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추·경근』의 기본자세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Standard Posture of 『Yeongchu·Gyeonggeun (Lingshu·Jingji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37 no.1, 2020년, pp.1 - 13  

김민식 (미르한의원) ,  김창건 (청명한의원) ,  이은용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analyze the contents of ≪Lingshu·Jingjin≫ and study the standard posture in context of Korean Medicine. Methods : Analyzed the terms related to the name, body region and orientation of Three Yin and Three Yang used in ≪Lingshu·Jingjin≫ to d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학의 역사의 특징은? 한의학의 역사를 보면 과거 醫家들의 관심은 대부분 ‘經脈’에 있으며, ‘經筋’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의 經筋에 대한 연구도 활발한 편은 아니고, 연구의 다수가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한 해부학적 연구로, 經筋의 기초 이론이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못하여 다방면에서 응용되지 못하였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2).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한 결론은? 1. ≪靈樞ㆍ經筋≫과 ≪靈樞ㆍ經脈≫의 三陰三陽은 ≪素問ㆍ 陰陽離合論≫의 내용을 근간으로 하며, 經筋과 經脈의 三陰三陽은 인체의 부위에 대한 표현이다. 2. ≪素問ㆍ陰陽離合論≫의 三陽은 인체의 외부로서 太陽은 인체의 背面, 少陽은 인체의 外側面, 陽明은 인체의 前面을 의미하며, 三陰은 體幹에서는 인체의 내부를 의미하지만, 下肢에서는 좌우 다리가 맞닿는 부분으로 太陰은 下肢 내측을 기준으로 제일 앞쪽이고, 제일 뒤쪽이 少陰이며, 厥陰은 하지의 가운데 부분, 즉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속을 의미하므로, 經筋의 명칭은 먼저 三陰三陽에 해당되는 부위가 정해진 상태에서 이 부위에 분포한 구조물인 筋에 붙여진 명칭이다. 3. ≪靈樞ㆍ經筋≫과 ≪靈樞ㆍ經脈≫에서 기준이 되는 자세는 기립상태에서 발을 앞으로 향하며 손가락을 자연스럽게 펴고, 엄지손가락을 자연스럽게 한 상태에서 손등이 바깥쪽으로 향하는 자세이다. 이는 鍼灸醫學 연구의 기본자세가 될 수 있기에 ‘침구의학적 표준자세(Standard Position of Acupuncture Medicine)’로 규정할 것을 제안한다.
해부학적 자세의 의의는? 의학은 인체를 연구하는 학문이어서 인체를 표시할 때 공통된 기준이 필요하다. 해부학에서는 인체의 방향을 표시할 때 모두 ‘해부학적 자세(Anatomical Position)’5)를 기준으로 하여 방향성에 대한 모호함이 없다. 한의학에도 인체의 방향에 대한 설명은 여러 부분에서 찾아 볼 수 있지만, 이에 대한 기준이 제시된 부분은 찾아 볼 수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wang MS, Yoon JH. Study of the meridian muscle theory. J Acupunct Res. 2005 ; 22(1) : 29-39. 

  2. Lee SM, Lee JS. An analysis of the study tendency on meridian muscle.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009 ; 4(2) : 212-22. 

  3. Mun SJ, Kim SH, Lee SH. Classification of muscles into meridian sinew: a literature review. J Korean Med Rehab. 2014 ; 24(4) : 83-96. 

  4. Kim MS. A study on the theory of Yeongchu Gyeonggeun and foot three yang and three yin meridian-muscle: application and comparison of myology. PhD [dissertation]. Jecheon:Semyung University. 2018. 

  5. Drake RL, Vogl AW, Mitchell AW. Gray's anatomy for students. 3rd ed. Philadelphia:Elsevier. 2015 : 2, 673. 

  6. Jiebin. Leijing (shang) (photographic edition). Seoul:Daesung. 1996 : 150-7, 159-63, 204-6. 

  7.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Acupuncture medicine. Seoul:Hanmi. 2016 : 41-5, 135. 

  8. Moore KL, Dalley AF, Agur AM. Clinically oriented anatomy. 7th ed. Baltimore: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 : 5, 634, 771. 

  9. Kim SH. Sunho Yeongchu (Sang). Daejeon:Jumin. 2003 : 150. 

  10. Meridians & Acupoints Compilation Committee of Korean Oriental Medical Colleges. Principles of meridians & acupoints: A guide-book for college Students. 6th ed. Daejeon:Jongryeonamu. 2012 : 44-60, 87. 

  11. Lim JS. Three Eum and Three Yang and opening, closing and pivot of Eum-yang-Li-Hapron. J Korean Med Classics. 1998 ; 11(2) : 15-26. 

  12. Ok DH, Hong WS. A study on the theory of 'Eum-yang-Li-Hap' in 6th chapter of 'SoMoon' 'Yellow Emperior's Nei-ching'. J Korean Medical Classics. 1989 ; 3 : 501-52. 

  13. Yun CY. A study on Three Eum and Three Yang. Journal of Haehwa Medicine. 1996 ; 4(2) : 337-53. 

  14. Kim DH.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yin and Three yang based on the yun-qi theory. J Korean Med Classics. 2009 ; 22(4) : 145-51. 

  15. Zhou XH. Duyisuibi. Jiangsu:Jiangsu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83 : 60-6. 

  16. Lee GU. Pyeonjuyeoghae HwangJenaegyeong Somun 1. Seoul: Yeogang. 1994 : 191, 199, 202. 

  17. Wang Q, Li BW, Qiu DW, Wang QQ, Peng RC. Huangdineijing Suwen Jinshi. Seoul:Euiseongdang. 1994 : 40. 

  18. Kim WJ. Cheville dictionary. Seoul:Hyeonamsa. 1996 : 682. 

  19. Donga Chinese-Korean dictionary. Seoul:Dusandonga. 1997 : 1640. 

  20. Simons DG, Travell JG, Simons LS.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volume 1. 2nd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9 : 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