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도사업의 다원화에 따른 공적 지도사업의 역할과 과제
Challenges for Public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Response to the Pluralism of Extension in South Korea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7 no.2, 2020년, pp.51 - 64  

고순철 (협성대학교 도시개발.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Korea have been provid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 government organization, since 1962. This aims to explore the issues in pluralism of extension worldwide, and to suggest tasks needed to improve public extension in Korea. Based on the review 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농촌지도사업 다원화의 배경과 이론적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던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관련 문헌을 고찰하는 문헌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농촌지도 다원화의 출현배경, 다원화이 유형화와 유형별 쟁점 그리고 다원화 속에서의 공적 농촌지도사업의 역할을 도출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나라 농촌지도사업의 과제를 제시하는 절차로 진행하였다.
  • 이 연구는 농촌지도사업의 다원화에 대한 전 세계적인 개혁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었다는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지난 1980년대부터 200년대 초까지 이루어졌던 농촌지도사업의 다원화 논의의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공적 지도사업의 역할과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도 다원화의 출현 배경, 농촌지도 다원화의 유형, 농촌지도 다원화의 쟁점을 중심으로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농촌지도 다원화에 대응하는 공적 지도사업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 이 연구는 지난 198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일어났던 농촌지도사업 다원화 논의의 배경과 다원화의 유형 및 그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공적 지도사업의 역할과 과제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농촌지도사업의 다원화를 중심으로 한 개혁방안과 관련된 논의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의 각국 농촌지도사업의 현황과는 다소 다를 수도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가설 설정

  • 이런 면에서 볼 때, 지도사업의 다원화 유형이 보여주는 의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지도사업의 개혁에 대한 단일 처방은 없다는 것이다. 즉, 한 국가 내에서도 서로 다른 유형으로 지도사업이 전개되고 있는 현상을 감안할 때, 지도사업의 다원화는 이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농업의 발전 수준 및 지역 내 농민의 사회경제적 수준 등과 같은 여건의 성숙과 맞물려야 한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지도사업의 다원화가 의미하는 것은? 농촌지도사업의 다원화는 기본적으로 한 국가 내의 지도사업 전달주체가 다양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과거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던 공적 지도사업의 축소를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민간 부문의 참여를 확대시키는 것이며(Arayesh, 2012), 공적 부문과 다른 부문이 함께 지도사업을 전개하는 것을 의미한다(Mahaliyanarachchi, 2006).
농촌지도사업의 핵심은? 농촌지도사업의 핵심은 농업인의 생산력 증대와 능력형성을 위해 농업정보를 농민에게 전달하고 교육하는데 있으며, 한 국가의 농업체계 개선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한 중요성으로 인해 농촌지도사업은 오랫동안 국가의 역할로 인식되어 있다.
공적 분야의 역할에 대한 요구에 기초하여 예산사용과 성과에 대한 책무성, 다양한 고객집단의 요구와 자원규제 요인에 대한 적절성은 물론 서비스 제공에 상대적 이점을 가진 기관을 포함시키는 다원화 주체에 대해서도 결과지향적인 모니터링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 이유는? 넷째, 결과 지향적 성과관리의 강화를 통한 공적 지도사업의 책무성 강화가 요구된다. Alex 등(2002)이 지적한 바와 같이, 민간부문의 대안이 존재할 때 공적 지도사업은 더 이상 유일한 방법으로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공적 분야의 역할에 대한 요구에 기초하여 예산사용과 성과에 대한 책무성, 다양한 고객집단의 요구와 자원규제 요인에 대한 적절성은 물론 서비스 제공에 상대적 이점을 가진 기관을 포함시키는 다원화 주체에 대해서도 결과지향적인 모니터링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고순철, 김진군, & 심미옥. (2014). 농업기술개발 및 현장 지원시스템. 2013 경제발전경험 모듈화사업 보고서. 서울: KDI국제정책대학원. 

  2. 김진모, & 주대진. (2014). 전략적 농촌지도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 농촌진흥법.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020.2.20.) 

  4. 심미옥, & 김지성. (2011). 덴마크 농촌지도사업의 현황과 시사점. 한국농촌지도학회.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8(1), 153-197. 

  5. 양승춘, & 오해섭. (2002). FAO의 지도사업 개혁방안. 한국농촌지도학회. 한국농촌지도학회지, 9(2), 173-184. 

  6. 임정남, 박무언, & 박경철. (2000). OECD 회원국들의 농업지식체계(AKS) 동향과 전망. 한국농촌지도학회. 한국농촌지도학회지, 7(1), 13-30. 

  7. 지역농업네트워크. (2012). 신기술보급사업 성과분석. 농촌진흥청 용역과제 보고서. 

  8. 최민호, & 최영찬. (1995). 농촌지도사업의 투자효과 변화의 추이. 한국농촌지도학회. 한국농촌지도학회지, 2(1), 1-22. 

  9. Alex, G., Gerrard, C., Byerlee, D., AnnorFrempong, C., Moreau, D., Nielson, D., et al. (2000). Decentralizing agricultural extension: Lessons and good practice. agricultural Knowledge & Information systems Good practice Note. Washington, DC: World Bank. 

  10. Alex, G., Zijp, W., & Byerlee, D. (2002). Rural extension and advisory services; New directions. Rural Development Strategy Background Paper #9. Washington, D. C.: Agriculture & Rural Development Department. World Bank. 

  11. Anderson, R. J., & Feder, G. (2003). Rural extension services.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2976. Washington, DC: Agriculture & Rural Development Department. World Bank. 

  12. Arayesh, B. (2012). An examination of background and strategies for privatization of agricultural extens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ciences, 7(1), 17-20. doi:10.3844/ajabssp. 2012.17.20 

  13. Birkhaeuser, D., Evanson, R. E., & Feder, G. (1991). The economic impact of agricultural extension: A review.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39(3), 607-650. doi:10.1086/451893 

  14. Bitzer, V., Wongtschowski, M., Hani, M., Blum, M., & Flink, I. (2016). Towards inclusive pluralistic service systems; Insights for innovative thinking. Rome: FAO. 

  15. Champman, R., & Tripp, R. (2003). Changing incentives for agricultural extension: A review of privatised extension in practice.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Network. Network Paper No.132. London: ODI. 

  16. Dinar, A. (1996). Extension commercialization: How much to charge for extension servic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8, 13-20. doi:10.2307/1243773 

  17. GFRAS. (2004). The role of private sector nd producer organizations in rural advisory services. GFRAS forth annual conference report. https://www.g-fras.org/en/events/gfras-events/anual-meeting-germany-2013.html 

  18. Hanson, C. J., & Just, R. E. (2001). The potential for transition to paid extension: Some guiding economic principl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3(3), 777-784. doi:10.1111/0002-9092.00207 

  19. Jiyawan, R., Jirli, B., & Sigh, M. (2009). Farmers’ view on privatization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dian Research Journal Extension Education, 9(3), 63-67. 

  20. Kidd, A. D., Lamers, J. P. A., Ficarelli, P. P., & Hoffmann, V. (2000). Privatising agricultural extension: Caveat emptor. Journal of Rural Studies, 16, 95-102. doi:10.1016/s0743-0167(99)00040-6 

  21. Mahaliyanarachchi, P. R. (2006). Commerc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role of agricultural extension. Sabaragamuwa University Journal, 6(1), 13-22. 

  22. Kumar, P., & Nain, M. S. (2014). A critical analysis of the privatization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Indian Journal of Social Research, 55(3), 427-435. 

  23. Lindner, R. K. (1993). Privatising the production of knowledge: Premise and pitfalls for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Australi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37(3), 205-225. doi:10.1111/j.1467-8489.1993.tb00535.x 

  24. Neuchatel Group. (2002). Common framework on financing agricultural and rural extension. Paris: Neuchatel Group. 

  25. Rivera, M. W., Qamar, M. K., & Crowder, L. V. (2001). Agricultural and rural extension worldwide: Options for institutional reform in the developing countries. Rome: FAO. 

  26. Rivera, M. W. (2004). Privatization of extension systems: Cases studies of international initiatives.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Discussion Paper 9. Washington, DC: Agriculture & Rural Development Department. World Bank. 

  27. Rivera, M. W. (1992). Global trends in extension privatization. Journal of Extension, 30(3). http://www.joe.org/joe/1992fall/intl1.php. 

  28. Rivera, M. W. (1993). Impacts of extension privatization. Journal of Extension, 31(3). http://www.joe.org/joe/1993fall/intl1.php. 

  29. Rogers, M. E. (2003). Diffusion of Innovation (4th ed.). New York: The Free Press. 

  30. Sami, M. M., Swanson, B. E., & Sofranko, A. (2003). Structural change in agriculture: Privatization of information and the role of extension. presented at the AIAEE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Agricultural and Extension Education) 19th Annual Conference. Raleigh, North Carolina. 

  31. Saravanan, R., & Gowda, N. S. (1999). Development of sc ale to m easure a ttitude t owards p rivatization o 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Tropical Agricultural Research, 11, 190-198. 

  32. Swanson, E. B., & Rajalati, R. (2010). Strengthening agricultural extension and advisory systems: Procedures for assessing, transforming, and evaluating extension systems.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Discussion Paper 45. Washington, DC: World Bank. 

  33. Swanson, E. B., Farner, B. J., & Bahal, R. (1990). The current status of agricultural extension worldwide. Report of th Global consultation on Agricultural Extension. Rome: FAO. 

  34. Umali-Deininger, D. (1997). Public and private agricultural extension: partners or rivals?. World Bank Research Observer. 12 (pp. 203-224). Washington, DC: World Bank. 

  35. Umali, L. D., & Schwarts, L. (1994). Public and private agricultural extension: beyond traditional frontiers. World Bank discussion Papers 236 (pp. 1-102). Washington, DC: World Bank. 

  36. World Bank. (2002). Extension and rural development: Converging views on institutional approaches? Workshop Summary. Washington, DC: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World Ban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