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근 치료방법 중 지속적 견인요법의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Continuous Traction Therapy in Meridian Sinews Therap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29 no.3, 2012년, pp.385 - 395  

신정훈 (원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나노학부) ,  황성연 ((주)한국전통의학연구소) ,  금경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김재효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  손인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  안성훈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Meridian sinew theory was introduced in Miraculous Pivot, Huangdi's Internal Classic, to explain in relation with locations of meridian sinews, causes, mechanisms, and treatment of diseases. The meridian sinews are understood to include muscles, tendons and ligaments, or muscles i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견인요법의 효과를 실험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실험모델을 설정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견인 요법의 기본 원리와 개념에 가장 충실한 continuous traction method을 모델로 가장 유사한 견인 방법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저자는 한의학 경근과 근육간의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근 치료의 개발 및 임상적 활용을 위하여 서양의학에서 근육질환 중 하나인 척추측만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고안되어진 continuous traction method(CTM)와 유사한 실험모델, 척추측만증과 유사한 근육학적 질병모델을 설정하여 인장력에 따른 척추간 견인 길이를 관찰,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경근 치료방법 개선 또는 개발 및 임상 응용사례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희망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척추측만증의 실험적 모델은 두 가지 가설에 의하여 설정되었다. 첫 번째는 척주 중 특정 관절부위에서 근육의 단축이 발생하여 척주만곡이 변화한다는 가설과 두 번째는 척주 중 특정 관절부위에서 근육의 이완이 발생하여 척주만곡이 변화한다는 가설에 의하여 normal type 1(NT 1), normal type 2(NT 2)를 설정하였다. NT 1은 정상관절은 밴드 1개로 단축이 일어난 관절에서는 밴드 2개를 연결하여 병증을 설정하였고, NT 2는 정상관절은 밴드 2개로 이완이 일어난 관절에서는 밴드 1개를 연결하여 병증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靈樞』 「經筋篇」에 언급되어진 경근은 무엇으로 이해되고 있는가? 『靈樞』 「經筋篇」에 언급되어진 경근은 어느 특정한 근육만을 지칭한 것이 아니고 근육에 반영되는 기능과 병증과의 유기적 연관관계1), 근육과 건2), 근육3), 경맥의 순행부위상에 분포된 기육, 근건, 근막, 인대 등 체표근육계통의 총칭4) 등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이는 한의학에서 질병의 원인과 치료방법에 있어서 근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고 있다.
견인요법의 주 목적부위에 해당하는 척추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견인요법의 주 목적부위에 해당하는 척주는 위로는 머리를 받치고 아래로는 골반과 연결되어 체중을 다리로 전달하며, 33개의 척추와 그 사이의 섬유연골성 척추원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척추는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골 5개, 미골 4개로 구성되는데 성인은 천골 및 미골이 유합되어 총 26개의 척추로 구성되어 다관절 형태인 척주를 이루고 척주로 하여금 축회전, 굴곡, 신전, 측굴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8).
견인요법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무엇이 있는가? 한편, 척추 근육질환 중 하나인 척추측만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히포크라테스(460-350 BC)가 고안5)하였다고 알려진 continuous traction therapy는 견인요법의 한 종류로 중력과 연부조직으로 야기되는 압력을 감소시키고자 신체에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근육을 이완시키고 척추 구조물이 늘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추간판 내의 음압을 증가시켜 신경근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통증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6)으로 한다. 견인요법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환자에게 적용되는 견인 무게의 양, 견인 시간의 정도, 견인 치료 횟수, 견인각의 크기 등으로 알려져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Lee SM, Jeong HY, Keum KS. A Study on the Kyung Keun Pyun(經筋篇) of the Young Chu(靈樞).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itics. 1999 ; 3 : 294-332. 

  2. Han JW, Yook TH. A comparison of meridian muscle with muscle. The Journal of Korea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1999 ;16 : 87-106. 

  3. Song HS, Kang MJ, Lim JE, Kwon SJ, Kang MS, Lee SN, et al. The effect of meridian tendino-musculature acupuncture and release therapy on acute lumbar sprain. The Journal of Korea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1 ; 18 : 1-13. 

  4. Kweon JJ, Lim HH, Song YK. Analysis of osteopathic manipulation and study on relationship with chuna manual therapy for meridan sinew system. J Oriental Rehab Med. 2011 ; 21 : 171-88. 

  5. Withington ET. Hippocrates with an english translation.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1928 : 16-150. 

  6. Colachis SC Jr, Strohm BR. Effects of intermittent traction on separation of lumbar vertebrae. Arch Phys Med Rehabil. 1969 ; 50 : 251-8. 

  7. Mathews JA, Hickling J. Lumbar traction: a double-blind controlled study for sciatica. Rheumatol Rehabil. 1975 ; 14 : 222-5. 

  8. Donald AN. Kinesiologc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Seoul : Jungdammedia. 2004 : 3-56. 

  9. The Korean Academy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Seoul : Koonja. 2005 : 15-36. 

  10. Moon JH, Park JS, Kang YS, Bae KJ, Lee HS, Kim SK. A study on Usage of Classroom Desks and Chairs by Teenagers. J of Korean Acad of Rehab Med. 1998 ; 22 : 711-6. 

  11. Kane WJ. Scoliosis prevalence: a call for a statement of terms. Clin Orthop Relat Res. 1977 ; 126 : 43-6. 

  12. Risser JC. Scoliosis: past and present. J Bone Joint Surg Am. 1964 ; 46 : 167-99. 

  13. Risser JC. Changing concepts on treatment of Scoliosis. Nihon Seikeigeka Gakkai Zasshi. 1964 ; 38 : 511-4. 

  14. Larsson U, Choler U, Lidstrom A, Lind G, Nachemson A, Nilsson B, et al. Auto-traction for treatment of lumbago-sciatica. A multicentre controlled investigation. Acta Orthop Scand. 1980 ; 51 : 791-8. 

  15. Bihaug O. Autotraksjon for ischialgpasienter: en kontrollert sammenlikning mellom effekten av Auto-traksjon-B og isometriske ovelser ad modum Hume endall og enkins. Fysioterapeuten. 1978 ; 45 : 377-9. 

  16. Gionis TA, Greteke E. Spinal decompression. Orthopedic Technol Rev. 2003 ; 5 : 36-9. 

  17. Gose EE, Naguszewski WK, Naguszewski RK. Vertebral axial decompression therapy for pain associated with herniated or degenerated discs or facet syndrome: an outcome study. Neurol Res. 1998 ; 20 : 186-90. 

  18. Naguszewski WK, Naguszewski RK, Gose EE. Dermatom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demonstration of nerve root decompression after VAX-D therapy. Neurol Res. 2001 ; 23 : 706-14. 

  19. Geert JvdH, Anna JB, Bart WK, Willem JA, Henrica CdV, Lex MB. The efficacy of traction for back and neck pain: a systematics, blinded review of randomized clinical trial methods. Physical Therapy. 1995 ; 75 : 93-104. 

  20. Mathews JA, Mills SB, Jenkins VM, Grimes SM, Morkel MJ, Mathews W, et al. Back pain and sciatica: controlled trials of manipulation, traction, sclerosant and epidural injections. Br J Rheumatol. 1987 ; 26 : 416-23. 

  21. Sherry E, Kitchener P, Smart R.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f VAXD and TE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Neurological Research. 2001 ; 23 : 780-4. 

  22. Borman P, Keskin D, Bodur H. The efficacy of lumbar traction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Rheumatology ;International. 2003 ; 23 : 82-6. 

  23. Alex M, Joseph VP.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spinal decompresssion via motorized traction for chronic discogenic low back pain. Pain Practice. 2006 ; 6 : 171-8. 

  24. Graham N, Gross AR, Goldsmith C, Group CO. Mechanical traction for mechanical neck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6 ; 38 : 145-52. 

  25. Young IA, Michener LA, Cleland JA, Aguilera AJ, Snyder AR. Manual therapy, exercise, and traction for patient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Phys Ther. 2009 ; 89 : 632-42. 

  26. Schimmel JJP, de Kleuver M, Horsting PP, Spruit M, Jacobs WCH, van Limbeek J. No effect of tractio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 single centre,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Intervertebral Differential Dynamics Therapy(R). European Spine Journal. 2009 ; 18 : 1843-50. 

  27. Kim HS, Ha JW, Park JO, Park HW, Han DY, Hur JH. Ruptured lumbar disc in patients undergoing manipulation of the lumbar spine. J of Korean Orthop Assoc. 1998 ; 33 : 1326-33. 

  28. Kim YM, Won CH, Seo JB, Choi ES, Lee HS, Ko SW, et al. Lumbar disc herniation with cauda equina syndrome after self traction therapy - a case report -. Journal of Korean Spine Surg. 1999 ; 6 : 469-74. 

  29. Clarke J, van Tulder M, Blomberg S, de Vet H, van der Heijden G, Bronfort G. Traction for low back pain with or without sciatica: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chrane collaboration. Spine (Phila Pa 1976). 2006 ; 31 : 1591-9. 

  30. Jo jH, Choi JS, Cho HO, Lee YG. The Prevalence of Scoliosis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Pusan, Korea J of Korean Orthop Assoc. 1984 ; 19 : 431-5. 

  31. Suh SW, Lee SH, Hur CY, Yoo JC, Kang CS, Wang JH. Idiopathic Scoliosis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revalence study-. J Korean Orthop Assoc. 2001 ; 36 : 33-7. 

  32. Shin JH, Hwang SY, Lee YJ, Kim JH, Sohn IC, Ahn SH. Literature Consideration on Traction Therapy and Scoliosis in KyungKuen (經筋) Therapy.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12 ; 29 : 166-78. 

  33. Erland P. A history of manipulative therapy. The Journal of Manual & Manipulative Therapy. 2007 ; 15 : 165-74. 

  34. Diane UJ, Jeffrey EF, Catherine T. Effect of intermittent, supine cervical traction on the myoelectric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in subjects with neck pain. Physical Therapy. 1985 ; 65 : 1173-6. 

  35. Weinberger LM. Trauma or treatment? The role of intermittent traction in the treatment of cervical soft tissue injuries. J Trauma. 1976 ; 16 : 377-82. 

  36. Nosse LJ. Inverted spinal traction. Arch Phys Med Rehabil. 1978 ; 59 : 367-70. 

  37. Delacerda FG. Effect of angle of traction pull on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J Orthop Sports Phys Ther. 1980 ; 1 : 20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