꽂이 작업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꽃꽂이에 주로 이용되는 작업들을 분류하고, 각각의 작업 수행 시 사용되는 상지 근육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꽃꽂이 작업 시 상지의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관절가동범위와 근육활성도 측정결과를 근거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꽂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임상현장에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신체재활을 위해 다양한 꽃꽂이 작업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꽃꽂이 작업 시 주로 사용되는 작업들을 분류하고, 각 작업 수행 시 사용되는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꽃꽂이 작업 시 상지의 관절 가동범위와 근육활성도 측정결과를 근거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꽂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임상현장에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 5세)들이 8가지 꽃꽂이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삼차원 실시간 동작 분석 시스템과 근 전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각 근육부위별 활성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 측정결 과를 토대로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꽃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시 소재 재활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참여대상자들의 의사에 따라 4명은 원예치료군에 나머지 4명은 작업치료군에 배정되었다.
  • 재활 치료 시 관절가동운동은 통증을 완화하고, 관절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재활치료를 통해서 대상자의 환측 상지의 운동기능을 회복시켜, 기능적인 활동에 참여시키고자 한다면, 구체적인 치료목적을 가지는 작업에 근거한 훈련, 즉 환측의 강제 유도(constraint induce), 양손 사용 등과 관련된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Kim, 2003; Kim and Bae, 199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꽃꽂이는 무엇인가? 꽃꽂이는 원래 자연의 일부를 인간 생활 속으로 끌어들이려는 의도에서 생겨난 생활예술로써, 생활공간을 장식하는데 주로 이용되어 왔다(Kim, 1991). 그러나 인간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삶에 질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되면서 꽃꽂이는 단순한 실내장식을 위한 도구에서 심미적 구성을 통한 정서적 효과와 심신 치료에 효과적인 원예활동으로 그 활용 영역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Son et al.
꽃꽂이 작업 유형에 따른 관절 가동범위는 어떠한가? 001). 굵은 줄기 자르기 작업(자르기 1)이 다른 작업들(꽂기, 휘기, 말기, 감기)에 비해 어깨 부위 관절인 신전(SE)과 굴곡(SF)의 관절가동범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깨외전(ABD)과 어깨내전(ADD)의 관절가동범위도 다른 작업보다 더 큰 가동범위를 나타냈으며, 외회전(SER)과 내회전(SIR)의 관절가동범위에 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자르기 작업 수행 시 다른 작업에 비해 어깨관절이 상대적으로 크게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가는 줄기 자르기(자르기 2)의 관절가동범 위를 조사해 본 결과, 어깨부위 가동범위의 폭이 자르기 1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인 반면, 팔꿈치관절의 굴곡부위(EF)와 손목부위(WR, WU, WF, WE)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같은 작업이더라도 재료를 달리함에 따라 작업의 난이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원예치료는 무엇인가? 원예치료는 원예치료사가 식물 및 원예활동을 이용하며 전문적인 기술과 방법을 동원하여 사회적, 교육적, 심리적 또는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이를 통해 육체적 재활과 정신적 회복을 추구하는 전문적인 활동이다(Son, 2006). 원예 치료는 식물을 주 소재로 의도한 치료적 효과를 이끌며 대상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실・내외 활동들을 이용한다(Kang, 2002; Kim, 1999; You,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Chae, J., F. Bethoux, and T. Bohinc. 1998. Neuromuscular stimulation for upper extremity motor and functional recovery in acute hemiplegia. J. Stroke 29:975-979. 

  2. Chai, K.J. and H.S. Lee.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 Kor. Soc. Occupational Therapy 5(1):52-57. 

  3. Chang, K.Y. 2002. The effect of wearing wrist splint on finger joint motion while using chopstick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 Cho, G.H., S.M. Lee, and Y.K. Woo. 2004. The effects of a task-related circuits program on functional improvements in stroked patients. J. Kor. Acad. Univ. Trained Phys. Therapists 11(3):59-70. 

  5. Chun, J.S. 1999.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stroke. J. Kor. Acad. Fam. Med. 20:1417-1423. 

  6. Chung, H.C. 2000. The application of motor control to rehabilitation. J. Adapted Phys. Activity Exercise 8(2):35-43. 

  7. Cooper, J.E., E. Shwedyk, and A.O. Quanbury. 1993. Elbow joint restruction: Effect on functional upper limb motion during performance of three feeding activities. Arch Phys. Med. Rehabil. 74:305-309. 

  8. Cram, J.R., G.S. Kasman, and J. Holtz. 1998.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Aspen Publishers, Inc., Gaithersburg, Maryland p. 162-164. 

  9. Han, I.J. 2005. Effect of horticultual therapy program on mental symptomatic relief and rehabilitation of schizophrenics. PhD. Dis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san, Korea. 

  10. Jonsson, B. 1982.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local muscular strain in the shoulder during constrained work. J. Hum Ergol. Tokyo 11:73-88. 

  11. Kang, S.J. 2002.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physical ability in elderly peopl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D.S., B.S. Kim, B.W. Kim, Y.H. Kim, J.G. Kim, B.H. Min, J.S. Yoon, and S.C. Choi. 2000. Testing science of physiological functions.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Co., Seoul, Korea. 

  13. Kim, H.B. and S.S. Bae. 1998. Kaltenborn's joint mobilization techniques. J. Kor. Acad. Orthopedic Manual Phys. Therapy 4:35-43. 

  14. Kim, H.Y. 1999. The applic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to the mentally handicapped person. Proc. 2th Symp. Kor. Hort. Therapy Assn. p. 168-187. 

  15. Kim, S.H. 2003. The effect of improvement in involved upper extremity's motor function to independe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hemiplegia. M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Korea. 

  16. Kim, S.Y., S.J. Um, J.E. Song, and K.C. Son. 2001. Effec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improvement of psychosomatic disorder persons. Proc. 4th Symp. Kor. Hort. Therapy Assn. p. 106-115. 

  17. Kim, Y.H. 1991. Historical study on the traditional flower arrangement of Korea.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18. Knutson, L.M., G.L. Soderberg, B.T. Ballantyne, and W.R. Clarke. 1994. A study of various normalization procedures for within day electromyographic data. J. Electromyogram Kinesiol. 1:49-59. 

  19. Koh, E.K. 2002. Changes of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and EMG gap afte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in subjects with myofascial pain syndrom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J.S., T.Y. Lee, J.Y. Lee, and E.Y. Yoo. 2004. Occupational therapy. Topmediophia Pub. Co., Seoul, Korea. 

  21. Lee, S.J., S.J. Um, J.E. Song, and K.C. Son. 2007.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using the floral decoration training on the improvement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y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mentally retarded. Kor. J. Hort. Sci. Technol. 25:474-484. 

  22. Miltner, W. 1999. Effects of constraint-inducde movement therapy on patients with chronic motor deficits after stroke. J. Stoke 30:586-592. 

  23. Nam, Y.H., B.O. Kim, and S.H. Yoon. 1991. Evalua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after rehabilitation treatment. J. Kor. Acad. Rehabilitation Medicine 15:295-308. 

  24. Neistadt, M.E. 2000.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for adult.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nc., Philadelphia. 

  25. Oh, D.M. 2004.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to social welfare policy. PhD. Diss., Jeju University, Jeju, Korea. 

  26. Park, J.H. 2004. Effects of vocalization on elbow motion during reaching performance in persons with hemiplegic strok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7. Park, S.A. and C.A. Shoemaker. 2009. Observing body position of older adults while gardening for health benefits and risks. Act. Adapt. Aging 33:31-38. 

  28. Park, S.A., C.A. Shoemaker, and M.D. Haub. 2009.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conditions of older adults classified as gardeners or nongardeners. HortScience 44:206-210. 

  29. Park, S.A., S.R. Oh, K.S. Lee, and K.C. Son. 2012.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upper limb and hand muscles during horticultural activity motions. Kor. J. Hort. Sci. Technol. 30(Suppl. I):477. (Abstr.) 

  30. Petrofsky, J.S. 1979. Frequency and amplitude analysis of the EMG during exercise on the bicycle ergometer. Europ. J. Appl Physiol. 41:1-15. 

  31. Rau, G., C. Disselhorst-Klug, and R. Schmidt. 2000. Movement biomechanics goes upwards: From the leg to arm. J. Biomech. 30:1207-1216. 

  32. Seroussi, R., M.H. Krag, and P. Wilder. 1989. The design and use of a microcomputerized real time muscle fatigue monitor based on the medial frequency shift in the electromyographic signal. IEEE. Trans. Biomed. Eng. 36:284-286. 

  33. Son, K.C., S.K Park, H.O. Boo, K.Y. Paek, K.Y. Bae, S.H. Lee, and B.G. Huh. 1997. Horticultural therapy. Sewon Press, Seoul, Korea. 

  34. Son, K.C., M.K. Cho, J.E. Song, S.Y. Kim, and S.S. Lee. 2006. Practice of professional horticultural therapy. Coobook, Seoul, Korea. 

  35. Tak, Y.S. 2004.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using the flower arrangement in center: Terminal cancer patients. M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36. Taub, E., N. Miller, T. Novack, E. Cook, W. Pleming, C. Nepomuceno, J. Connel, and J. Crago. 1993. Technique to improve chronic motor deficit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74:347-354. 

  37. Trombly, E. 1992. Deficits of reaching in subjects with left hemiparasis: A pilot study. Amer. J. Occupational Therapy 46:887-897. 

  38. Vollestad, N.K. 1997. Measurement of human muscle fatigue. J. Neurosci. Methods 74:219-227. 

  39. Yoo, W.G. 2004. Activation of knee muscles on various decline boards and postures during single leg decline squat exercis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0. You, H.S. 2001.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ense of balance, agility, and hand function of the aged resided in the institutions.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