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도인력이 인식한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고객의 요구 및 농촌지도기관의 업무수행수준
The Needs of Customer to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Public Agricultural Extension Organization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4 no.2, 2017년, pp.83 - 97  

김진모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  전영욱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  임정훈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  유영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type of customer which is essential to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specify their needs and identify the performance level of public agricultural extension organization by the needs of customer. To meet these purpose,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선도농과 전업농처럼 유형 간 경계가 제시한 특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도사업의 고객여부를 진위형으로, 고객별 업무수행비율을 단답형으로 개발하여, 응답자가 포괄적으로 선택한 뒤 자유롭게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객유형 간 비교를 기반으로 농촌지도사업의 고객여부와 고객별 업무수행비율을 제시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신중히 해석할 필요가 있다.
  • 따라서 이 연구는 농촌지도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농촌지도사업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고객의 유형을 구분하고, 고객들의 요구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그리고 농촌지도기관 소속 농촌지도 인력을 대상으로 고객들의 요구에 대한 농촌지도기관의 현재 수행수준을 구명하고자 한다. 이는 고객 및 고객의 요구에 대한 농촌지도인력의 이해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농촌지도 인력이 인식하는 고객 요구에 대한 수행수준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농촌지도사업의 발전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농촌지도인력이 인식한 농촌지도 고객여부, 업무수행비율, 고객특성, 업무수행수준에 대한 인식 및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농촌지도인력이 소속된 기관별 업무수행 비율 및 업무수행수준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는 농촌지도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농촌지도사업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고객의 유형을 구분하고, 고객들의 요구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그리고 농촌지도기관 소속 농촌지도 인력을 대상으로 고객들의 요구에 대한 농촌지도기관의 현재 수행수준을 구명하고자 한다.
  • 농촌지도사업의 고객에 대한 논의의 두 번째 방향은 농업인 외의 대상을 고객으로 포함시킬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이 논의와 관련된 하나의 쟁점은 농촌이라는 물리적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농촌에 정주하는 모든 사람을 포함할지에 대한 것이다. 이 경우 농촌지도사업의 고객은 반드시 농업을 영위하는 사람만이 아닌 농촌에 거주하는 농촌인, 도시에서 농촌으로 유입된 귀촌인, 농업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은퇴 농업인 모두를 포함하며, 직접적으로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 가족도 포함될 수 있다.
  • 이 연구는 농촌지도 고객의 유형과 요구사항을 규명하며, 농촌지도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한 농촌지도기관의 수행수준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의 절차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전문가 집단인터뷰를 통해 농촌지도사업의 고객 유형을 구분하고 고객별 특성과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 이 연구는 농촌지도사업의 고객 유형과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고객요구에 대한 농촌지도기관의 현재 수행수준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농촌지도사업의 고객 유형과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해 농촌지도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고객요구에 대한 농촌지도기관의 현재 수행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농촌지도인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이 중요한 이유는? 농업은 여전히 우리에게 중요한 기간산업이며 생명산업이다. 농업은 식량 확보를 안정적으로 보장하는 것뿐 아니라 국가 및 지역 산업의 기반이 되고, 농촌마을을 유지하며,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보전하는 등 다원적 기능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에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농업이 갖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이후 추진된 시장 개방화는 우리의 농업 경쟁력을 약화시켰고,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농업 인력의 감소와 고령화는 노동인력의 질적인 저하와 농가의 경영상태를 악화시켰다(김진모, 2006; 마상진 & 최세균, 2014).
우리나라 농업의 어려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것은? 농업의 어려운 현실을 반영하듯, 90년대 이후 농촌지도공무원의 지방직화와 함께 농촌지도조직이 축소되었고, 농촌지도인력도 줄어들어 그 위상이 상당히 약화되었다(김진모, 2003).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지금까지 농촌지도기관 전문가 및 관련 학자들은 시대에 부합하는 농촌지도사업의 형태와 수행체계를 만들고자 다각도로 노력하였다. 농촌지도사업의 수요변화를 기반으로 농업, 농촌, 농민이 모두 발전할 수 있도록 지도사업의 방향과 전략을 제안하였고(송용섭, 심미옥, 정충섭, & 지용주, 2003; 조영철 & 송용섭, 2003), 농촌지도사의 새로운 역할을 규명하고 능력개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김진모, 2003), 농촌지도사업 명칭의 이미지 및 적합성도 분석하였다(김진화, 2007).
우리나라에서 정책적으로 농촌지도⋅교육훈련사업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정책적으로 농촌지도⋅교육훈련사업이란 농촌진흥사업 일부로써 ‘연구개발 성과의 보급과 농업경영체의 경영혁신을 통하여 농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농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농촌지도사업과 ‘농촌진흥사업에 종사하는 공무원과 농업인 등의 역량개발을 지원하여 경쟁력 있는 전문인력으로 양성하는’ 교육훈련사업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농촌진흥법, 2015). 학술적으로는 학자들마다 농촌지도의 개념과 범위, 내용 및 방법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사용하고 있어서 통합적으로 정의를 내리기는 쉽지 않지만(김진모 & 주대진, 2014), 국내⋅외의 선행연구(김진모, 주대진 & 황영훈 외, 2015; 김진모 & 주대진, 2014; 임상봉, 1995; 최민호, 1995; Adams, 1982; Maunder, 1972; Oakley & Garforth, 1985)를 종합하면, 농촌지도란 농업인과 농촌 주민들을 대상으로 농업 및 농촌의 문제를 발견, 분석 및 해결하여 농업인 및 농촌주민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정보제공, 교육, 자문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강대구, 정철영, & 이근수. (2003). 창업농 지원사업 효율화 방안. 과천: 농림수산식품부. 

  2. 강대구, 정철영, & 이종상. (2004). 농업인력구조변화에 따른 정예농업인력 육성 방안 연구. 과천: 농림수산식품부. 

  3. 김대희, & 신윤호. (2012). 농촌지도기관이 제공하는 농업교육에 대한 농업인의 요구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3), 23-45. 

  4. 김수석, 김태곤, & 강혜정. (2006). 맞춤형 농정을 위한 농가유형 구분 연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김재호. (1999). 21세기 농촌지도사업의 새 패러다임. 한국농촌지도학회지, 6(2), 3-15. 

  6. 김종숙, & 민상기. (1994). 농업에 대한 국민의식과 사회적 인식제고 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김진군, & 박성준. (2000).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 패러다임 전환과 농촌지도사업 활력화 방안. 한국농촌지도학회지, 7(2), 279-288. 

  8. 김진모. (2003). 전환기 농촌지도사의 역할과 능력개발 방향.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5(4), 69-85. 

  9. 김진모, 이용환, 정철영, 이찬, 이진화, 이정은, et al. (2008). 농업인의 성장단계에 따른 교육프로 그램 등급 분류.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4), 1-33. 

  10. 김진모, & 주대진. (2014). 전략적 농촌지도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1. 김진모, 주대진, 황영훈, 유영주, & 김선근. (2015). 미래농촌지도사업의 역할과 기능 조망. 전주: 농촌진흥청. 

  12. 김진모. (2006). 농업농촌발전을 위한 농업인 교육혁신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3), 75-111. 

  13. 김진화. (2007). 농촌지도사업 명칭의 이미지 및 적합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 137-165. 

  14. 나승일, 정철영, 김진모, 안강현, 김강호, 전승환, et al. (2005). 수요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모델 개발 및 평가지표 개발. 서울: 농림수산식품부. 

  15. 농촌진흥법 법률 제13253호. (2015). 

  16. 마상진, 오내원, 김경덕, & 남기천. (2013). 정예 농어업인 육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 과천: 농림수산식품부. 

  17. 마상진, & 최세균. (2014). 미국의 농업교육 변화 동향과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료, 1-55. 

  18. 박광국. (2008). 농업과학기술개발 보급정책의 미래 발전전략.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행정학회 25주년 기념학술대회 및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Pp. 69-88). 

  19. 송용섭, 심미옥, 정충섭, & 지용주. (2003). 지식기반 사회에 농촌지도사업 혁신을 위한 정책 제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5(2), 101-112. 

  20. 송용섭, 조영철, & 윤여학. (1999). 지방 농촌지도사업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6(1), 1-13. 

  21. 신윤호, & 김대희. (2012). 농업인의 교육요구를 고려한 농촌지도사업의 발전 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19(1), 1-28. 

  22. 윤여학. (1998). 행정개혁과 농촌지도사업체제 변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5(2), 187-192. 

  23. 이용선, 박미성, 한석호, 문한필, 박한울, 박지원, et al. (2016). 농업농촌식품산업의 미래 비전과 지역발전 전략.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4. 이용환. (2000). 지방자치시대의 농촌지도업무의 변화와 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7(1), 45-64. 

  25. 임상봉. (1995). 농촌구조개선을 위한 농촌지도사업의 역할. 한국농촌지도학회지, 2(1), 71-79. 

  26. 정철영, 이용환, & 나승일. (2002). 21세기 지식기반 농업을 위한 농업인력 육성 방안. 과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27. 조영철, & 송용섭. (2003). 농촌지도사업 혁신방안에 대한 지방 농촌지도공무원의 인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5(4), 87-97. 

  28. 최민호. (1995). 농촌지도론: 농촌사회교육적 접근.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9. 최영찬. (2013). 농식품산업의 변화와 연구, 지도사업의 과제: 지역R&D와 현장지도의 강화를 위해. 농촌지도와 개발, 20(4), pp.839-869. 

  30. 한원식, 이길섭, 나기준, 박문웅, & 이광식. (2007). 한국(韓國)의 농업과학기술(農業科學技術) 개발(開發)의 시대적(時代的) 변천(變遷)과 특징(特徵). 농업사연구, 6(2), 129-175. 

  31. Adams, M. E. (1982). Agricultural extension in developing countries. W. J. A. Payne (Ed.). Harlow: Longman. 

  32. Ahmed, A., & Morse, G. W. (2010). Opportunities and threats created by extension field staff specialization. Journal of Extension, 48(1), 1IRB3. Available at: https://www.joe.org/joe/2010february/rb3.php 

  33. Benson A., & Jafry, T. (2013). The state of agricultural extension: An overview and new caveats for the future. 농촌지도와 개발, 19(4), 381-393. 

  34. Besha, D. B., & Park, D. B. (2014). Ethiopian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the past experience,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농촌지도와 개발, 21(1), 219-244. 

  35. Bruce, J. A., & Anderson, J. (2012). Perceptions of the Training Needs of the Newest Members of the Extension Family. Journal of Extension, 50(6), 6RIB5. Available at: https://www.joe.org/joe/2012december/rb5.php 

  36. Civittolo, D. (2012). Extension's Role in Developing a Farmers' Market. Journal of Extension, 50(1), 1IAW3. Available at: https://www.joe.org/joe/2012february/iw3.php 

  37. Cullen, E. M. (2010). Extension specialist roles in communities of interest and place: an example from the agriculture-wildlife interface. Journal of Extension, 48(1), 1FEA2. Available at: https://www.joe.org/joe/2010february/a2.php 

  38.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FAO). (2006). World agriculture: Toward 2030/2050.Rome: FAO. 

  39. Gay, K. D., Owens, C. T., Lamm, A. J., & Rumble, J. N. (2017). Assessing Public Issues Knowledge and Needs of Extension Agents in Florida. Journal of Extension, 55(1), Article 1FEA4. Available at: https://www.joe.org/joe/2017february/a4.php 

  40. Geberaldar, S. A. H., Park, D. B., & Cho, G. R. (2014). Present and future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and interna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cooperation of Sudan. 농촌지도와 개발, 21(4), 1227-1259. 

  41. Huang, P., & Lamm, A. J. (2015). Understanding public engagement in water conservation behaviors and knowledge of water policy: Promising hints for Extension. Journal of Extension, 53(6), Article 6RIB1. Available at: https://www.joe.org/joe/2015december/rb1.php 

  42. Isaac, A., & Cho, G. R. (2014). Present and future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s for agricultural technologies in Ghana. 농촌지도와 개발, 21(2), 143-184. 

  43. Kahan, D. (2013). Market-oriented farming: An overview. Rome: FAO. 

  44. Kopiyawattage, K. P. P., & Lamm, A. J. (2017). Using Public Opinions of Water Quality to Provide Direction for Extension. Journal of Extension, 55(1), Article 3RIB5. Available at: https://www.joe.org/joe/2017june/rb5.php 

  45. Lakai, D., Jayaratne, K. S. U., Moore, G. E., & Kistler, M. J. (2012). Barriers and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to Develop Extension Agents' Professional Competencies. Journal of Extension, 50(4), 4RIB1. Available at: https://www.joe.org/joe/2012august/rb1.php 

  46. Magomero, S. N., & Park, D. B. (2014). Present and future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of Malawi. 농촌지도와 개발, 21(2), 211-254. 

  47. Maunder, A. (1972). Agricultural extension: A Reference manual. Rome: FAO. 

  48. Nie, C., Swanson, B. E., & Feng. Y. (2004). China: Financing China's extension. In . Rivera and G. Alex. (eds.) Extension reform for rural development, vol. 1: Decentralized systems (pp. 6-11). Washington, DC: World Bank. 

  49. Oakley, P., & Garforth, C. (1985). Guide to extension training (No. 11). Rome: Food & Agriculture Org. 

  50. Oumo, F. I., & Cho, G. R. (2014). Present and future of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in Uganda. 농촌지도와 개발, 21(1), 245-272. 

  51. Peek, G. G., Sanders, L. D., Shideler, D., Ferrell, S. L., Penn, C. J., & Halihan, T. (2015). Framing a public issue for Extension: Challenges in oil and gas activity. Journal of Extension, 53(5), Article 5FEA1. Available at: https://www.joe.org/joe/2015october/a1.php 

  52. Radhakrishna, R., Tobin, D., & Foley, C. (2014). Integrating Extension and Research Activitie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Extension, 52(1), 1FEA1. Available at: https://www.joe.org/joe/2014february/a1.php 

  53. Rivera, W. M. (2011). Public sector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reform and the challenges ahead.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Extension, 17(2), 165-180. 

  54. Swanson, B. E., & Rajalahti, R. (2010). Strengthening agricultural extension and advisory systems: Procedures for assessing, transforming, and evaluating extension systems. Washington, DC: World Bank. 

  55. Swanson, B. E. (2008). Changing paradigms in agricultural extension.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eminar on strategies for improving livelihood security of rural poor, Goa, India. 

  56.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 Farm typology. Washingto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57. Van den Ban, A. W., & Hawkins, H. S. (1996). Agricultural extension (No. 2.ed.). Blackwell Sci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