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도 조사
Students' and Parents' Perceptions of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8, 2006년, pp.1016 - 1024  

김현희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유화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은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경희 (경북북삼초등학교) ,  배인숙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국 16개 지역 초등학교 학생 7,577명과 학부모 6,003명을 대상으로 학부모의 가정에서의 영양교육실태, 학부모와 학생이 인식하는 학교 영양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방향, 학생들의 영양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학부모대상 식생활교실 관심도 등을 학교급식 유형별로 비교하였다. 학부모의 81.4%가 가정에서의 영양교육이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였고, 63.2%가 가정에서의 영양교육 실시에 어려움을 느꼈으며, 그 이유로는 자녀의 영양상태 파악부족이 41.9%로 가장 많았고, 가정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양교육은 편식교정이 73.1%로 가장 높았다.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학부모의 96.6%, 학생의 62.8%가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고, 영양교육 적임자로는 학부모의 53.8%와 학생의 46.2%가 영양교사로 인식하였으며, 교육시기로는 학부모의 88.4%가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영양교육 유형으로는 학부모의 55.8%가 실습을 병행한 교육이 적당하다고 답하였고, 도시형 급식학교 학부모의 경우 특별활동반을 활용한 교육을, 농어촌형 급식학교 학부모의 경우는 재량활동시간을 활용하는 것을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적절한 영양교육 시간을 일주일에 1시간으로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영양교육 유형으로는 특별활동반 및 우리농산물 체험교육에 대해서 78.5%가 관심을 나타내었으며, 참여해보고 싶은 특별활동반으로는 조리실습반 73.0%, 편식교정반 12.8%, 비만관리반 10.1% 순이었다. 방학을 이용한 건강 식생활 캠프는 조리실습 캠프 68.3%, 전통음식 탐방 캠프 41.3%, 편식 캠프 19.5% 순으로 조사되었다. 학부모 대상 식생활 교실을 운영할 경우 74%의 학부모가 참여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교실운영 시 관심분야는 조리실습 47.4%, 식사요법 45.7%, 식품정보 44.5% 순으로 나타났으며, 식품정보에 대한 관심도는 도시형 급식학교의 학부모가 농어촌형 급식학교의 학부모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 초등학생 및 학부모들은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은 특별활동반을 활용하여 일주일에 1시간씩 영양교육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부모 또한 자녀들이 실습을 병행한 교육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향후 특별활동반 운영을 위한 체계적인 영양교육프로그램이나 지침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and parents' perceptions of nutrition education. In this survey, 7,577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6,003 of their parents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about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its present status and probl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유형에 따른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향후 영양 교사의 체계화된 영양교육 실시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o SM. 1990. Symposium: The present status and a future scheme in nutrition education. Korean J Nutr 29: 208-212 

  2. Lee YJ, Kim GM, Chang KJ. 2000. The analysis of effect a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on. J Korean Diet Assoc 6: 86-96 

  3. Lee YE, Yang IS, Cha JA. 2002. The importance and categorization of task elements of school food service dietician. Korean J Nutr 35: 668-680 

  4. Ferris RP, Nicklas TA, Webber LS, Berenson GS. 1992. Nutrient contribution of the school lunch program: implications for healthy people. J Sch Health 62: 182-184 

  5. Choe JS, Chun HK, Chung GJ, Nam HJ. 2003. Relations between the dietary habit andacademic achievement, subjective health judgement, physical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627-635 

  6. Lee GS, Rhie SG. 1997. Study for relations among the dietary behavior, physical status, and degree of study achievement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2: 137-147 

  7. Park YH, Kim HH, Shin KH, Shin EK,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Nutr 39: 403-416 

  8. Suh EN, Kim CK. 1998.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Based up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in inner-Seoul-. Korean J Nutr 31: 787-798 

  9. Koo NS, Park JY, Park CI. 1999. Study on foodservice management of dietitian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aejon and Chungnam. J Korean Diet Assoc 5: 117-127 

  10. Yoon HS, Ro JS, Her ES. 2001.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nutrition education in the Kyungnam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84-90 

  11. Her ES, Yang HL, Yoon HS, Lee KH. 2002. Nutritional education status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in the Gyeongnam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 781-793 

  12. Kim GM, Lee YH. 2003. A study on nutrition management of dietitian for school lunch program in Seoul and Incheon provinces. J Korean Diet Assoc 9: 57-70 

  13. Lee KH, Hwang KJ, Her ES. 2001. A study on body image recognition, food habits,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f elementary children in Ch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577-591 

  14. Lee YM, Lee MJ, Kim SY. 2005.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1: 331-340 

  15. Lee AR, Moon HK, Kim EK. 2000. A study on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body image recognition of nutrition knowledge after nutrition education for obese children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6: 171-178 

  16. Shin EK, Lee HS, Lee YK. 2004.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obese children and their parents (II) -Focus on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s,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 578-588 

  17. Bae IS, Shin KH, Lee YK, Lee SK. 2005.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and students on nutrition education to set up the roles of nutrition teacher -centered o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1: 393-405 

  18. Shin KH, Shin EK, Park YH, Kim HH,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difficulty to set up the job duties of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2: 105-117 

  19. Shin EK, Shin KH, Kim HH, Park YH,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the needs on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2: 89-101 

  20. 박종렬, 신상명. 2004. 신교육행정학개론. 형설출판사, 대구. p 116 

  21. 손숙미. 2002. 학교영양교사임용의 당위성 및 기대효과. 한국영양교육 개선을 위한 연구토론회 자료집. p 1-21 

  22. Kang SA, Lee JW, Kim KE, Park DY. 2004. A study of the frequency of food purchase for snacking and its related ecological factor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 453-463 

  23. Yi BS. 2004.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recognition of diet related facto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0: 364-374 

  24. Yeom CA, Kim HR, Park HR, Kim HS, Kim SA, Park OJ, Shin MK, Son SM. 1995. Parents and principles of elementary school with meal service want sou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erformed by dietitian. J Korean Diet Assoc 1: 89-95 

  25. Her ES, Lee SG, Park HJ, Lee KH. 2005. Effect-evaluation on nutrition education in related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 795- 804 

  26. Park SJ. 200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s. J Korean Diet Assoc 6: 17-25 

  27. Gillespie AH. 1981. A theoretical framework for studying school national education programs. J Nutr Educ 13: 150- 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