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CP8.5 기후조건의 작물생육모의에 근거한 우리나라 곡물생산 전망
An Outlook on Cereal Grains Production in South Korea Based on Crop Growth Simulation under the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4 no.3, 2012년, pp.132 - 141  

김대준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김수옥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문경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윤진일 (경희대학교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A1B와 최근 국가표준으로 채택된 RCP8.5 기반 미래 기후전망 등 두 가지를 이용하되, 실제 농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농지단위의 속성정보를 작물모형에 적용시키고, 확률추정기법에 의해 연차변이를 부여한 10년 간격 일 기상자료에 의해 발육단계와 잠재수량 변화 추세를 도출함으로써 보다 현실성 있는 영향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남한 전역을 산맥, 하천, 집수역에 근거하여 68개의 작물재배구역(CZU)로 분류하고, 1km 격자간격의 10년 단위(2011-2100) 월별 남한 미래기후 시나리오 자료로부터 농경지에 해당하는 격자의 일 최저, 최고기온, 강수량의 월별 평균자료를 추출하였다. 농경지격자 월별 기후자료를 CZU별로 요약하고 그 공간평균값을 확률추정기법에 의해 10년 단위기간 별 30세트씩의 일별 기상자료로 변환하였다. 농촌진흥청 토양 전자지도로부터 발췌한 토양정보와 4대 권역 별 표준재배법을 적용하여 10년 단위기간의 일 기상조건 30세트에 대해 쌀, 보리, 콩 국내 주요 품종의 생육과 수량을 CERES-Rice, CERES-Barley, CROPGRO-Soybean에 의해 모의하였다. 모의결과에 의하면 모든 작목에서 기후변화에 의해 개화기(출수기)가 앞당겨지나, 연차변이는 보리와 콩에서 감소한 반면 벼에서는 증가하였다. 조기 출수에도 불구하고 보리의 종실 등숙기간은 조금 연장되었으며, 콩에서는 변동이 적었고 벼에서만 단축되었으며, 등숙기간의 연차변이는 모든 작목에서 감소추세를 보였다. 벼의 수량은 모든 품종에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보리의 수량은 모든 품종에서 크게 늘어나고 콩에서는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전국의 모든 농경지에 벼를 재배한다고 가정하면 쌀(현미)의 잠재생산량은 2000년대 현재 14,863,633톤이지만 2090년대에는 11,734,019톤으로 줄어들지만, 보리를 재배한다면 현재의 잠재생산량 9,452,416톤이 미래에는 16,972,537톤으로 크게 증가하여 쌀 생산량을 추월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은 벼에서 가장 현저하며, 콩은 영향이 덜하고, 보리에서는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되므로 곡물생산 부문의 기후변화 대응전략의 하나로서 중부이북 지방에서도 보리재배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of cereal crop production in South Korea was performed using land attributes and daily weather data at a farm scale as inputs to crop models. Farmlands in South Korea were grouped into 68 crop-simulation zone units (CZU) based on major mountains and rivers as well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A1B와 최근 국가표준으로 채택된 RCP8.5 기반 미래 기후전망 등 두 가지를 이용하되, 실제 농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농지단위의 속성정보를 작물모형에 적용시키고, 확률추정기법에 의해 연차변이를 부여한 10년 간격 일 기상 자료에 의해 발육단계와 잠재수량 변화 추세를 도출함으로써 보다 현실성 있는 영향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남한 전역을 산맥, 하천, 집수역에 근거하여 68개의 작물재배구역(CZU)로 분류하고, 1km 격자간격의 10년 단위(2011-2100) 월별 남한 미래기후 시나리오 자료로부터 농경지에 해당하는 격자의 일 최저, 최고 기온, 강수량의 월별 평균자료를 추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A1B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 RCP8.5 기반 미래 기후전망을 이용하되, 실제 농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농지단위의 속성정보를 작물모형에 적용시키고, 확률추정기법에 의해 연차변이를 부여한 10년 간격 일 기상자료에 의해 발육단계와 잠재수량 변화 추세를 도출함으로써 보다 현실성 있는 영향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G2: Single grain weight (g) under ideal growing conditions.
  • G2: Standard kernel size under optimum conditions (mg).
  • G3: Standard, non-stressed dry weight (total, including grain) of a single tiller at maturity (g).
  • G3: Tillering coefficient relative to IR64.
  • P1: Degree days above 9℃ during vegetative period.
  • P5: Degree days above 9℃ from beginning of grain fill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 P5: Grain filling (excluding lag) phase duration (℃. d).
  • 본 연구결과는 현재 장려품종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표준재배법(4개 권역)을 미래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전국적으로 재배한다는 가정하에 모의한 것이다. 여기서 가정한 모든 농경지에 보리를 재배하는 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CP8.5는 어떤 경우를 가상한 시나리오인가?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지금까지 온실기체 배출 시나리오로 사용 되어온 SRES 대신 인간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복사강제력으로 온실가스 농도를 정하는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를 5차 보고서 작성을 위한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최근 우리나라 국립기상연구소는 포스트 교토 체제의 불확실성에 근거하여 ‘특별한 감축노력 없이 현재 추세대로 온실기체가 배출되는 경우’를 가상한 RCP8.5를 토대로 남한지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1km 격자 해상도로 작성하였다(국립기상연구소, 2011).
DSSAT이란 무엇인가? 벼의 경우 CERES (Crop Environment Resource Synthesis)-Rice, 보리의 경우 CERES-Barley, 콩의 경우 CROPGROSoybean을 사용하였다. DSSAT은 ICASA (International Consortium for Agricultural Systems Applications)의 노력으로 다년 간에 걸쳐 주로 미국에서 개발된 여러 종류의 작물모형을 동일한 입출력 파일에 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킨 패키지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농장의 정밀관리에서부터 한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이르기까지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이용되고 있다.
DSSAT은 어떤 부문에서 이용되고 있는가? DSSAT은 ICASA (International Consortium for Agricultural Systems Applications)의 노력으로 다년 간에 걸쳐 주로 미국에서 개발된 여러 종류의 작물모형을 동일한 입출력 파일에 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킨 패키지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농장의 정밀관리에서부터 한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이르기까지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ung, U., K. S. Cho, and B. W. Lee, 2006: Evaluation of site-specific potential for rice production in Korea under the changing climat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4), 229-241. 

  2. Holden, N. M., A. J. Brereton, R. Fealy, and J. Sweeney, 2003: Possible change in Irish climate and its impact on barley and potato yield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6(3-4), 181-196. 

  3. Hoogenboom, G., J. W. Jones, P. W. Wilkens, C. H. Porter, K. J. Boote, L. A. Hunt, U. Singh, J. L. Lizaso, J. W. White, O. Uryasev, F. S. Royce, R. Ogoshi, A. J. Gijsman, G. Y. Tsuji, and J. Koo, 2010: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grotechnology Transfer (DSSAT) Version 4.5 [CDROM], University of Hawaii, USA. 

  4. Jones, J. W., G. Hoogenboom, C. H. Porter, K. J. Boote, W. D. Batchelor, L. A. Hunt, P. W. Wilkens, U. Singh, A. J. Gijsman, and J. T. Ritchie, 2003: DSSAT Cropping System Model. European Journal of Agronomy 18, 235-265. 

  5. Lee, T., J. Y. Choi, S. H. Yoo, S. H. Lee, and Y. G. Oh, 2012: Analyzing consumptive use of water and yields of paddy rice by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1), 47-54. 

  6. Peng, S., J. Huang, J. E. Sheehy, R. C. Laza, R. M. Visperas, X. Zhong, G. S. Centeno, G. S. Khush, and K. G. Cassman, 2004: Rice yields decline with higher night temperature from global warming.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1(27), 9971-9975. 

  7. Shim, K. M., S. H. Min, D. B. Lee, G. Y. Kim, H. C. Jeong, S. B. Lee, and K. K. Kang, 2011: Simulation of the effects of the A1B climate change scenario on the potential yield of winter naked barley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4), 192-2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Shim, K. M., S. H. Yun, Y. S. Jung, J. T. Lee, and K. H. Hwang, 2002: Impact of recent weather variation on yield components and growth stages of winter barley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4(1), 38-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Yun, J. I., and K. S. Cho, 2001: Yield and production forecasting of paddy rice at a sub-county scale resolution by using crop simulation and weather interpolation techniqu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1), 37-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국립기상연구소, 2011: IPCC 5차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보고서. 79-110p. 

  11. 국립농업과학원 토양환경정보시스템: http://soil.rda.go.kr (2012. 08. 22). 

  12. 통계청,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 (2012. 08. 22). 

  13. 한국수자원공사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http://www.wamis.go.kr (2012. 08. 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