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첨가물질에 따른 도토리묵의 관능적${\\cdot}$기계적 특성
Sensory and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of Acorn Starch Mook with Additi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3 no.3, 2007년, pp.346 - 353  

최미용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조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녹차와 백년초의 기능성을 살린 도토리묵을 실용화시키고 효과적인 배합비를 알아보기 위해 녹차와 백년초 분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도토리묵을 제조한 후 pH, 산도, 색도, 물성,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도토리묵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pH는 녹차와 백년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산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p<0.001). 색도는 녹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과 적색도(a)값은 유의적으로 점차 감소하여(p<0.001)고, 황색도(b)값은 유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백년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과 황색도(b)간은 유의적으로(p.0.001)감소하였고, 적색도(a)값은 증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 었다(p<0.001). 물성은 녹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 탄력성, 씹힘성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응집성은 증가하였다. 부서짐성의 경우 녹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백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 부서짐성, 탄력성, 씹힘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응집성의 경우 백년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조금의 차이는 있었지만 많은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관능검사는 녹차 분말 첨가 도토리묵의 경우 색상, 외관, 향미, 쓴맛은 G3(1.5%)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씹힘성의 경우 녹차 분말을 첨가한 것 보다 대조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탄력성의 경우 녹차 분말이 첨가되면서 약간씩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견고성의 경우 녹차 분말이 첨가되면서 낮아졌으며 대조군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떫은맛의 경우 대조군이 녹차 분말 첨가군보다 높았으며, 전반적인 선호도의 경우 G3(1.5%)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년초 분말 첨가 도토리묵의 경우 색상은 0.5% 첨가한 O1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외관은 1.5% 첨가한 O3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향미와 신맛의 경우는 백년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했다(p<0.001). 씹힘성, 탄력성, 견고성의 경우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백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01), 떫은맛의 경우는 백년초 분말에 의한 신맛의 영향으로 1% 백년초 분말이 첨가된 O2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선호도는 0.5% 백년초 분말이 첨가된 O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녹차와 백년초의 기능성을 살린 도토리묵을 실용화시키는 효과적인 배합비는 녹차 분말 1.5% 첨가와 백년초 분말 첨가 0.5%가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며 백년초 분말은 1%까지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도토리묵에 녹차와 백년초 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충분히 활용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optimal mixing ratios of Breen tea power and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powder for making acorn starch moot The pH, acidity, color values(L-value, redness, and yellowness), texture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acorn starch moot mad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도토리묵에 여러가지 기능성을 가진 녹차와 백년초 분말을 첨가해서 도토리묵의 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물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여 묵 제조의 표준화를 제시하고 또한 보다 우수한 도토리묵 제조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광옥, 김상숙, 성내경, 이영춘. 1993. 관능검사 방법 및 응용. 신광출판사. 서울. pp 194-242 

  2. 윤서석. 1984. 한국식품사. 신광출판사. 서울. pp 116 

  3. Chong HS, Park CS. 2003. Quality of Noodle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0(2): 200-205 

  4. Chung DH, Yu TJ, Choi BK. 1975. Originals :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corn Starch-Part I. Properties of Acorn Starch. Korean J Agricultural Sci Chemical 18(2): 102-107 

  5. Chung HJ. 2000.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16: 160-166 

  6. Hyun YH, Hwang YK, Lee YS. 2001. A Study of Cooking Properties of the Noodle Made of Composite Flour with Green Te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4): 295-304 

  7. Jung DW, Nam ES, Park SI. 2005.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Growth of Lactic Culture. Korean J Food & Nutr 18(4): 325-333 

  8. Jung SY, You HH, Kim KS, Shin MK. 2005. Effect of Mal-Cha (Powdered Green Tea) on the Quality of Jeung-Pyu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6): 766-772 

  9. Kim HH, Park GS. 1998. The Sensory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Julpyun and Sulgidduk in according to Concentrations of Green te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8(4): 454-461 

  10. Kim HK, Kwon DH, Kim HY, Jun HK. 2005.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methanol extract. J Life Sci 15: 279-286 

  11. Kim NY, Cho AR, Jung SJ, Kim KH, Lee HJ, Lee S, Yook H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pcakes Added with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 58-64 

  12. Lee HS. 1992. Properties of Acorn Flour and Texture of Mook. Master degree thesi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p 3 

  13. Lee HS, Jang MS. 2005. A study on quality chracteristics and storage of Julpyun affected by Chungmirae(Smilax china L.)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4): 482-489 

  14. Lee SJ, Chung ES, Park G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coagulated by apricot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 825-831 

  15. Lee YC, Hwang KH, Han DH, Kim SD. 1997.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5): 847-853 

  16. Moon SJ, Sohn KH, Park HW. 1977. An Experimental Cooking on Starch Gel - I. A Study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Mook' J Korean Home Eco Ass Vol(4): 31-43 

  17. Na HS, Kim K. 2002. Effect of Soaking Condition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Acorn Moo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2): 221-224 

  18. Park JH. 2000. Effects of Green Tea-Soybean Paste on Weights and Serum Lipid Profiles in Rats Fed High Fat Diet. Master degree thesis. The Myung ji University of Korea. pp 6 

  19. Park JY, Koo SJ. 1984. A Study on the Tannin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of Acorn Starch-Gallic Acid Contents and Visco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17(1): 41-49 

  20. Park SO. 1987. Study on sensory characteristics of mooks with and without corn starches. Master degree thesis. The Ewha Woman University of Korea. pp 1 

  21. Seo KI, Yang KH, Shim KH. 1999.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3): 355-359 

  22. Shin DH, Lee YW.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rickly Pear(Opuntia ficus-indica) Powder. Korean J Food & Nutr 18(4): 341-348 

  23. Son MJ, Whang K, Lee SP. 2005. Development of Jelly Fortified with Lactic Acid Fermented Prickly Pea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3): 408-413 

  24. Youn KS, Hong JH, Kim SD. 2000. Effects of Seaweed Extracts and Corn St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Acorn Mook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5): 431-4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