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HaCaT 세포와 사람 적혈구 세포에서의 세포 보호 효과 및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각각 $50{\mu}g/mL$$25{\mu}g/mL$의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10 mM의 $H_2O_2$$30{\mu}M$의 rose bengal을 HaCaT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6.25{\sim}50{\mu}g/mL$) 및 아글리콘 분획($6.25{\sim}25{\mu}g/mL$)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를 보호하였다. 적혈구 광용혈에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은 $10{\mu}g/mL$의 농도에서 대표적인 지용성 항산화제인 ${\alpha}$-토코페롤보다도 큰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18.5{\mu}g/mL$를 나타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총항산화능($OSC_{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경우 $1.72{\mu}g/mL$, 아글리콘 분획은 $1.53{\mu}g/mL$로 대표적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 ($OSC_{50}=1.50{\mu}g/mL$)와 유사한 항산화능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이 ROS에 대항하여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세포보호제 및 천연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르킨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n HaCaT cells and human erythrocyte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 tricuspidata stem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50{\mu}g/mL$) and aglycone fraction ($25{\mu}g/mL$) of P. tricuspidata stem extracts doesn't s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담쟁이덩굴 줄기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능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aCaT 세포 및 사람 적혈구 세포에 광증감제인 rose bengal 처리를 통해 발생된 1O2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및 H2O2로 유도된 HaCaT 세포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담쟁이덩굴 줄기의 항산화능 평가를 위하여 free radical 소거능 및 Fe3+-EDTA/H2O2계에서의 총 항산화능을 평가를 통해 담쟁이덩굴 줄기의 활성산소에 대한 세포 손상의 보호제 및 천연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aCaT 세포 및 사람 적혈구 세포에 광증감제인 rose bengal 처리를 통해 발생된 1O2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및 H2O2로 유도된 HaCaT 세포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담쟁이덩굴 줄기의 항산화능 평가를 위하여 free radical 소거능 및 Fe3+-EDTA/H2O2계에서의 총 항산화능을 평가를 통해 담쟁이덩굴 줄기의 활성산소에 대한 세포 손상의 보호제 및 천연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광증감 반응의 주 생성물은 1O2을 비롯하여 H2O2, O2∙-, ㆍOH 등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HaCaT 세포 배양액에 광증감제 rose bengal을 첨가 후광조사하여 생성된 1O2과 또 다른 활성산소인 H2O2처리에 의한 세포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잉의 활성산소종은 피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피부에는 1O2을 비롯한 활성산소종에 대항하여 세포 및 조직을 보호하는 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아제, 글루타치온퍼옥시다제 등의 항산화 효소와 α-tocopherol 및 ascorbic acid 등의 비효소적 항산화들로 이루어진 피부항산화 방어망이 구축되어 있다. 그러나 과잉의 활성산소종이 생성되면 피부에 존재하는 효소 및 비효소적 항산화제는 파괴되고 이어 피부 항산화방어망이 붕괴된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계속되면 세포 및 조직이 손상되고 결과적으로 탄력감소, 주름 및 멜라닌 생성과 같은 피부노화가 가속화된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지연시키고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에서 생성된 활성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활성산소로부터 세포 및 조직을 보호할 수 있는 항산화제 개발이 필요하다[10, 18-20].
담쟁이덩굴은 민간에서 어떠한 질환에 사용되어 왔는가? 이들의 덩굴손은 잎과 대로 성장하며 끝에 둥근 흡착근이 존재하여 바위나, 오래된 건물, 또는 소나무의 높은 곳까지 오를 수 있으며 보통 길이가 10 m 이상 자라는 식물이다. 민간의약에서는 뿌리와 잎을 약용하며 관절염, 후두염, 황달, 치통, 신경통 등에 사용해왔다. 주성분으로는 qucrecetin-3-Ο-β-D-glucuronopyranoside (Miquelianin)와 querecetin-3-O-β-D-glucopyranoside (isoquercitrin)등의 배당체가 알려져 있으며[23], 담쟁이덩굴 잎에서 caffeic acid의 배당체들이 밝혀졌다[29].
담쟁이덩굴이란 무엇인가? ) Planch.)은 포도과(Vitacess)에 속하는 낙엽 활엽의 만목으로서 한국, 중국 및 일본, 대만, 만주, 유럽에도 분포하며 외국에서는 담쟁이덩굴을 Boston Ivy 또는 Japanese lvy라고 부른다. 이들의 덩굴손은 잎과 대로 성장하며 끝에 둥근 흡착근이 존재하여 바위나, 오래된 건물, 또는 소나무의 높은 곳까지 오를 수 있으며 보통 길이가 10 m 이상 자라는 식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F. Afaq, V. M. Adhami, and H. Mukhtar, Photochemoprevention of ultraviolet B signaling and photocarcinogenesis, Mutat. Res., 571, 153 (2005). 

  2. M. A. Bachelor and G. T. Bowden, UVA-mediated activation of signaling pathways inbolved in skin tumor promotion and progression, Semin., Cancer Biol., 14, 131 (2004). 

  3. E. Cadenas, Biochemistry of oxygen toxicity, Ann. Rev. Biochem., 58, 79 (1989). 

  4. A. Naqui, B. Chance, and E. Cadenas, Reactive oxygen intermediate in biochemistry, Ann. Rev. Biochem., 55, 137 (1986). 

  5. J. C. Fantone and P. A. Ward, Role of oxygen- 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 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 Ann. J. Path., 107, 397 (1982). 

  6. K. J. A. Davies, Protein damage and degradation by oxygen radical, J. Biol. Chem., 262, 9895 (1987). 

  7. C. S. Foote, Photosensitized oxidation and singlet oxygen; consequences in biological systems, In Free Radical in Biology, ed. W. A. Pryor, 2, 85, Academic press, New York (1976). 

  8. M. J. Steinbeck, A. U. Khan, and M. J. Karnovsky, Intracellular singlet oxygen generation by phagocytosing neutrophils in response to particles coated with a chemical trap, J. Biol. Chem., 267, 13425 (1992). 

  9. S. N. Park, Ph. D. Disseration,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1989). 

  10. S. N. Park, Skin aging and antioxidants, J. Soc. Cosmet. Scienctists Korea, 23(1), 75 (1997). 

  11. J. Pincemail,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human diseases. In Analysis of Free radicals in Biology Systems, eds. A. E. Favier, J. Cadet, B. Kalyanaraman, M. Fontecave, and J. L. Pierre, 83, Birkhauser Verlag Basel, Switzerland (1995). 

  12. J. R. Kanofsky, H. Hoogland, R. Wever, and S. J. Weiss, Singlet oxygen production by human eosinophils. J. Biol. Chem., 263, 9692 (1988). 

  13. A. Oikarinen, J. Karvonen, J. Uitto, and M. Hannuksela, Connective tissue alterations in skin exposed to natural and therapeutic UV-radiation. Photodermatology, 2, 15 (1985). 

  14. A. Oikarinen and M. Kallioinen, A bi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collagen in sun-exposed and protected skin. Photodermatology, 6, 24 (1989). 

  15. L. H. Kilgman, UVA induced biochemical changes in hairless mouse skin collagen: A contrast to UVB effects. Biological responses to Ultraviolet A Radiation, ed. F. Urbach, 209, Valdemar, Overland Park (1992). 

  16. M. Wlaschek, K. Briviba, G. P. Stricklin, H. Sies, and K. Scharffetter-Kochanek, Singlet oxygen may mediate the ultraviolet A induced synthesis of interstitial collagenase., J. Invest. Dermatol., 104, 194 (1995). 

  17. K. Scharffetter-Kochanek, M. Wlaschek, K. Briviba and H. Sies, Singlet oxygen induces collagenase expression in human skin fibroblasts. FEBS Lett., 331, 304 (1993). 

  18. K. Scharffetter-Kochanek, Photoaging of the connective tissues of skin: Its prevention and therapy, antioxidants in disease mechanism and therapy. Adv. Pharmacol., 38, 639 (1997) 

  19. L. Packer, Ultraviolet radiation (UVA, UVB) and skin antioxidants, In: Free radical damage and its control, eds. C. A. Rice-Evans and R. H. Burdon, 239, Elsevier Science, Amsterdam (1994). 

  20. J. J. Thiele, C. O. Barland, R. Ghadially, and P. M. Elias, Permeability and antioxidant Barriers in aged epidermis, Skin Aging, eds. B. A. Gilchrest, J. Krutman, 65,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6). 

  21. H. K. Hwang, Flavonol glycosides from Parthenocissus tricuspidata Leaves, J. Pharm. Soc. Korea, 39(3), 289 (1995). 

  22. I. H. Son, I. M. Chung, S. J. Lee, and H. I. Moon, Antiplasmodial activity of novel stilbene derivatives isolated from Parthenocissus tricuspidata from South Korea. Parasitol. Res., 101, 237 (2007). 

  23. M. J. Kim, S. Y. Shin, B. G. Koo, G. Baek, T. J. Kim, and J. K. Park, Synergic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san with the ethanol extract from Parthenocissus tricuspidata, J. Chitin Chitosan, 16(3), 177 (2011). 

  24. H. J. Jeong and C. H. Kim,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s from Parthenocisuss tricuspidata PLANCH. Korean J. Plant. Res., 14(2), 116 (2001). 

  25. H. J. Kim. M. Saleem, S. H. SEO, C. Jin, and Y. S. Lee, Two new antioxidant stillbene dimer, Parhenostilbenins A and B from Parthnocissus tricuspidata. Planta med., 71. 973 (2005). 

  26. T. Tanaka, M. Ohama, K. Morimoto, F. Asai, and M. Iinuma, A resveratrol dimer from Parthenocissus tricuspidata. Pergamon, 48(7), 1241 (1998). 

  27. W. H. Park, S. J. Lee, and H. I. Moon, Antimalarial activity of a new stilbene glycoside from Parhenocissus tricuspicata in Mice. AAC, 52(9), 3451 (2008). 

  28. M. Ohyama, T. Tanaka, T. Ito, M. Iinuna, K. F. Bastow, and K. H. Lee, Antitumor agents 200. cytotoxicity of naturally occuffing resveratrol oligomers and their acetate derivatives. Pergamon. 9, 3057 (1999). 

  29. M. Saleem, H. J. Kim, C. B. Jin, and Y. S. Lee, Antioxidant caffeic acid derivatives from leaves of Parthnocissus tricuspidata, Arch. Pharm. Res., 27(3), 300(2004). 

  30. T. Kundakovic, T. Stanojkovic, M. Milenkovic, J. Grubin, Z. Juranic, B. Stevanovic, and N. Kovacevic, Cytotoxic,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an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Vitaceae), Arch. Biol. Sci., 60(4), 641(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