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용수의 잔여 공급계획량 및 수요예측량에 의한 관개 취약시기 산정
Estimating Vulnerable Duration for Irrigation with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Demand during Residual Period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4 no.5, 2012년, pp.123 - 128  

남원호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김태곤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최진용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정재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optimal reservoir operation and management, there are essential elements including water supply in agricultural reservoir and demand in irrigation district. To estimate agricultural water demand and supply, many factors such as weather, crops, soil, growing conditions cultivation method an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잔여 공급계획량과 수요예측량은 현 시점에서 관개 종료기간까지의 누적 공급량과 누적 수요량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의 부족으로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급량이 적은 시기와 관개지역의 필요한 수량이 많은 시기가 동시에 발현되는 시기를 관개 취약 시기 또는 집중 물관리 시기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 운영 및 관리의 경우 과거 경험적이고 관행적인 방법에서 능동적이고 탄력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수요량과 공급량의 기간별 정량적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관개취약시기를 정립하고 수치화하였다. 지역수자원 물 공급 체계를 구성하는 유역의 공급계획량과 관개지역의 수요예측량, 두 가지 요소로부터 관개취약시기를 정의하고 경향성 및 주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잔여 공급계획량과 수요예측량의 시기별 변화 분석을 활용하여 관개 취약시기를 평가하였다. 저수지 수위 또는 저수량을 기준으로 관개취약시기를 평가하는 방법은 지역별로 관개 시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개별 저수지마다 다른 기준 (수위)을 제시해야 하는 반면, 공급계획량과 수요예측량을 활용한 관개 취약시기 평가는 향후 관개기간에 대한 잔여 필요수량을 기준으로 지역별로 일관된 평가 기법을 제시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수자원 물 공급 체계를 구성하는 유역의 공급계획량과 관개지역 수요예측량의 관계로부터 관개취약시기를 정의하고 관개취약시기의 경향성 및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여 농업용수 관개 취약성의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정된 지역수자원의 탄력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및 홍수 등의 수문사상 변화를 반영하여 집중 물관리 시기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유역의 유출에서부터 관개지역의 수요량을 고려하고 저수지를 운용할 수 있는 유역-저수지-관개지구 개념의 종합적인 거동을 분석하고자 하며, 농업용 저수지의 공급계획량 및 수요예측량 분포를 활용한 관개취약시기 평가의 과정을 Fig. 1과 같이 정리하였다. (a) 기상자료 및 유역 수문자료, 관개지구 특성 자료를 활용하여, (b) 지역수자원 공급 체계에 대한 입출력 요소로서 공급량과 수요량을 산정한다.
  • , 2004). 지역용수는 대부분 논농사를 위한 용수 공급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벼 재배에 필요한 농업용수의 수요량 및 공급량으로 국한하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용 저수지의 지속가능한 관개용수 공급을 위해 하드웨어 측면의 관리 방안과 소프트웨어 측면의 관리 방안이 요구되는 이유는? 지역수자원의 시간적, 공간적인 편중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1960년대 이후 전국에 약 18,000 여개의 농업용 저수지가 축조되었 으며, 홍수기의 풍부한 수량을 저류한 후 관개기 혹은 갈수기에 이용한다. 농업용수 공급이라는 단일 목적으로 축조된 농업용 저수지는 이상기후 및 집중호우에 대한 취약성, 홍수조절능력의 부재, 시설의 노후화, 관리인의 고령화에 의한 유지관리의 문제 등과 같은 한계들이 제기되고 있다 (Kim et al., 1998; Kim et al., 2004; Lee et al., 2006). 특히, 급변하는 물소비 패턴의 변화 및 수요 증가로 인한 소규모 저수지의 저류용량 부족 문제는 본연의 기능인 안정적인 관개용수 공급이 불가능하다 (Yoo and Park, 2007). 따라서 농업용 저수지의 지속가능한 관개용수 공급을 위해서는 유효저수량 증대를 위한 저수지 증고와 같은 하드웨어 측면의 관리 방안과 효율적인 운영지침 등 소프트웨어 측면의 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수자원 관리의 기본 목표는? 수자원 관리의 기본 목표는 시간적, 공간적 측면에서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며, 합리적인 수자원 계획을 위해서는 용수의 수급 상황을 정확히 분석하여 충족한 물의 확보와 안정적인 공급방안이 필요하다 (Shim et al., 1995).
합리적인 수자원 계획을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수자원 관리의 기본 목표는 시간적, 공간적 측면에서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며, 합리적인 수자원 계획을 위해서는 용수의 수급 상황을 정확히 분석하여 충족한 물의 확보와 안정적인 공급방안이 필요하다 (Shim et al.,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n, B. I., Y. D. Jo, T. H. Kim and Y. D. Kwon, 2009. Analysis on the shortage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under climate change: Application to Deage reservoir in Goseong Gu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50(2): 45-67 (in Korean). 

  2. Ahn, T. J., D. H. Cho, S. H. Lee, G. W. Choi and Y. N. Yoon, 2004. Evaluation of the effective storage of existing agricultural reservoir.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5): 353-361 (in Korean). 

  3. Doorenbos, J. and W. O. Pruitt, 1977. Guidelines for predic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24, FAO, Rome. 

  4. Kim, T. C., J. P. Moon, J. W. Min and H. K. Lee, 1998. Optimal flood control volume in the irrigation reservo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0(2): 81-91 (in Korean). 

  5. Kim, S. J., P. S. Kim and C. Y. Lim, 2004. Behaviour analysis of irrigation reservoir using open water management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6(1): 3-13 (in Korean). 

  6. Kim, S. J., K. C. Park and H. S. Park, 2012. Estimation of available permit water for large scale agricultural reservoirs in Youngsan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1): 93-97 (in Korean). 

  7. Nam, W. H., T. G. Kim, J. Y. Choi and J. J. Lee, 2012. Vulnerability assessment of water supply in agricultural reservoir utilizing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2): 37-46 (in Korean). 

  8. Lee, J. W. and G. S. Kim, 2012. Development of a modifi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by considering effects of the dry period and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4): 409-418 (in Korean). 

  9. Lee, K. Y. and S. J. Kim, 2001. Development of the estim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water dem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3(1): 53-65 (in Korean). 

  10. Lee, Y. G., S. J. Kim, P. S. Kim, U. J. Joo and Y. S. Yang, 2006. Study on the effective calculation method of irrigation water in a paddy fields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8(3): 11-20 (in Korean). 

  11. Park, K. B. and S. T. Lee, 2004. The study of reservoir operation for drought period.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3(12): 1041-1048 (in Korean). 

  12. Shim, M. P., 2000. Economic analysis of water resources.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3(3): 111-120 (in Korean). 

  13. Shim, M. P., O. I. Kwon and H. K. Lee, 1995. Reservoir operation by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during flood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8(6): 217-228 (in Korean). 

  14. Yoo, C. S. and H. K. Park, 2007.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rm dams in Korea.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42(6): 940-95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