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퓨전요리 활동이 초등학생의 전통음식에 대한 지식, 기호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sion-Food Cooking Activit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7 no.4, 2012년, pp.376 - 389  

배정해 (부산 해강초등학교) ,  이경애 (부산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usion-food cooking program and apply that to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ir knowledge,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The program focused on ten components. Students learned the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양음식에 익숙한 아동들에게 우리의 전통음식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지게 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의 하나로 퓨전요리를 활용한 조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초등학생에게 적용해봄으로써 퓨전요리를 활용한 조리활동이 아동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지식, 기호도 및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학습 진행을 위하여 Table 1과 같이 각 주제에 따른 활동명, 학습내용, 구체적인 학습활동, 차시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안과 교수·학습자료(모둠 실습 안내서, 교수자료, 자기평가서 등)를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는 전통음식의 제공 기회와 다양한 전통음식의 제공이 어린이들의 우리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에게 퓨전요리 활동을 통해 그동안 잘 알지 못했거나 관심이 적었던 전통음식들을 직접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직접 실습한 전통음식 뿐 아니라 전반적인 한국 전통음식에 대해 관심과 선호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하였다고 여겨진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퓨전요리를 활용한 조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퓨전요리를 활용한 조리활동이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지식, 기호도 및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어린이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기호와 섭취를 증가시켜 서구화되어 가는 어린들의 식생활을 개선하고 우리 전통음식의 우수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퓨전음식의 정의는 무엇인가? 그러나 최근 어린이들이 서양음식에 익숙하고 우리 전통음식을 멀리하는 현실에서 무조건 우리 전통음식의 섭취만을 강요하기는 어려우므로 전통음식을 어린이들의 입맛에 맞춰 서양음식과 접목하여 섭취를 유도해볼 필요가 있다. 1980년대부터 시작한 '퓨전음식'은 전통적 조리법에 새로운 외래의 조리법 혹은 재료가 결합된 음식이라고 정의한다(Chung 2001). 퓨전음식은 동서양 조리법 중 좋아하는 맛 또는 장점만을 뽑아 새로운 맛으로 만들어 낸 음식이다.
우리 전통음식에 대한 어린이들의 관심과 인지도가 높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우리 전통음식은 여러 면에서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소득 수준의 향상과 교통수단의 발달에 따른 식생활 양식의 급격한 변화로 어린이들의 기호가 서구화되고 간편화를 추구하게 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김치, 떡, 전통음료 등 우리 전통음식에 대한 어린이들의 관심과 인지도는 현재 그리 높지 않다(Ro & Park 2001; Choi 등 2002; Kang & Lee 2008; Kwak & Kim 2009).
우리 전통음식은 여러 면에서 우수한데, 어떤 면들이 있는가? 우리 전통음식은 우리에게 처해졌던 생활여건에 알맞게 부분적인 변화를 이룩하면서 우리만의 독특한 전통적 식생활을 유지해왔으며, 다양한 조리법과 그 영양적 우수성이 뛰어난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Kim 2005). 우리 전통음식은 영양 면에서 균형이 잡혔을 뿐만 아니라 음식 재료가 다양하며 맛을 돋우는 양념의 가짓수도 많아 감칠맛이 나고 음식의 모양과 색이 자연 그대로를 느끼게 하며 식사예절에 따라 먹는 과정이 정감이 있고 운치가 있어 전통의 멋을 느끼게 한다. 또한 식재료에 약이성 효과가 있는 것이 많아 음식 재료를 알맞게 배합함으로써 건강 유지와 질병 치유에 기여할 수 있으며 계절 음식과 절기 음식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계절에 따라 부족한 영양소를 공급해 준다(Kang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 HU (2005): Nutrition habi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ference realities of traditional food. Master's degree Dissert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Cha JA, Yang IS, Lee SY, Chung L (2007): Effect -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ers. Korea J Food Cult 22(4): 383-392 

  3. Choi MS, Jung EH, Hyun TS (2002):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Dietary Cult 17(4): 399-410 

  4. Chung HJ (2001): Present condition and future prospect of fusion food. Culinary Res 7(3): 99-109 

  5. Kang IH (1993): Korean dietary history. Samyung Co, Seoul Kang JH, Lee KA (2008): The perception,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kimchi, tteok and eumcheong varieties- Korean J Food Culture 23(5): 543-555 

  6. Kim JM (2002):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 of young children. J Res Curric Instr 7(1): 121-139 Kim JS (2005): Universalizing Korean foods. Korean J Food Cult 20(5): 499-507 

  7. Kim KA (2003): A study on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traditional foods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aster's degree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8. Ko KM (2012): Action research on the operation of cooking activities to improve young children's picky eating. Master's degree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9. Kwak TJ, Kim HJ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among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preperation of globalization. J Korean Pract Arts Educ 15(1): 149-174 

  10. Lee HB, Yang MH (2009): The effects of the cooking activities in kindergarden on the ingesting level of disliked food and the inappropriate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J Dev Disabil 13(2): 77-100 

  11. Lee KA (2003): Activity-based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Korean J Nutr 36: 405-417 

  12. Lee MY, Kim YA (2006):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fast food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nsan area. J Korean Home Econ Assoc 44(10): 110-120 

  13. Lee SH (2009): A study on ways to prevent obes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 cooking activity program designed to improve eating habits. Master's degree Dissert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14.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a): Elementary Practical Arts (6th grade). Daehan textbook Co., Seoul, pp.30-53 

  15.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b): Teaching guide to Elementary Practical Arts (6th grade). Daehan textbook Co., Seoul, pp. 72-99 

  16. Ro HK, Park J (2001):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in dietary behavior, food preference and perception about the body image of 4, 5, and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 Food Cult 16(2): 158-169 

  17. Seo JY, Choi BS, Lee IS (2010):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featuring cooking activities on preschool children in Daegu area: Food habit and dietary attitud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5): 794-801 

  18. Yang JH (2010): The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progaram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n the change of disabled children toward dietary attitude. J Elem Educ 23(1): 163-182 

  19. Yu KH (2004): A program of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by cooking activities. Ulsan College, J Res 31(1): 67-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