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음삼양(三陰三陽) 표본중(標本中) 종화이론(從化理論)의 임상적(臨床的) 활용(活用)에 대한 고찰(考察) - 역대(歷代) 의가(醫家)의 논설(論說)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hanging Theory of Sameumsamyang(三陰三陽) Pyobonjung(標本中) to Clinical Treatment - Focusing on doctor's Articles -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7 no.3, 2014년, pp.167 - 182  

백유상 (경희대학교 한의학과대학 원전학교실) ,  김도훈 (가천대학교 한의학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 this article, an analysis of the changing theory(從化理論) of Sameumsamyang(三陰三陽) and Pyobonjung(標本中) in some important medical books, and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ose is investigated. Methods : Primary literatures about the changing theory were searched by key words of Sameumsamya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三陰三陽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三陰三陽은 韓醫學에서 經絡學說, 藏象論 등 기본 이론체계를 구성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핵심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생리, 병리, 진단, 치료 등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오히려 그 적용에 따라 개념이 명확하지 않거나 관련 설명이 번잡해지기도 하였다. 『黃帝內經』에서 三陰三陽의 특성을 표현한 것은 開闔樞, 氣血多少, 標本中, 表裏關係 등인데, 이중 標本中 개념은 陰陽, 五行, 表裏 관계가 모두 관련되어 있는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三陰三陽은 어떤 개념인가? 三陰三陽은 韓醫學에서 經絡學說, 藏象論 등 기본 이론체계를 구성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핵심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생리, 병리, 진단, 치료 등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오히려 그 적용에 따라 개념이 명확하지 않거나 관련 설명이 번잡해지기도 하였다.
『黃帝內經』에서 三陰三陽의 특성을 어떻게 표현하였는가? 그러나 생리, 병리, 진단, 치료 등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오히려 그 적용에 따라 개념이 명확하지 않거나 관련 설명이 번잡해지기도 하였다. 『黃帝內經』에서 三陰三陽의 특성을 표현한 것은 開闔樞, 氣血多少, 標本中, 表裏關係 등인데, 이중 標本中 개념은 陰陽, 五行, 表裏 관계가 모두 관련되어 있는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또한 標本中은 氣가 化生할 때에 무엇에 근원하는가의 從化 規律을 가지고 있는데, 생리적인 氣化뿐만 아니라 특히 질병이 발생할 때 이 規律을 따른다고 하여 후대에 이를 임상치료에 적용하여 그 이론적 근거로 활용한 경우가 많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羅美惠. 以標本中氣從化理論探討傷寒論六經病證. 北京中醫藥大學大學院. 2010. pp.1-77. MH La. A discussion of the six-channel diseases in Treatise on Cold Damage by using the theory of manifestation, root cause and medial qi. Beijing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2010. pp.1-77. 

  2. 馬曉梅, 穆齊金. 三陰三陽源流論. 中國實用醫藥. 2008. 3(12). pp.95-96. XM Ma, JJ Mu. A study on the origin of Sanyinsanyang. China Prac. Med. 2008. 3(12). pp.95-96. 

  3. 尹暢烈. 六氣의 標本中氣와 疾病發生機轉에 관한 硏究. 大田大學校韓醫學硏究所論文集. 1997. 5(2). pp.535-542. CY Yoon. A study on the mechanism of disaease occurrence and Pyo-bon-jong of Six-gi. J.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in Daejeon University. 1997. 5(2). pp.535-542. 

  4. 李相協. 關闔樞와 標本中氣 從化規律의 相關性에 관한 硏究.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3. 26(4). pp.95-103. SH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k, Door and Axis' with the principle of following to the 'Tip, Root and Middle qi'. J. Korean Medical Classics. 2013. 26(4). pp.95-103. 

  5. 趙學俊. 醫學入門에 나타난 三陰三陽과 標本中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5. 18(4). pp.15-26. HJ Jo. A study on Sameumsamyang and Pyobonjung in Uihakimmun. J. Korean Medical Classics. 2005. 18(4). pp.15-26. 

  6. 盧之?. ??論疎(欽定四庫全書醫家類47). 서울. 大星文化社. 1995. pp.71-72. Luzhiyi. Jienuelunshu. Seoul. DSprint. 1995. pp.71-72. 

  7. 林慧光 主編. 陳修園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p.381. Limhuiguang. Chenxiuyuanquanshu. Beijing. China Traditional China Medicine Publisher. 1999. p.381. 

  8. 孫一奎. 赤水玄珠全集.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6. p.717, 1009. Sunyiki. Chishuixuanzhuquanji.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6. p.717, 1009. 

  9. 王?編註. 新編黃帝內經素問. 서울. 大星文化社. 1994. p.592. Wangbing. Xinbian-Huangdineijingsuwen. Seoul. DSprint. 1994. p.592. 

  10. 王子接. 絳雪園古方選注.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3. p.107. Wangzijie. Jiangxueyuangufangxuanzhu. Beijing. China Traditional China Medicine Publisher. 1993. p.107. 

  11. 王好古. 此事難知(欽定四庫全書醫家類13). 서울. 大星文化社. 1995. p.594, p.599, pp.609-610. Wanghaogu. Cishinanzhi. Seoul. DSprint. 1995. p.594, p.599, pp.609-610. 

  12. 喩嘉言. 喩嘉言醫學三書.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2004. pp.125-126, p.351, 593. Yujiayan. Yujiayanyixuesanshu. Beijing. Publishing House of Ancient Chinese Medical Books. 2004. pp.125-126, p.351, 

  13. 劉完素. 素問病機氣宜保命集.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1998. p.26. Liuwansu. Suwenbingjiqiyibaomingji. Beijing. Publishing House of Ancient Chinese Medical Books. 1998. p.26. 

  14. 李?. 脾胃論(欽定四庫全書醫家類13). 서울. 大星文化社. 1995. pp.409-412, p.422, 428, pp.431-432. Ligao. Piweilun. Seoul. DSprint. 1995. pp.409-412, p.422, 428, pp.431-432. 

  15. 李?. 醫學入門. 서울. 大星文化社. 1989. p.599. Lichan. Yixuerumen. Seoul. DSprint. 1989. p.599. 

  16. 張介賓. 類經圖翼. 서울. 成輔社. 1982. pp.140-141. Zhangjiebin. Leijingtuyi. Seoul. Sungbosa. 1982. pp.140-141. 

  17. 鄭林 主編. 張志聰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p.259. Zhenglin. Zhangzhicongyixuequanshu. Beijing. China Traditional China Medicine Publisher. 1999. p.259. 

  18. 鄭壽全. 醫理眞傳.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3. 17. Zhengshouquan. Yilizhenchuan. Beijing. China Traditional China Medicine Publisher. 1993. 17. 

  19. 朱? 外. 普濟方(1).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59. pp.48-49, pp.103-105. Zhushao etc. Pujifang(1).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59. pp.48-49, pp.103-105. 

  20.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1981. p.241, 302. WS Hong. Jingxiao-Huangdineijingsuwen. Seoul.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981. p.241, 3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