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영양교육에 대한 만족과 인식 조사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Nutrition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9, 2012년, pp.1259 - 1264  

윤지선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류은순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영양교육에 대한 만족에 따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도시 보건소에서 개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양교육을 실시한 울산지역 초등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구 및 시청각 자료는 만족한다. 52.3%, 보통이다 38.8%였고, 내용수준은 알맞다 67.3%, 낮다 25.7%였으며 타 교과목과 비교한 재미는 재미있다 46.5%, 보통이다 41.0%로 나타났다. 3학년이 5학년보다 도구 및 시청각자료(p<0.05)와 타 교과목과 비교한 재미(p<0.001)에 대한 만족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영양교육이 재미없는 이유는 체험활동이 아니어서, 원하는 내용이 아니어서, 중요성을 몰라서, 내용이 어려워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교육에 대한 필요성 점수는 도구 및 시청각자료에 대해 만족한 학생(p<0.001), 내용수준이 높다고 응답한 학생(p<0.01), 타 교과와 비교하여 재미있다고 응답한 학생(p<0.001)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교육 재교육에 참여할 의향점수는 도구 및 시청각자료에 대해 만족한 학생과 타 교과와 비교해서 영양교육이 재미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유의적(p<0.001)으로 높았다. 영양교육을 받은 학생 중 77.6%가 친구에게 영양교육을 권할 의향이 있었으며 도구 및 시청각자료에 대해 만족한 학생의 85.2%, 내용수준이 알맞다고 응답한 학생의 82.3%, 타 교과와 비교하여 재미있다고 응답한 학생의 90%가 친구에게 영양교육을 권할 의향이 있었으며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영양교육 만족에 따른 식생활에 도움 정도는 필요영양소, 세끼 식사를 하는 이유, 아침식사의 중요성, 알맞게 먹기, 올바른 간식섭취, 식품구성탑, 영양표시의 순으로 나타났다. 도구 및 시청각 자료에 대해 만족하거나 보통이라고 응답한 학생들이 아침식사의 중요성, 알맞게 먹기, 올바른 간식섭취, 영양표시, 식품구성탑, 필요영양소에서 유의적(p<0.001)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고, 타 교과와 비교한 재미에서, 재미없다고 응답한 학생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p<0.001)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nutrition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327 students at three elementary schools in the Ulsan area in July 2010. Fifty-two percent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에서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의 도구 및 시청각자료, 내용의 수준 및 수업의 재미에 대한 만족을 조사하고, 이러한 요인들과 학생들의 영양교육의 필요성, 재수업 참여 의사 등의 인식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영양교육 시 학생들의 영양교육에 대한 만족과 효과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영양교육에 대한 만족에 따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도시 보건소에서 개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양교육을 실시한 울산지역 초등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구 및 시청각 자료는 만족한다 5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교육이란 무엇인가? 영양교육은 개인이나 집단에서 건강과 영양상태 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자발적으로 습득하도록 고안되고 계획된 학습 경험이라 정의하고 있다. 즉, 영양교육은 건강증진을 위해 건전한 식행동을 습득하는 과정이며, 타의에 의해서가 아니라 교육 대상자 스스로 자발적으로 식행동을 습득하고 유지하도록 돕는 과정이다(1).
영양교사화가 시행된 시기는 언제인가? 우리나라는 2006년 3월 1일부터 영양교사화가 시행되면서 지속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는데 국민건강영양조사(2)에 의하면 1년 이내에 영양교육 및 상담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이 21.0%라 보고하였다.
초등학생의 영양교육 만족에 따른 식생활에 도움 정도 순은 어떠한가? 05)를 보였다. 영양교육 만족에 따른 식생활에 도움 정도는 필요영양소, 세끼 식사를 하는 이유, 아침식사의 중요성, 알맞게 먹기, 올바른 간식섭취, 식품구성탑, 영양표시의 순으로 나타났다. 도구 및 시청각 자료에 대해 만족하거나 보통이라고 응답한 학생들이 아침식사의 중요성, 알맞게 먹기, 올바른 간식섭취, 영양표시, 식품구성탑, 필요영양소에서 유의적(p<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on SM, Lee KH, Kim KW, Lee YK. 2009. The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2nd ed. Life Science, Seoul, Korea. p 1-2. 

  2.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Korea. p 193. 

  3. Ahn Y, Ko SY, Kim KW. 2009.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4: 266-276. 

  4. Kim KA, Lee YK. 201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nimations on the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5: 50-60. 

  5. Woo TJ, Ji YJ, Lee KH. 2011. Development and educational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workbook for improvement of child picky eaters-Focused on 2nd 3rd graders-. J Korean Diet Assoc 17: 130-141. 

  6. Shin EK, Shin KH, Kim HH, Park YH,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the needs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2: 89-101. 

  7. Yang YM. 2008. Understanding of school lunch and nutritional educa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Gwangju/Jeonnam province. MS Thesis. Chonnam University, Gwangju, Korea. 

  8. Kim EJ. 2009. A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M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9. Kim HR, Shin ES, Lyu ES. 2008. Mothers' perceptions on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Busan area. J Korean Diet Assoc 14: 276-290. 

  10. Choi MK, Bae YJ, Kim MH, Lee OS. 2010.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by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parents in the Chu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16: 39-48. 

  11. Kwak SR. 2007.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Sociology of Education 17: 1-21. 

  12. Baker JA, Dilly LJ, Aupperlee JL, Patil SA. 2003. The developmental context of school satisfaction: Schools as psychologically healthy environment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8: 206-221. 

  13. Elliott KM, Shin DY. 2002. Student satisfaction: An alternative approach to assessing this important concept. J High Educ Pol Manag 24: 197-209. 

  14. Choi HJ, Seo JS. 2003. Nutrient intakes and obesity-related factors of obese children and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 477-484. 

  15. Shin EK, Lee HS, Lee YK. 2004.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obese children and their parents (I)-Focus on anthropometric values and serum biochemical index-.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 566-577. 

  16. Lee YM, Lee MJ, Kim SY. 2005.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4th-, 5th- and 6th-grad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1: 331-340. 

  17. Jung KA. 2008. The present state of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Practical Arts Education 21: 107-137. 

  18. Park SH. 2010.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CI, Park YS, Lee JW, Hyun WJ. 2006. School dietitians need useful nutrition counselling materials. J Korean Diet Assoc 12: 243-253. 

  20. Oh YJ, Lee YM, Kim JH, Ahn HS, Kim JW, Park HR, Seo JS, Kim KW, Kwon OR, Park HK, Lee EJ, Sung HN. 2008. Interview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trition education and practic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499-509. 

  21. Yu JS, Kwon CS. 2009. A study on the degree of concern and satisfaction of elementary students about school science lesson. J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 361-372. 

  22. Moon HK, Park Y, Park JH. 2008.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5th grade students provided by community health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Diet Assoc 14: 259-275. 

  23. Belfry MJ, Winne PH. 1998. A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in nursing education. Comput Nurs 6: 77-85. 

  24. Woo TJ, Her ES, Lee KH. 2006.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2: 299-3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