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철금속제조업 생산직 남성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요인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a Nonferrous Manufacturing Indust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8, 2012년, pp.3552 - 3560  

정연옥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 비철금속 제조업 생산직 남성 근로자들의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별 근골격계 자각증상호소율을 파악하고 그의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한 비철금속 제조업체 근로자 30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1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부위별 증상 호소율은 어깨부위의 증상이 42.7%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허리부위 36.8%, 목 부위와 손/손목/손가락 부위가 각각 30.5%, 다리/발 부위 30.1%, 팔/팔꿈치 부위 20.9%의 순위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근골격계 자각증상 호소율은 연령, BMI가 낮을수록,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관련 행위 특성별 자각증상 호소율은 질병으로 인한 결근한 적이 있다는 군, 외래 진료를 받은 적이 있다는 군, 입원진료를 받은적이 있다군, 규칙적인 운동이 비운동군, 수면시간이 부적당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직업관련 특성별 자각증상 호소율은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가 힘들다는 군, 허리를 구부리는 작업을 하는군, 직장생활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군, 근속기간이 10년 이상인 군, 허리를 구부리는 작업을 한다는 군, 반복 작업을 한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산직 남성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은 여러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행위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mplaint rate of musculo-skeletal disorder and its related factors from male manufacturing workers at a nonferrous manufacturing industry. As for the research subjects, 302 workers selected from a nonferrous manufacturer located in Daejeon City, and as for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 비철 금속제조업 생산직 남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별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알아보고 그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 비철금속제조업 생산직 남성 근로자들의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업관련 특성별 근골격계 자각증상 호소율을 파악하고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골격계 질환이란? 근골격계 질환이란 반복적, 지속적 또는 부자연스러운 작업자세로 인해 근육, 건, 신경 등에 일어나는 통증을 동반한 질환으로 국내에서 1990년대 초에만 해도 매우 생소한 용어였으며 법령에도 언급조차 되지 않는 질병이었다. 그러나 최근 노동부 발표에 의하면 산재환자수가 매년 증가하여 연간 비용손실은 약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신체 부담 작업으로 분류되는 근골격계질환자 수가 2005년 2,901건에서 2006년 6,233건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1].
근골격계질환은 누구에게 많이 나타나는가? 따라서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 제1항 제5호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에 의한 건강장해를 신설하여 사업주에게 보건상의 조치로 근골격계질환 예방 의무를 부과하였다[2]. 이러한 근골격계질환은 컴퓨터 작업자나 사무직원에게 많이 생기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손목, 팔, 어깨 움직임을 반복하는 조립 작업자를 중심으로 근육, 인대, 관절 등에 무리한 힘을 주는 작업에 종사하는 모든 근로자에게 나타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근골격계질환이 많이 존재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발견이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3].
외국의 경우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하여 위험별 또는 통증 부위별로 나눈 요인은? 외국의 경우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하여 위험별 또는 통증 부위별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높은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깨, 팔꿈치, 손/손목의 근골격계질환의 위험 요인이고[4], 높은 직무 요구, 낮은 사회적지지, 낮은 직무 통제, 낮은 직무만족도는 목의 통증과 연관이 있으며[5], 작업 중 서있는 시간은 하지의 근골격계 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6]. 또한 작업의 반복성, 정적인 작업자세, 작업시간, 이전 작업에서의 작업부하, 육체적 작업 부하, 성별, 연령, 정신적 스트레스, 피로 등이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nistry of Labor. 2006 Stat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Ministry of Labor. Seoul, pp 2-10, 2007. 

  2. Kim 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Risk Assessment Tool and Management Model for the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Graduate School of Incheon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0. 

  3. Kang H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mprovement Method in Assembly Line of LCD Display.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Management &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4. Bongers PM, Kremer AM, Laak J. Are psychosocial factors, risk factors for symptoms and signs of the shoulder, elbow, or hand/wirst?: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literature. Am J Ind Med, 41:315-42, 2002. 

  5. Ariens GA, van Mechelen W, Bongers PM, Bouter LM, van der Wal G.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neck pain: a system-atic review. Am J Ind Med, 39(2):180-93, 2001. 

  6. D'souza JC. Franzblau A, Werner RA. Review of epidemiologic studies on occupational factors and lower extremity musculoskeletal and vascular disorders and symptoms. J Occup Rehavil, 15(2):129-65, 2005. 

  7. Malchaire J, Cock N, Vergracht S.Review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problems in cpidemiological studie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74:79-90, 2001. 

  8. Park BC, Cheong HK, Kim SK.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hipyard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5(4):373-387, 2003. 

  9. Kim YK, Kang DM, Koh SB, Son BC, Kim JW, Kim DH, Kim GH, Han SH. Risk Factor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Motor Engine Assembly Plant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6(4):488-498, 2004. 

  10. Chae DH, Kim JH.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in aviation maintenance. Korean J Occup Environ Med, 17(3):173-185, 2005. 

  11. Ju YS, Kwon HJ, Kim DG, Kim JY, Baek NJ. Study on Perceived Occupational Psychosocial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VDT Work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0(4):463-475, 1998. 

  12. Cheong HK, Choi BS, Kim JY, Yu SH, Lim HS, Kim YM, Uh KY, Kwon YW.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mong Telephone Directory Assistance Operato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9(1): 140-155, 1997. 

  13. Park SK, Choi YJ, Moon DH, Chun JH, Lee JT, Sohn HS.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Hairdresser. Korean J Occup Environ Med, 12(3):395-404, 2000. 

  14. Jeon MJ, Sa KJ, Lee JJ, Lee HK, Jong JH. Assessment of Job Related Cumulative Trauma Disorders of Dentis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Korean J Occup Environ Med, 13(1):55-63, 2001. 

  15. Kim YO, Koo JW.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elated Factors on the Nurses in Several General Hospitals. Korean J Occup Health, 41:131-141, 2002. 

  16. Sung NJ, Sa KJ, Chung JH.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Related Factors of Symphony Orchestra Play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2(1):48-58, 2000. 

  17. Heo KH, Han YS, Jung HS, Koo JW.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elated Factors of Golf Caddi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6(1):92-102, 2003. 

  18. Myong JP, Lee HK, Kim HR, Jung HS, Jeong EH, Nan W, Koo JW. Musculo-skeletal Symptoms of Municipal Sanitation Workers and Ergonomic Evaluation on Upperlimb.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2):93-103, 2008. 

  19. Park JH, Lim HS, Lee K. Work-re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dairy farmers in Gyeonggi province, Korea. J of Prev Med and Public Health, 43(3):205-212, 2010. 

  20. WHO.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2000 

  21. Korea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CODE(H-28-2002), 2003. 

  22.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1997. 

  23. Lee EH,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the Practicing Aesthetician, Graduate School of Health Environmental Wonkw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