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방법에 따른 고춧가루의 품질특성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Quality of Red Pepper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9, 2012년, pp.1315 - 1319  

임용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경예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인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유선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에 따른 고춧가루의 품질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 가지 품종의 고추를 PE House 건조, 열풍건조, 원적외선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건조조건별로 고춧가루의 수분함량 변화, pH, ASTA value 및 capsaicinoids와 vitamin C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건조 후 고춧가루의 수분함량은 12.05~14.01%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pH는 건조 전 생고추인 4.93보다 다소 높은 5.00~5.54를 나타내었다. 고춧가루의 매운맛을 나타내는 총 capsaicinoids의 capsaicinoids의 함량은 PE House 건조에서 224.40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열풍 $70^{\circ}C$ 건조에서 191.87 mg/100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건조방법에 따른 capsaicinoids 함량이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매운맛 함량의 변화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춧가루의 대표적 항산화제인 vitamin C 함량은 다른 건조방법 및 조건에 비해 PE House, 열풍 $60^{\circ}C$과 원적외선 $60^{\circ}C$에서 596.60~648.31 mg/100 g으로 높은 수준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소비자가 고춧가루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ASTA value는 126.68~156.77로 건조방법 및 조건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고추의 건조방법 및 조건을 낮은 온도 조건에서의 열풍, 원적외선 건조방법으로 결정한다면 고춧가루의 vitamin C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PE House 건조에 비해 신속하며 오염을 예방하는 고품질의 고춧가루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powder is widely used as a spice and flavor ingredient in the food industry. It is well known that during the drying process red pepper undergoes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chang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red pepper powd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에 따른 고춧가루의 품질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 가지 품종의 고추를 PE House 건조, 열풍건조, 원적외선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건조조건별로 고춧가루의 수분함량 변화, pH, ASTA value 및 capsaicinoids와 vitamin C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건조 후 고춧가루의 수분함량은 12.
  • 본 연구에서는 충북 청주지역의 재래시장에서 구입한 청양품종의 고추를 PE House 건조, 열풍건조 및 원적외선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고춧가루를 제조하고 품질특성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주로 사용하는, 고춧가루를 생산할 수 있는 건조방법은 무엇인가? 고추의 유통형태가 원형상태에서 고춧가루로 전환되면서 자연그대로의 색택을 가진 우수한 고춧가루를 생산할 수 있는 건조방법이 요구되어진다. 현재 고추의 주된 건조방법은 일광건조인 polyethylene(PE) house와 열풍건조, 원적외선 건조가 있으며, 건조된 고추의 품질은 건조방법과 건조온도와 같은 건조조건에 좌우된다. 고추를 적당히 일광건조하면 고추의 품질이 좋아진다고 보고되었으나(10),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기상 조건에 따라 고추의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주며, 일부 고추는 시간이 오래되면서 썩게 된다(11).
고추 일광건조의 단점은 무엇인가? 현재 고추의 주된 건조방법은 일광건조인 polyethylene(PE) house와 열풍건조, 원적외선 건조가 있으며, 건조된 고추의 품질은 건조방법과 건조온도와 같은 건조조건에 좌우된다. 고추를 적당히 일광건조하면 고추의 품질이 좋아진다고 보고되었으나(10),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기상 조건에 따라 고추의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주며, 일부 고추는 시간이 오래되면서 썩게 된다(11). 이와 같이 고추의 건조조건에 따른 품질과 위생상의 중요성 때문에 고추의 건조조건에 따른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12).
본 고에서 건조방법에 따른 고춧가루의 품질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건조한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에 따른 고춧가루의 품질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 가지 품종의 고추를 PE House 건조, 열풍건조, 원적외선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건조조건별로 고춧가루의 수분함량 변화, pH, ASTA value 및 capsaicinoids와 vitamin C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건조 후 고춧가루의 수분함량은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DY, Rhee CO, Shin SH. 1982. Color changes of red pepper by drying and milling methods. J Korean Agr Chem Soc 25: 1-7. 

  2. Ku KH, Kim NY, Park JB, Park WS. 2001.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ungency in the red pepper for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231-237. 

  3. Chun JK, Suh CS. 198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orage humidity and the sorption rate of red pepper powder. J Korean Agric Chem Soc 23: 1-6. 

  4. Hornero-Mendez D, Minguez-Mosquera MI. 2001. Rapid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red and yellow isochromic carotenoid fractions in paprika and red pepper oleoresins. J Agric Food Chem 49: 3584-3588. 

  5. Chiang GH. 1986. HPLC analysis of capsaicins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apsaicins and piperine by HPLCECD and UV. J Food Sci 51: 499-503. 

  6. Zhang WY, Po ALW. 1994. The effectiveness of topically applied capsaicin. Eur J Clin Pharmacol 46: 517-522. 

  7. Mori A, Lehman S, O'Kelly J, Kumagai T, Desmond JC, Pervan M, McBride WH, Kizaki M, Koeffler P. 2006. Capsaicin, a component of red pepper, inhibits the growth of androgen-independent, p53 mutant prostate cancer cells. Cancer Res 66: 3222-3229. 

  8. Hsu CL, Yen GC. 2007. Effects of capsaicin on induction of apoptosis and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cells. J Agric Food Chem 55: 1730-1736. 

  9. Topuz A, Ozdemir F. 2007. Assessment of carotenoids, capsaicinoids and ascorbic acid composition of some selected pepper cultivars (Capsicum annuum L.) grown in Turkey. J Food Compos Anal 20: 596-602. 

  10. Park CR. 197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rying methods upon the chemical changes in red pepper. 1. Changes of carotenoids, capsaicin and vitamin C. Korean J Nutr 8: 167-173. 

  11. Kim KH, Chun JK. 1975. The effects of the hot air drying of red pepper on the qua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7: 69-73. 

  12. Joo HK, Kim SS, Sa TM. 1995. Effect of drying condition on the colors and flavors change of fresh pepper. J Oriental Bot Res 8: 115-125. 

  13. Sung JM, Han YS, Jeong JW.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red pepper during frozen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7: 1-8. 

  14. Hwang SY, An YH, Shin GM. 2001. A study on the quality of commercial red pepper powder. Korean J Food & Nutr 14: 424-428. 

  15. Jeon G, Lee J. 2009. Comparison of extraction procedures for the determination of capsaicinoids in peppers. Food Sci Biotechnol 18: 1515-1518. 

  16. Wang HF, Tsai YS, Lin ML, Ou AS. 2006.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nents in GABA tea and green tea produced in Taiwan. Food Chem 96: 648-653. 

  1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017-1978. 

  18. Ku KH, Park JB, Park WS. 2004. Effects of red peppers on the its pungency and color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34-1042. 

  19. Park SH, Lee JH, Koo HJ, Cho JS, Lim HS, Yoo JH, Hwang SY, Sihn EH, Park YH, Lee JH, Cho JS. 2003. The physicochemical changes during storage of red pepper powder dried in hot-air by various process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 876-881. 

  20. Iwai K, Suzuki T, Fujiwake H, Oka S. 1979. Simultaneous microdetermination of capsaicin and its four analogues by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172: 303-311. 

  21. Muller-Stock FA, Joshi RK, Buchi J. 1971. Study of the components of capsaicin. Quantitative gas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individual homologs and analogs of capsaicin in mixtures from a natural source and of vanillyl pelargonic amide as adulteration. J Chromatogr 63: 281-287. 

  22. Kim JY, Keum DH, Park JH, Kang WW, Han CS, Lee YK. 1996. Evaluation of quality of red pepper with variations in drying method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c Products 3:137-143. 

  23. Chung BS, Kang KO. 1985. The changes of capsaicin contents in fresh and processed red pepp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14: 409-418. 

  24. Lee DS, Kim HK. 1989. Carotenoid destruction and nonenzymatic browning during red pepper drying as functions of average moisture content and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425-429. 

  25. Jung MR, Hwang Y, Kim HY, Jeong HS, Park JS, Park DB, Lee JS. 2010. Analyses of capsaicinoids and ascorbic acid in pepper (Capsicum annuum L.) breeding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05-1709. 

  26. Kim CF, Li H, Han CS, Park JS, Lee HC, Cho SC. 2007. Drying characteristics of oak mushroom using stationery far infrared dryer. J Biosys Eng 32: 6-12. 

  27. Yoon WM, Lee JY. 2004. Effect of drying method on the fruit and powder color of red pepper. J Nat Sci 15: 97-109. 

  28. Vega-Galvez A, Scala KD, Rodriguez K, Lemus-Mondaca R, Miranda M, Lopez J, Perez-Won M. 2009. Effect of air-drying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capacity, colour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var. Hungarian). Food Chem 117: 647-653. 

  29. Vega-Galvez A, Lemus-Mondaca R, Bilbao-Sainz C, Fito P, Andres A. 2008. Effect of air drying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rehydrated dried red bell pepper (var. Lamuyo). J Food Eng 85: 42-50. 

  30. Rodriguez-Amaya DB, Kimura M, Godoy HT, Amaya-Farfan J. 2008. Updated Brazilian database on food carotenoids: Factors affecting carotenoid. J Food Compos Anal 21: 445-4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