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도조직체계의 변화에 따른 농촌지도공무원의 역할모호성에 대한 인식
A Study on Korean Agricultural Extension Officers' Perception of Role Ambiguity According to Restructuring of Agricultural Administrative System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19 no.2, 2012년, pp.211 - 240  

주대진 (농촌진흥청 강소농지원단) ,  김진모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korean agricultural extension workers' Perception of role ambiguity according to restructuring of Agricultural Administrative Systems.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selected from 21 centers out of 156 centers. The subjects for study were 728 agri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지자체장의 의지에 따라 지역 내 농업행정조직과 농촌지도기관의 기능을 통합한 사례가 다수 보고됨에 따라 지방행정구역체제에 따른 시군유형과 농촌지도조직 업무 추진체계가 변화된 지역에 근무하는 농촌지도공무원들이 역할모호성 인식 수준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과거와 현재의 역할모호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구명하여 농촌지도공무원의 역할모호성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최근 농촌지도체계의 변화로 인해 농촌지도공무원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변화도 수반되면서 지도공무원들의 역할모호성이 강해졌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지방행정구역체제와 농촌지도공무원의 특성에 따른 역할모호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 이처럼 농촌지도체계의 변화로 인해 농촌지도공무원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변화도 수반되면서 지도공무원들의 역할모호성이 강해졌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농촌지도공무원의 현재 역할모호성 수준을 구명하고, 아울러 현재의 역할모호성이 지도공무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구명하고자 한다. 특히, 지자체장의 의지에 따라 지역 내 농업행정조직과 농촌지도기관의 기능을 통합한 사례가 다수 보고됨에 따라 지방행정구역체제에 따른 시군유형과 농촌지도조직 업무 추진체계가 변화된 지역에 근무하는 농촌지도공무원들이 역할모호성 인식 수준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한다.
  • 이처럼 농촌지도체계의 변화로 인해 농촌지도공무원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변화도 수반되면서 지도공무원들의 역할모호성이 강해졌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농촌지도공무원의 현재 역할모호성 수준을 구명하고, 아울러 현재의 역할모호성이 지도공무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구명하고자 한다. 특히, 지자체장의 의지에 따라 지역 내 농업행정조직과 농촌지도기관의 기능을 통합한 사례가 다수 보고됨에 따라 지방행정구역체제에 따른 시군유형과 농촌지도조직 업무 추진체계가 변화된 지역에 근무하는 농촌지도공무원들이 역할모호성 인식 수준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과거와 현재의 역할모호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구명하여 농촌지도공무원의 역할모호성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농촌진 흥청-도농업기술원-시ㆍ군농업기술센터로 이어지는 수직적 연결고리가 거의 단절된 배경은? 지난 1994년 지방자치제의 시행에 따라 1997년에 농촌지도공무원의 신분이 지방직으로 전환되면서 우리나라 농촌지도체계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1997년 지방화 이후 도농업기술원과 시군농업기술센터는 각각 소속 도와 시ㆍ군 지자체의 완전 통제하에 놓이게 되면서 기존의 농촌진 흥청-도농업기술원-시ㆍ군농업기술센터로 이어지는 수직적 연결고리는 거의 단절되고 말았다. 아울러 지역 여건을 고려한 지자체장의 의지에 따라 지역 내 농업행정과 지방농촌지도사업의 추진주체인 지역농업기술센터가 통합되는 지역이 차츰 증가하였다.
농촌지도체계의 법적 지위에 대한 취약성은 어떻게 드러나게 되었나? 우리나라의 농촌지도사업이 최초 법적 지위를 보장받은 것은 1957년 2월 12일 공포된 농사교도법의 제정이 계기이며, 1962년 농촌진흥법이 제정되면서 현대식 농촌지도체계를 갖추게 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약 반세기 동안 기존 체계가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문민정부 시절 지방자치를 강화하기 위한 행정개혁 차원에서 농촌진흥법(1995)을 개정하면서 농촌 지도사업 체계의 법적 지위의 취약성이 드러나게 되었다(윤여학, 1998).
농촌지도공무원의 신분이 지방직 전환 이후, 어떤 문제가 나타나고 있나? 지방직 전환 이후 지역실정에 맞는 지도사업이 추진되고, 지방비 확보도 이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되었으며, 시ㆍ군 간 인사이동 없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다는 긍정적 효과도 있었다. 그러나 시장ㆍ군수의 의지에 따라 지도사업이 좌우되고 있고, 행정업무 과다로 본래의 역할 수행이 어렵게 되어 지도사업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없게 되는 등 지방직 전환 이후 전체적으로 지도사업이 퇴보하였다고 인식하는 경우도 있었다(조영철 & 송용섭,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진모, & 이택선. (2004a). 농촌지도사의 역할인식에 대한 이론적 탐색. 농촌지도와 개발, 11(1), 21-36. 

  2. 김진모, & 이택선. (2004b). 농촌지도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환경 및 역할인식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6(4), 73-87. 

  3. 김현철. (1999). 표본의 추출과 분석. 교육과학사. 

  4. 농촌진흥청. (2009). 2009년 농촌지도기관 조직 및 인력 현황. 수원: 농촌진흥청. 

  5. 박수진. (2006). 은행원의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송기진. (2003). 농촌지도사의 지방직 이후 직무변화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윤여학. (1998). 행정개혁과 농촌지도사업체제의 변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5(2), 187-192. 

  8. 윤의영. (2007). 농촌지도기관 간 연계 협력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4(1), 1-28. 

  9. 이봉섭. (1991).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채원. (1995). 의료사업가의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희을, & 정영만. (1999). 농촌지도요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6(1), 25-34. 

  12. 임상봉. (1988). 농촌지도사의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조영철, & 송용섭. (2003). 농촌지도사업 혁신방안에 대한 지방 농촌지도공무원의 인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5(4), 87-98. 

  14. Dubinsky, A. J., & Hartley. S. W. (1986). A Path-Analytic Study of a Model of Salesperson Performance.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ervice, 14(1), 36-46. 

  15. House, R. J., & Rizzo, J. R. (1972). Role Conflict and Ambiguity as Critical Variables in a Model of Organizational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7, 467-505. 

  16. House, R. J., & Schuler, R. S. (1983). Role Conflict and Ambiguity Scales Reality or Artifac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8(2), 334-337. 

  17. Kahn, R. L., Wolfe, D. M., Quinn, R., Snoek, J. D., & Rosenthal, R. A. (1964). Organizational Stress: Studies i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New York: Wiley. 

  18. Rizzo, J. R. House, R. J., & Lirtzman, S. I. (1970).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5, 150-163. 

  19. Singh, J. (2000). Performanc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frontline employees in service organization. Journal of Marketing, 64, 15-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