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거주 노인의 주거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in Apartment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2 no.4, 2012년, pp.31 - 40  

전은정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f elderly households living conditions to determine the overall status in the housing environment is to understand. To this end, the stage of elderly as a framework to target living consciousness, living space composition, housing Environment composition of elderly households with a co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노인은 고령화됨에 따라 주거 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고 개인적인 공간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개인 사생활이 보장된 공간의 확보(홍숙자, 2002)가 나타남에 따라 노인의 주거공간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노인들의 사회적 역할상실과 가정에서의 역할 축소에 의한 상실감을 사회활동 참여를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재확인하고 사회적 역할상실을 보상받을 수 있기 때문에(배나래 외, 2009; 정경희 외, 2007) 주거환경구성에서는 노인들의 사회적 교류관계를 지속시켜주고 노후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 주거환경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노후생활에서 약화된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원서비스를 선행연구(유병선, 2005; 이인수 외, 2008; 조성희 외, 2005; 홍숙자, 2002; 강병근, 1999)를 통해 9가지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 노인의 고령화에 따른 주거환경 특성을 이해하고 보다 구체적인 주거환경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노인의 주거 환경 실태를 주거환경변인(생활의식, 주거공간구성, 주거 환경구성)별로 살펴보고 이를 고령단계에 따라 정리해 보았다<;표 15>. 먼저 주거환경의 생활의식을 살펴보면, 의존인식, 자녀동거태도, 건강인식, 노후생활요소를 구체화 함으로써 고령화에 따라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변화됨을 파악하였다.
  • 노인은 고령화 진행에 따라 생활의 주된 근거지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을 중심으로 일상생활을 주거 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노후생활에서 주거공간의 중요성이 높아진다(허병리, 1997; 홍숙자, 2002). 따라서 주거공간구성으로 주거 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공간인 거주중심공간과 주거 내에 요구되는 추가 공간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침실은 부부공간 및 사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으며 나만의 방은 취미 및 개인을 위한 사적공간으로서의 의미가 크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전반적인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는 주거환경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 단계1)를 기본틀로 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생활의식, 주거공간구성, 주거환경구성을 주거환경변인으로 구성하여 노후 생활실태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거환경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주거환경변인별로 주거환경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고령단계에 따라 노인의 노후 생활상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 침실은 부부공간 및 사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으며 나만의 방은 취미 및 개인을 위한 사적공간으로서의 의미가 크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였다. 이는 노인은 고령화됨에 따라 주거 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고 개인적인 공간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개인 사생활이 보장된 공간의 확보(홍숙자, 2002)가 나타남에 따라 노인의 주거공간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노인들의 사회적 역할상실과 가정에서의 역할 축소에 의한 상실감을 사회활동 참여를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재확인하고 사회적 역할상실을 보상받을 수 있기 때문에(배나래 외, 2009; 정경희 외, 2007) 주거환경구성에서는 노인들의 사회적 교류관계를 지속시켜주고 노후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 주거환경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먼저 노인의 자립생활이 증가하고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하는데 건강상태와 고령화에 따라 경제적, 신체적, 심리적으로(George, 1991; 이명희, 2003; 박경옥, 2005) 변할 수 있다. 이에 노인의 의존성에 대해 경제의존, 심리의존, 신체의존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 자녀와의 동거태도, 노후의 중요한 생활요소, 건강상태를 구체화함으로써 고령화에 따라 노후생활에 대한 의식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기가 길어지고 노후생활이 다양해짐에 따라 그에 부합되는 주거환경을 살펴보기 위해 노인가구의 주거환경 전반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노인 가구의 노후 생활상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들이 많은 시간을 주거공간 내에서 보내는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은 고령화에 따라 사회적 접촉의 기회가 상실되고 신체적 약화로 인해 일상생활의 활동범위가 제한되면서 많은 시간을 주거 내에서 지내게 된다. 따라서 노인에게 주거공간은 보다 큰 의미를 가지게 되므로 노인의 신체적, 사회․경제적 특성의 변화를 반영하는 노인의 고령화에 대응하는 주거환경에 대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노후생활에서 주거환경이 바뀔 경우 발생하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따라서 노인에게 주거공간은 보다 큰 의미를 가지게 되므로 노인의 신체적, 사회․경제적 특성의 변화를 반영하는 노인의 고령화에 대응하는 주거환경에 대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특히 대부분의 노인들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에서 계속 살기를 원하고 있으며 노후생활에서 주거환경을 바꿀 경우 사회적 관계망의 위축, 지역사회에서 상징적 지위의 상실, 그리고 새로운 이웃관계 형성의 어려움 등 부정적 영향을 초래 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인의 노후생활이 동일한 지역에서 지속될 수 있도록 건강한 주거방향으로 'Ageing in Place' 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고령화가 진행함에 따른 생활변화로 인해 일상생활에서의 활동공간이 축소되기 때문에 주택과 주거환경은 노인들의 노후생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주거환경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주요 변인으로 무엇을 선정했는가? 노인의 주거환경을 살펴보기 위한 주요변인으로 생활 의식, 주거공간구성, 주거환경구성으로 구체화하여 노인의 고령화에 따른 의식변화와 주거 내에서 일상생활을 보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공동공간뿐만 아니라 개인 공간에 대한 요구가 파악되었다. 또한 노인이 지속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여가 및 사회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자립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서비스에 대한 지원 확대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미나, 김혜승, 전성제(2007), 노인주거복지 제고를 위한 종합계획 수립연구, 국토연구원. 

  2. 강병근(1999), 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노인주거 유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5(10), 3-14. 

  3. 김소희(2009), 노인의 주거환경 욕구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지, 봄호(43), 157-182. 

  4. 김영주, 권오정, 박남희(2006), 노인가구의 자립생활증진을 위한 주택개조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노인가구의 주택개조실태와 요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6), 79-93. 

  5. 문희정(2003), 재가노인 단독세대의 주거환경 특성과 요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박경옥(2005), 한국과 일본 노인의 의존성 및 의존성 영향 요인,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박남희, 최재순(2010), 노인가구의 주거현황 DB요소의 유형화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주거학회, 21(2), 69-76. 

  8. 배나래, 박충선(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2), 761-779. 

  9.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10. 성기영(2008), 노인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신영숙(1996), 도시 가구의 근린시설 이용행태와 거주지환경 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4(2), 261-282. 

  12. 양민희(2009),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삶의 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유경두(2006), 노인의 특성에 따른 주거환경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유병선(2005), 노인공동생활주택 공급 및 관리모델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윤종률(2005), 제6회 고령사회포럼,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3-33. 

  16. 이가옥, 권중돈(1989), 노인가구의 형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14), 113-135. 

  17. 이경희, 윤정숙, 홍형옥(1993), 住居學槪說, 문운당. 

  18. 이명희(2003), 여성독거노인의 생활불안에 관한 연구: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인수, 김미주, 박신영, 현외성(2008), 복지국가의 고령자 주거정책, 공동체. 

  20. 이준민, 신화경(2005), 중년층의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161-172. 

  21. 이지숙(2004), 대전시 거주 노인이 선호하는 거주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6), 61-68. 

  22. 이현진, 박재승(2010), Aging in Place를 위한 노인주거시설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6(1), 55-63. 

  23. 전은정(2011), 고령자의 주거환경모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정경희, 이윤경, 이소정, 오영희, 손창균, 방효정, 유삼현(2007), 200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실시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5. 정병은, 이기홍(2009), 노인이 인식하는 사회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953-970. 

  26. 조성희, 강나나, 전은정(2010), 공동주택 거주 고령자의 건강주거 인식특성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0(6), 81-89. 

  27. 조성희, 이태경(2005), 예비노인의 노후상황별 주거환경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16(4), 9-16. 

  28. 조성희, 전은정(2009), 노인주거계획을 위한 노인가구의 고령기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0(5), 113-122. 

  29. 최기호 편저(1997), 조경계획?설계자료집성 II : 단지시설, 조경연구회, 도서출판 조경사. 

  30. 허병리(1997), 고령화사회의 주거환경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한국주거학회지 8(3), 153-162. 

  31. 홍숙자(2002), 노년학 개론, 도서출판하우. 

  32. 角田愛美, 竹田喜美子, 番場美?子, 伊佐消?. (2002), シルバ?ステ?ジにおける家族構成の?化:在宅高?者住宅における高?者と家族の住生活に?する?究 その3, 日本建築?術講演梗?集, (5637), 241-242. 

  33. 番場美?子?竹田喜美子(2003), シルバ?ステ?ジからみた高?者の近隣交流に?する?究:集合住宅?地GHにおけるケ?ススタディ, 日本家政??誌, 54(6), 491-499. 

  34. 番場 美?子, 竹田 喜美子(2005), 都市集合住宅居住の自立高?者における 個 を中心とした住まい方の?容過程: シルバ?ステ?ジからみた高?期の居住環境に?する?究 その1, 社?法人日本建築??, 日本建築??計?系論文集 (592), 25-31. 

  35. George S.(1991), Measure of dependency: Their use in as assessing the need for residential care fir the elderly, Journal of Public Health Medicine, 13(3), 178-1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