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하분말을 이용한 녹두묵 제조 및 품질 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kdumook using Yangha(Zingiber mioga R.)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3, 2012년, pp.521 - 528  

김현순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김민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이명숙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건순 (한국농수산대학 교양공통학과) ,  김애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therapeutic diet against aging and obesity, using Yangha(Zingiber mioga R.). Befor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diet, we performed cell viability assay, analysis of general composition, macrominerals and antioxidantive activities of Yangha. Based on the find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하를 식품치유식 제조 시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양하의 독성 여부 분석, 일반적인 영양성분 분석, 항산화 효과 측정을 실시한 후 이러한 과학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항노화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식품치유식 개발을 목적으로 양하분말을 첨가한 녹두묵을 제조하고, 그 품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양하를 항노화 관련 식품치료식에 이용할 목적으로 1차적으로 양하의 독성 여부 판정,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 평가, 항산화활성 측정을 실시한 후 양하를 분말화하여 묵 제조 시 첨가하는 방법으로 식품치유식(양하묵)을 제조한 후 그 품질 특성을 평가한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양하의 cell viability assay 결과, 500 ㎍/㎖ 이상부터 10,000 ㎍/㎖ 농도 사이에는 세포생존율이 분명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어 독성문제는 염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가설 설정

  • 1) Data values are the mean±S.D.(n=3), 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묵은 어떤 물성을 가지고 있는가? 한편,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묵은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는 우리의 고유정서가 담긴 민속식품으로 겔(gel) 형성능력이 뛰어나며, 표면이 매끈하고 탄성이 크고 부드러우며, 어느 정도 힘이 가해지면 크게 몇 조각으로 부서지는 절단성을 가지는 독특한 물성을 갖고 있다(Joo & Chun 1992). 또한 묵은 조리법의 특성상 열량이 낮고 소화흡수가 용이하여 다이어트 미용식품으로의 이용도가 높은 식품으로 생각된다.
양하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양하(襄荷, Zingiber mioga R.)는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 일본, 중국 및 열대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및 남해안 일대에 자라는 식물이다(Lee 등 2007; Han 등 1983). 제주지방에서는 ‘양애’라고 불리우며, 오래전부터 애용되어 왔다.
양하는 약용으로서 어떤 효능이 있는가? 양하는 독특한 맛과 향을 지닌 식물로서 각종 요리의 향신료 및 피클의 재료로 이용되며, 주로 나물, 산적, 장아찌로 이용되기도 한다. 약용으로는 지하경과 종자를약재로사용하는데, 지하경에는zingerene, zigirone, shogaol, β-phellandre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여성의 생리불순과 백대하를 치료하고, 진통, 건위, 거담제, 심장병, 결막염, 종기와 안구충혈에도 사용하며, 종자는 진통제의 효능이 있다(Kim TS 1998). 이와 같이 양하가 식용 및 약용으로 많은 개발 가능성이 있음에도 양하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p72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ang MH, Song JC, Kim LS, Hur HS, Back NI. 2001.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root of Zingiber officinale R.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 44:202-205 

  3. Chang KM. 2007. Manufacturing of functionalized color mook by addition of the color and flavor from nature foods. Korean J Food Culture 22:365-372 

  4. Cho SA, Kim SK. 2000. Paticle size distribution, pasting pattern and texture of gel of acorn, mungbean, and buckwheat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291-1297l 

  5. Cho Y, Choi MY. 2007. Sensory and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of acorn starch mook with additiv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346-353 

  6. Gisslen W. 2001. Professional Baking. Jone Wile & Sons Inc. New York. USA 

  7. Han HR, Chang JL, Park YB. 1983. Studies on some ecological aspects and cultural practices of Zingiber mioga. J Kor Soc Hort Sci 24:200-206 

  8. Jang KC, Kim SC, Song EY, Ro NY, Moon DY, Um YC. 2003. Isolation and structure identifica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s from the rhizome of Zingiber mioga Rosco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6:246-250 

  9. Jang KC, Kim SC, Song EY, Ro NY, Moon DY, Um YC. 2006. Isolation and structure identification of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substances from the rhizome of Zingiber mioga Roscoe. Korean J Crop Sci 51:540-541 

  10. Jeon JM, Choi SK, Kim YJ, Jang SJ, Cheon JW, Lee HS. 2011.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75-81 

  11. Jeong GS, Im SI, Jung BM. 2005. Comparison of nutritional constituents of native yangha in Yeosu and Cheju area. Korean J Food Sci Tech 37:713-716 

  12. Joo NM, Chun HJ. 1992. Effect of oil addition on texture of mungbean starch gel. Korean J Soc Food Sci 8:21-25 

  13. Kim AJ, Han MR, KIm MH, Tae KH, Lee SJ. 2009. Immune activity of mosida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asik using mosidae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548-554 

  14. Kim AJ, Shim SM, Joung K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pomook using black ginseng extract.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 12:3994-4000 

  15. Kim AJ. 2011. The review on the functional effect of black ginseng in Korea. J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al Sci 1:1-8 

  16. Kim SH. 2011.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mooks prepared from cowpea, mungbean and allbanggae. MS Thesis, Seoul National Uni. Seoul, Korea 

  17. Kim TS. 1998. Natural Plant of Korea. p.223. Seoul National Univ. Publishing Dep. Seoul 

  18. Kong KH.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heavy metals detoxification by Smilax china L. tang which added Glycyrrgizae Radix. MS Thesis, Kyonggi Uni. Seoul, Korea 

  19. Kwon MR, Kim SR, Leem KS. 1992. Characterization of mook(starch-gel food) forming starch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35:92-98 

  20. Lee JW, Chon SU, Han SK, Choi DG, Ryu J. 2007. Effects of antioxidant and flavor components of Zingiber mioga Rosc.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203-209 

  21. Lee MH, Kim MS, Lee LG, Shin HG, Sohn HY. 2011.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taste and function-enhanced Yam Chips. Korean J Microbiol Biotecnol 39:153-160 

  22. Lee SW, Wi HL, Lee MS. 2011.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of dally sulfide, capasaicin, ginperol and sulforaphone in $H_2O_2$ -stressed HepG2 cells. Korean J Nutr 44:488-497 

  23. Lee YS, Kim KK, Kim NW. 2011.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rk extract of Albizia julibrissin. Korean Food Presery 18:79-86 

  24. Liu F, Ooi VEC, Chang ST. 1997. Free radicals scavenging activity of mushroom polysaccharide extract. J Life Science 60:763-771 

  25. Shin JH, Lee SJ, Sung, NJ. 2002. Effects of Zingiber moiga, Zingiber moiga root and Zingiber officinale on the lipid concentration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679-684 

  26. Shin YA, Shin KS. 2011. Trend of domestic research about antioxidant effects of natural products. J Complement Altern Med Sci 1:37-50 

  27. 민경찬, 김현오, 이애랑, 황금희, 김종현, 이정실, 김애정, 김미옥, 최향숙, 박명수, 정상열. 2011. 기초영양학. pp.94-135, pp.161-240. 광문각. 파주 

  28. 서광희, 이영순, 이병순, 김애정, 홍경희, 김정남. 2012. 임상영양학. p.137. 양서원. 파주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