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약감초탕 섭취가 운동수행 후 혈당과 젖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ony-Licorice Mixture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and Lactate Levels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7 no.5, 2012년, pp.93 - 97  

하성 (동국대학교 사회체육학과) ,  이호근 (동국대학교 사회체육학과) ,  서동일 (동국대학교 사회체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at the effects of Peony-Licorice (PL) mixture supplementation on post-exercise blood glucose and lactate in professional women basketball players. Methods: Eleven professional women basketball play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약감초탕의 섭취가 여자프로농구 선수들의 운동 후 혈당과 젖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여, 한방생약재가 운동 보조물로서의 활용가치가 있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여자프로농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작약감초탕의 섭취가 운동 후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물을 섭취했을 경우와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운동 시작 후 몇 분동안 근육의 글리코겐이 에너지로 소비되기 때문에 혈당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약이 함유하는 주요 생리활성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작약(Peony)은 한방에서 고혈압, 복통, 진통, 진정, 그리고 염증완화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주요 생리활성물질은 peaoniflorin, albinoflorin, bezoylpaeoniforin, oxypaeoniflorin 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1). 약리학적 측면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 졌는데, 경구투여의 방법으로 항염증작용, 혈압강하작용등과 같은 효능이 증명되었다2).
감초는 무엇인가? 약리학적 측면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 졌는데, 경구투여의 방법으로 항염증작용, 혈압강하작용등과 같은 효능이 증명되었다2). Flavonoid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한약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용식물이다. 감초에 포함된 Flavonoid는 사람에게 항산화작용, 항바이러스작용 등과 같이 다양한 생리활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3-4).
작약의 약리학적 측면에 대한 여러 연구는 어떤 결과를 보고하였는가? 작약(Peony)은 한방에서 고혈압, 복통, 진통, 진정, 그리고 염증완화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주요 생리활성물질은 peaoniflorin, albinoflorin, bezoylpaeoniforin, oxypaeoniflorin 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1). 약리학적 측면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 졌는데, 경구투여의 방법으로 항염증작용, 혈압강하작용등과 같은 효능이 증명되었다2). Flavonoid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HJ. Isolation of resveratrol and its derivatives from the seeds of paeonia iactiflora pall., and their biological activity. Ph.D.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02. 

  2. Takagi K, Harada M. Pharmacological studies on herb paeony root. I . Central effects on paeonia of paeoniflorin and combinded effects with licorice component FM 100. Yakugaku zasshi. 1969 ; 89(7) : 879-86. 

  3.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and Rhyu MR.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4 36(2) : 333-8. 

  4. Havsteen BH. The biochemistry and medical significance of the flavonoids. Parmacol Ther. 2002 ; 96(2-3) : 67-202. 

  5. Williams, MH. The Ergogenics Edge :pushing the limits of sports performance.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Publishers, Inc. 1998. 

  6. Noble, BJ. Physiology of exercise and sport, st. Louis, Missouri. The C. V. Mos by company. 1986 ; 49 : 1515. 

  7. Bae YS, Lee SC, Lee WJ, Kim KJ, Yoon SW, Yoon YK, Yoo JS, Park HK, Ha WH. Effects of sport-drink with vinegar or physiological factors during exercise recovery phase. Kor J Sports Med. 1996 ; 14(2) : 309-28. 

  8. Oh MS.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palmultang and B.E.P. on hepatic metabolising enzyme system and muscular fatigue induced by physical overwork. Ph. D.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1996. 

  9. Oh JK. Change of muscle type of Vastus Lateralis and hormones response to electro-acupuncture and strength exercise. Ph. D.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1999. 

  10. Jeong IG. The effects of long-term red ginseng extract administration on metabolic responses, serum enzymes, and pituitary-adrenal hormones during maximal and submaximal exercise. Ph. 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1993. 

  11. Lee H, Hong MK, Shin SA, Son TY, Ahn ES, Kim WS, Hong Y. The effect of BCAA Administration on the Central Fatigue and Endurance Exercise Capacity. Exercise Science. 2002 ; 11(1) : 25-34. 

  12. Rowell LB. Cardiovascular limitation to work capacity, in Simenson E(ed). Physiology of work capacity an fatigue. Springfield, III: Charles Thomas Publisher. 1971 : Chap 7. 

  13. Costill DL, Kammer WF, Fisher A. Fluid ingestion during distance running. Arch. Environ. Health. 1970 ; 21(4) : 520-5. 

  14. Kim TH. The effects of carbohydrate-electrolyte beverage on energy metabolism and blood volume during prolonged exercise in the heat.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6. 

  15. Erickson MA, Schwarizkopf RJ, McKensie RD. Effects of caffeine, fructose and glucose ingestion on muscle glycogen utilisation during exercise. Med Sci Sports Exerc. 1987 ; 19(6) : 579-83. 

  16. Wee SL, Williams C, Grays S, Horabin J. Influence of high and low glycemic index meals on endurance running capacity. Med Sci Sports Exerc. 1999 ; 31(3) : 393-9. 

  17. Yaspelkis BB III, Ivy JL. Effect of carbohydrate supplements and water on exercise metabolism in the heat. J Appl Physiol. 1991 ; 71(2) : 680-7. 

  18. Costill DL. Carbohydrates for exercise dietary demands for optimal performance. Int J Sports Med. 1988 ; 9(1) : 1-18. 

  19. Kim TH, Lim WK. Effects of fluid intake on plasma ACTH, cortisol concentration and the control of blood glucose during prolonged exercise. Kore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2002 ; 41(5) : 945-57. 

  20. Seo JH. The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 administration on aerobic exercise ability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the during the supramaximal progressive Loaded exercise by athletes. Kor J Physical Edu. 2008 ; 47(2) : 499-505. 

  21. Yeo NH, Lee HY. The effect of Dang Kwisoo - san on the Restoration of Endurable Exercise Ability. Exercise Science, 2002 ; 11(1) : 17-24. 

  22. Yean MH, Lee JY, Kin JS, Kang SS. Phytochemical studies on paeoniae radix(1)-Monoterpene Glucosides. Kor J Pharmacogn. 2008 ; 39(1) : 1-9. 

  23. Koo HS. Theoretical Review on Biopharmacological Efficacy of Glycyrrhizae Radix. Thesis, Dongeui University. 2005. 

  24. Suh HU, Hwang EY, Jung SY, Kim JW. A case of a panic disorder(with agoraphobia) patient improved by herbal extracts. J Ori Neurophychiatry. 2010 ; 21(4) : 207-18. 

  25. Son SK, Im CK, Kim KJ. Anxiolytic-like effects of Jackyakgamcho-tang using the elevated plus-maze in mice. J East-West Med. 2010 ; 35(3) : 107-123. 

  26. Wilkinson DM, Fallowfield JL, Myers SD. A modified incremental shuttle run test for the determination of peak shuttle running speed and the prediction of maximal oxygen uptake. J Sports Sci. 1999 ; 17(5) : 413-9. 

  27. Lee HY. Blood Glucose Variation Related to Exercise Physiology. Diabetes Metab J. 2010 ; 11(1) : 49-51. 

  28. Davis JM, Alderson NL, Welsh RS. Serotonin and central nervous system fatigue: nutritional considerations. Am J Clin Nutr. 2000 ; 72(2 Suppl) : 573S-8S. 

  29. Hong JA, Chung SH, Lee JS, Kim SS, Shin HD, Kim H, Jang MH, Lee TH, Lim BV, Kim YP, Kim CJ. Effects of paeonia radix on 5-Hydroxytryptamine synthesis and tryptophan hydroxylase expression in the dorsal raphe of exercised rats. Biol. Pharm Bull. 2003 ; 26(2) : 166-9. 

  30. Nam JH.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the Level of Blood Lactate and LDH Production in College Women. Korean J Food & Nutr. 2001 ; 14(4) : 355-9. 

  31. Astrand PO, Hallback I, Hedman R, Saltin B. Blood lactates after prolonged severe exercise. J Appl Physiol. 1963 ; 18(3) : 619-22.. 

  32. Fox EL, Robinson S, Wiegman DL. Metabolic energy sources during continuous and interval running. J Appl Phyisol. 1969 ; 27(2) : 174-8. 

  33. Newman EV, Dill DB, Edwards HT, Webster FA. The rate of lactate removal in exercise. Am J Physiol. 1957 ; 118 : 457-6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