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섬유의류 제품의 감성 선호도와 신뢰도 조사 연구
Sensibility Preference of Eco-Friendly Fabric Products and Trust Reliability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4 no.3, 2012년, pp.430 - 437  

나영주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김효원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sensibility of eco-friendly fabrics for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ir attitude on environmental problems, trust reliability onto eco-apparel products, and their purchase state. We tested 6 eco-friendly fabrics (recycled polyester, organic cotton, green tea, charco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응분석은 자료의 행과 열을 저차원 공간상의 점들로 동시에 나타내어 그들의 대응관계를 탐구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소재와 감성어휘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자 이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행좌표점 간의 거리나 열좌표점 간의 거리는 각각 유클리드 거리를 의미하며 행좌표점과 열좌표점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인 방향성을 갖는다.
  • 즉 다양한 친환경 섬유의류 제품에 대하여 이들이 갖고 있는 감성이나 선호도를 분석하고 또 제품 간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전무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친환경 섬유의류 제품의 소재에 대하여 그 종류에 따른 소비자 감성과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친환경 섬유소재의 속성, 즉 친환경성과 건강기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또 이에 따른 구매 및 사용현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친환경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분석한 경우는 아직까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의류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친환경 의류제품의 구매 및 사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여 환경문제 인식도와 함께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및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친환경 섬유의류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 구매의도를 불러일으키는지 확인하고자 그 관계성을 고찰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소재 종류에 따른 감성과 그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또 업체에서는 친환경 섬유 및 소재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사용자의 환경문제 인식은 비교적 높음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제품의 구매는 크게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를 파악하고자 친환경 의류제품의 구매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즉 친환경 의류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구매도에 미치는 영향력, 친환경 의류제품의 사용경험과 만족도, 이유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 , 2010)를 참고 수정하여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도 중에서 지식적 및 경험적 인식에 관련된 7문항, 친환경 의류제품의 구매 중에서 충동적 및 조건적 구매에 관련된 7문항 등으로 포함시켰으며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또 친환경 섬유소재가 건강에 유익하다는 개념을 포함시키고 이에 대한 섬유의류업체 들의 홍보 내용을 활용하여 친환경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에 관하여 7문항을 작성하였는데 이 친환경 의류제품의 신뢰도가 친환경제품의 구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타 친환경 의류제품과 일반 의류제품의 차별 특성에 대한 질문 1문항 및 사용 여부 1문항, 구매이유 1문항, 제품에 대한 만족/불만족 이유 2문항, 인구통계적 특성 3문항 등을 포함하여 총 41문항이었다.
  • 친환경 소재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은 친환경 의류제품의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를 파악한 후에 일반적인 의류제품과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소재 종류에 따른 감성과 그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또 업체에서는 친환경 섬유 및 소재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사용자의 환경문제 인식은 비교적 높음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제품의 구매는 크게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를 파악하고자 친환경 의류제품의 구매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의류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친환경 의류제품의 구매 및 사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여 환경문제 인식도와 함께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및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친환경 섬유의류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 구매의도를 불러일으키는지 확인하고자 그 관계성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류섬유 산업에 있어서 Green 제품은 무엇을 말하는가? , 2008). 의류섬유 산업에 있어서의 Green 제품이란 친환경적인 공정으로 생산된 소재만을 사용하거나, 천 조각이나 헌 옷을 재사용 또는 재활용하거나, 폐기물은 재활용하거나, 폐기 시에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미생물 분해가 가능한 원료를 사용하여, 의류섬유 제품의 기획, 생산, 유통, 사용,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Lee et al., 2007).
폴리에스테르와 비교하여 면섬유 생산에 필요한 물의 양은 얼마인가? 천연섬유가 석유계 합성섬유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생산, 기획, 유통, 사용, 폐기까지의 모든 측면을 고려해야만 한다. 면 생산시 1 kg의 재배에 8000 리터의 물이 필요하나 폴리에스테르 1 kg의 생산은 물이 거의 필요 없으며, 폴리에스테르 생산시 면 생산시 소요 되는 에너지의 2배가 필요할 뿐이다. 즉 면섬유 생산시에는 경작과 가공공정을 통해 비교적 높은 환경적 영향을 미친다.
웰빙 제품이란 무엇인가? 친환경은 의류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닌데 친환경 또는 친자연의 기능성 웰빙 상품 개발이 가속화 되고 있으며 시장에서도 친환경성을 강조하는 섬유소재의 의류 제품들이 증가하고 있다. 웰빙 제품이란 자연적인 것을 가지고 있고 자연친화적인 제품, 제품의 제조 및 처리에서 자연을 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오염에서 벗어나고 공해에서 멀어지게 하여 인간을 조금이라도 더 자연과 가까워지게 해주는 제품들로서 친환경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제공해주는 제품을 말한다(Woo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i, N. Y., & Kim, M. S. (2000). Analysis of recognition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for green fashion produc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0(1), 145-159. 

  2. Fletcher, K. (2011). Sustainable fashion and textiles (J. H. Lee & S. H. Kim, Trans.). Seoul: Kyomun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8) 

  3. Guthrie, K. (2011). Eco design insightful desig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Fall Conference, Korea, pp. 30-42. 

  4. Hong, B. S., Lee, E. J., & Chu, Y. J. (2010). The effect of environmental values of fashion consumers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4), 431-438. 

  5. Huh. W. M., & Ahn, J. H. (2009). The empirical research on relationship of consumption value, satisfaction, trust, loyalty of green product in elderly consumer.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1), 195-213. 

  6. Jeon, Y. O. (2005). Wellbeing culture and economy outlook. Seoul: Samsung Economy Research Institute. 

  7. Kim, H. S., & Na, M. H. (2005). A study on the effect of hand and sensibility image on the preference to clothing mater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2), 210-219. 

  8. Lee, S. H., & Song, H. S. (2010). The recent tendency of green technology finishing in textile industry by enzymes.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Vol 7, 27-34. 

  9. Lee, S. H., Park, C. H., & Im, S. S. (2005). Biodegradation of cotton/ polyester ble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2), 347-355. 

  10. Lee, J. S., Yang, L. N., & Choi, N. Y. (2007). An analysis of environmentally conscious consumers' features and their awareness of green fashion produc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9(4), 401-409. 

  11. Min, K. T., & Heo, S. C. (2009). Characteristic on emotional recognition of consumer about the formative language.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2(1), 87-96. 

  12. Rhee, K. C., Yeo, J. S., Min, H. S., & Yang, H. (1996). Ecologicallyconcerned product and consumer's willingness to purchas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7(1), 109-126. 

  13. Ryu, H. S. (2010) Environmental impacts of textiles production and uses.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Vol 7, 91-100. 

  14. Woo, J., Han, S. J., & Kang, M. H. (2008). A exploratory study on the well-being new product development with using consumer value knowledge.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9(3), 107-124. 

  15. Yoo, H. J. (2006). Consumer conscious toward well-being trend and well-be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2), 261-2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