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 고춧가루의 색 관련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0, 2012년, pp.1423 - 1430  

성미선 (한국식품연구원) ,  강혜정 (한국식품연구원) ,  김윤숙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기간 저장하는 동안 고춧가루의 품질변화에 대한 물리적 측정치와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관능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빛의 투과 여부가 다른 2종류의 포장재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과 aluminum/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Al/LLDPE)를 선정하여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수분함량, 색도,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 고춧가루의 시각으로 인지하는 색과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고춧가루의 초기 수분 함량은 저장고의 상대 습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저장고의 온도나 포장재의 재질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색차계로 측정한 L, a, b값 중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하였고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였다. 두 측정값 모두 저온보다는 고온에서 저장 시 더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포장재의 재질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ASTA color value와 capsanthin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고온에서 저장 시 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ASTA color value는 빛이 투과하는 LLDPE 재질의 포장재에 저장하였을 경우 더 많이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황색의 강도는 증가하고 매운맛 색과 적색은 감소하여 점차 어두운 적색을 띄며 고온에서 저장 시 더 어두운 적색을 띄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포장재의 재질에 따른 차이는 매운맛 색에 대한 평가에서만 나타났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적색과 매운맛 색이 감소하고 황색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색소 성분의 물리적 측정치와 관능적 기호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a값,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은 전체적인 외관기호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그중 ASTA color value가 관능적 기호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고춧가루 저장 시 빛이 통과하지 않는 Al/LLDPE 재질의 포장재에 저장하였을 경우에 품질 변화가 적었고 색소 성분의 물리적 측정치와 관능적 기호도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춧가루의 소비자 선호도는 색도계를 이용한 적색도나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onditions and sensory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20^{\circ}C$, $0^{\circ}C$, $20^{\circ}C$) and in different wrap materials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기간 저장하는 동안 고춧가루의 품질변화에 대한 물리적 측정치와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관능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일, 채소류 등의 신선편의 가공식품의 포장에 이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필름 포장재 중 LDPE(lowdensity polyethylene) 재질의 포장재가 다른 포장재에 비해상대적으로 저장품질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Hong등(15)의 보고를 바탕으로 LDPE 재질의 포장재 중 빛의 투과 여부가 다른 2종류의 포장재 LLDPE(linear low densitypolyethylene)와 Al/LLDPE(aluminum/linear low densitypolyethylene)를 선정하여 품질 평가의 기초가 되는 색소 성분을 측정하여 장기간 저장하는 동안 포장재에 따른 고춧가루의 품질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고춧가루의 색과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색소 성분의 물리적 측정치와 관능적 품질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춧가루의 붉은색 정도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그중에서도 일차적인 품질 판정은매운 맛 성분보다는 외적 요소인 적색소에 의해 평가된다(5). 고춧가루의 붉은색 정도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색도계를 이용한 색도 측정과 ASTA(American SpiceTrade Association) color value 분석법이 있다. 색도계를 이용한 색차값은 Hunter's value인 L(lightness, 명도), a(redness, 적색도) 및 b(yellowness, 황색도) 값으로 평가하며(6)고추의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로 a×L값을 제안하여 500 이상이면 외관적으로 적색, 300~500 사이는 중간적색, 300 이하면 어두운 적색으로 구분하여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른냉동 생고추의 색도를 평가한 연구가 보고된바 있다(7).
고추의 일차적 품질 판정은 무엇에 의해 평가되는가? 고추는 주로 건조시킨 형태의 건고추나고춧가루의 형태로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2) 고추의 품질척도가 될 수 있는 색도와 맛 성분은 품질평가 시 중요한기준이 되고 있다(3,4). 그중에서도 일차적인 품질 판정은매운 맛 성분보다는 외적 요소인 적색소에 의해 평가된다(5). 고춧가루의 붉은색 정도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색도계를 이용한 색도 측정과 ASTA(American SpiceTrade Association) color value 분석법이 있다.
Carotenoids 색소는 어떤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Carotenoids 색소는 저장 시 파괴가 적은 색소이나 가공된제품의 상태, 건조 및 저장환경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1) carotenoids 성분 중 고추의 외적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인 붉은색의 주성분은 capsanthin으로 이는상품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25). 고춧가루 저장 시 포장재의 재질 및 저장온도에 따른 capsanthin 함량변화를 분석한 결과, 저장 초기의 capsanthin 함량은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Govindarajan VS. 1986. Capsicum production, technology, chemistry, and quality. Part 1. History, botany, cultivation, and primary processing. CRC Rev Food Sci Nutr 22: 109-176. 

  2. Choi OS. 1996. Emulsification stability of oleoresin red pepper and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during thermal cooking. J Korean Soc Food Nutr 25: 104-109. 

  3. Kim CH, Ryu SH, Lee MJ, Baek JW, Hwang HC, Moon GS. 2004.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powder using $N_{2}$ -circulated low temperature drying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5-31. 

  4. Lee DH, Kim MH, Lee CH. 1992. Relationships between the taste components and sensory preference of Korean red pepp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266-271. 

  5. Kim S, Park J, Hwang IK. 2004. Composition of main carotenoids in Korea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nd changes of pigment stability during the drying and storage process. J Food Sci 69: FCT39-FCT44. 

  6. Lee HD, Lee CH. 1992. Studies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red pepper by color measurement. Korean J Dietary Culture 7: 105-112. 

  7. Lee HE, Lim CI, Do KR. 2007. Changes of characteristics in red peppers by various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4: 227-232. 

  8. de Guevaea RGL, Pardo-Gonzalez JE. 1996. Evolution of color during the ripening of selected varieties of paprika pepper (Capsicum annuum L.). J Agric Food Chem 44: 2049-2052. 

  9. Shin HJ, Shin DH, Kwak YS, Choo JJ, Kim SY. 1999.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by red ginseng ad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50-765. 

  10. Miguez-Mosquera MI, Hornero-Mendez D. 1994.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paprika processing on the carotenoids in peppers (Capsicum annuum) of the Bola and Agridulce varieties. J Agric Food Chem 42: 1555-1560. 

  11. Shin HH, Lee SR. 1991.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red pepp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ing area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96-300. 

  12. Gross J. 1991. Pepper (Capsicum annuum L.). in pigments in vegetables-chlorophylls and carotenoid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NY, USA. p 198-208. 

  13. Choi SM, Jeon YS, Park KY. 2000. Comparison of quality of red pepper powders produced 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251-1257. 

  14. Hwang SY, An YH, Shin GM. 2001. A study on the quality of commercial red pepper powder. Korean J Food & Nutr 14: 424-428. 

  15. Hong S, Son SM, Chung MS, Kim D. 2003. Storage quality of minimally processed onions as affected by seal-packag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10-1116. 

  16.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Arlington, VA, USA. 

  17. ASTA. 1986. Official analytical methods.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 Englewood Cliffs, NJ, USA. p 68. 

  18. Weissenberg M, Schaeffler I, Menagem E, Barzilai M, Levy A. 1997. Isocratic non-aqueous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capsanthin and capsorubin i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paprika and oleoresin. J Chromatogr A 757: 89-95. 

  19. Lee SM, Park JB, Kim S, Hwang IK. 2003. The changes of capsaicinoids and ASTA color value of red pepper powder packed with different packaging materials. Korean J Soc Food Cooking Sci 19: 439-446. 

  20. Park HW, Kim SH, Kim YH, Lee SA. 2008.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EPS box packaging on the quality of green pepper. J Korean Soc Packaging Sci Technol 14: 31-33. 

  21. Heo CY, Cho SH. 2002.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Fuyu' persimmon fruits and cucumbers. Korean J Food Preservation 9: 126-130. 

  22. Song JC, Park HJ. 2005. Physical, functional, textur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foods. University of Ulsan Press, Ulsan, Korea, p 82. 

  23. Chang KS, Kim AU. 1976. Studies on packaging of chillies (Capsicum annuum) in flexible films and their laminates. J Korean Agric Chem Soc 19: 145-154. 

  24. Kim JO, Lee KH. 1994. Effect of temperature on color and color-preference of industry-produced Kochujang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23: 641-646. 

  25. Hornero-Mendez D, Miguez-Mosquera MI. 2001. Rapid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red and yellow isochromic carotenoid fractions in paprika and red pepper oleoresins. J Agric Food Chem 49: 3584-3588. 

  26. Ku KH, Kim NY, Park JB, Park WA. 2001.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ungency in the red pepper for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231-2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