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릉 회격현궁(灰隔玄宮) 축조방법 연구
A Study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it of Royal Lime Tombs in the Choseon Dynas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1 no.4, 2012년, pp.37 - 46  

김상협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construction method of lime tomb of royal tombs in the Choseon Dynasty based on reference. This was primarily published as "The Five Manners and Courtesy of the Annals of Sejong" as examples, which were followed by the influence of Koryo's culture in the beginning foundatio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려묘제는 어떻게 나뉘는가? 조선시대 왕릉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고려시대 능제일 것이다. 고려묘제는 왕족과 귀족, 기타 상류계급의 분묘·민묘 등으로 나누어진다. 묘실의 구조는 석실묘(石室墓)3)과 석관묘(石棺墓), 토광묘(土壙墓)로 구분되며, 남한에는 고려시대 묘제의 수가 적어 정확한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없다.
묘실의 구조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고려묘제는 왕족과 귀족, 기타 상류계급의 분묘·민묘 등으로 나누어진다. 묘실의 구조는 석실묘(石室墓)3)과 석관묘(石棺墓), 토광묘(土壙墓)로 구분되며, 남한에는 고려시대 묘제의 수가 적어 정확한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없다. 다만 이 시기에는 석곽묘와 토광묘 등이 주로 축조되었고 묘지의 면적과 봉분 높이에 대한 법제화가 이루어졌다.
고려사에는 품계로 능상의 면적과 봉분 높이에 차등을 두었는데 그 내용은? 1품(一品)은 사방 90보(步), 2품은 사방 80보로 하되 무덤높이는 각 1장(丈)5) 6척(尺)이며, 3품은 70보에 높이는 1장이요, 1품은 60보, 5품은 50보, 6품 이하는 다 30보로 하되 무덤 높이는 각각 8척을 넘지 못하게 하였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朝鮮王朝實錄 

  2. 世宗實錄五禮儀, 治葬 

  3. 國朝五禮儀 

  4. 國朝喪禮補編, 治葬 

  5. 增補四禮便覽, 券之五, 喪禮 治葬 作灰隔條 

  6. 顯隆園園所都監儀軌 

  7. Kim, Sang Hyup,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Stone Chamber and Upper Structure of King's Tombs in Choson Dynasty,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 2007 

  8. Kim, Sang Hyup,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Stone Chamber and Upper Structure of King's Tombs in Choson Dynasty,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24 n.8, 2008 

  9. Kim, Sang Hyup, A Study on Stone Chamber Construction of King's Tombs in the Early Choson Dynasty,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25 n.7, 2009 

  10. 文化財廳, 舊禧陵 保存.整備報告書, 文化財廳, 2008 

  11.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江華碩陵, Incheon, Ganghwa, 2003 

  12. 文化財管理局, 居昌屯馬里壁畵古墳 및 灰槨墓發掘調, 19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