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리체험활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우리음식에 대한 기호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Tast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among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8 no.4, 2012년, pp.344 - 355  

안현주 (성주초등학교) ,  우태정 (대방초등학교)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cooking activities on the tast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in upper grade school children. The cooking class program was designed as 16 lessons for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school children, and it was implemented as an extracurricula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계발활동시간을 활용한 요리체험활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우리음식에 대한 기호 및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분석단계에서 학습자 요구도 분석을 위해 초등학교에서 실시된 영양교육관련 논문을 검색하고 내용을 조사하였다. Oh(2002), Lee 등(2005), Kim & Kim(2008), Park 등(2008), Jeon(2010)의 연구를 참고하여 우리 음식에 대한 기호증진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요리 활동을 선택하였으며, Cha 등(2007)과 Bae(2010)에서 제시한 평가문항을 참고하여 학습자의 식생활 환경, 지식, 우리음식에 대한 관심 및 인식, 기호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를 구성하였다.
  • Lee & Kim (2006)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한국의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로 조사대상자의 42%가 한국 전통음식을 각 지방의 특산물을 이용한 음식이라고 응답하여 향토음식을 한국 전통음식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고, 그 다음으로 우리나라의 자연 및 사회적 환경에 의해 형성되고 발전해온 음식이라고 답하여 초등학생들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음식 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음식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문항을 제시하였는데 교육 전과 후에 유의적인 변화가 모든 문항에서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는 본 연구가 교육 대상자들의 인식을 유의적으로 바꾸기에는 교육기간이 불충분했거나 교육기간 중 방학이 있어서 교육에 대한 흥미가 지속되지 못하고 단절되었던 점 등의 교육 여건이 장애물로 작용했을 수 있다고 여겨진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우리음식 요리활동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우리음식에 관한 지식과 친밀감을 높이고 아울러 우리음식에 대한 기호도 및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즉, 아동들이 관심을 많이 갖고 있는 요리활동부를 계발활동부로 개설하여 조리재료의 탐색, 음식 만들기, 음식 차리기, 맛보면서 이야기하기, 정리정돈하기 등 전 과정을 경험하도록 교육을 실시하고 교육효과를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평가단계에서는 분석단계에서 실시했던 설문 문항으로 아동의 우리 음식에 대한 인식 및 기호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요리체험활동 기간 종료 후 아동의 수업참여 태도와 모둠별 협동심, 음식에 대한 이해도 등을 기록한 통신문을 가정에 배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시기란? 초등학교 시기는 일생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다(Kim & Lee 2010). 지적 호기심이 높아지는 초등학교 시기에 영양교육을 통하여 건강이나 영양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자신의 식생활에 대한 가치관을 올바르게 형성할 수 있다면 아동이 평생 지속할 식행동을 바르게 형성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요리활동은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가? 요리활동은 음식을 만드는 과정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식품의 선택, 구입, 조리, 시식 등 많은 과정으로 이루어져 아동의 발달 영역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Yang 2010). Oh(2002)의 연구 에서 요리활동은 높은 수준의 사고를 이끌 수 있는 관찰, 호기심, 문제 해결능력 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요리 그 활동 자체가 어린이들에게 보상이 되고 건강, 언어, 사회, 표현, 탐구 등의 5가지 생활영역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통합적 활동이라고 하였다.
전통음식에 대한 기호나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할 수 있도록 아동들에게 우리 음식을 접할 기회를 자주 만들어 주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우리 음식은 우리의 지역적 특성과 섭생에 맞게 발전되어 온 우리 고유의 식문화이며, 최근에는 서양식에 비하여 포화지방이나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적어 암이나 혈관질환 발생을 늦춰주는 건강식으로 인정받고 있다(Park 2001). Lee & Kim(2006)은 초등학교 아동들은 한국 음식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부족하고, 우리 음식이 맛이나 영양 면에서 우수하다고는 생각하지만, 스스로 메뉴를 선택할 경우에는 패스트푸드를 주로 이용한다고 하였다. 아동은 새롭거나 친숙하지 못한 음식은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자주 먹는 음식을 선호하는 기호성을 만든다고 한다(Reverdy 등 2008; Mustonen 등 2009). 따라서, 전통음식에 대한 기호나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할 수 있도록 아동들에게 우리 음식을 접할 기회를 자주 만들어 주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최병옥 (2004): 한달 안에 교육학 끝내기. 양서원. 서울. pp. 355-356 

  2. Bae JH (2010): Influence of fusion-food cooking activit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preferences, and understandings in traditional foods. Masters degree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p.63-71 

  3. Birch LL (1999): Development of food preferences. Annu Rev Nutr 19:41-62 

  4. Cha JA, Yang IS, Lee SY, Chung L (2007): Effect-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ers. Korean J Food Culture 22(4):383-392 

  5. Cho EY (2010): Study on learning factors and self-accomplishment of culinary taste sense education. Masters degree thesis. Kyonggi University. pp.19 

  6. Gang MS, Chyun JH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knowledge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of Incheon. Korean J Food Culture 21(2):107-115 

  7. Jeon YM (2010): A study on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parents on the effects of cooking programs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1):137-151 

  8. Kang JH, Lee KA (2008): The perception,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3(5):543-555 

  9. Kim JH, Jeon SK, Lee MJ (2010): A study of integrated dietar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extbook an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J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3):23-42 

  10. Kim KA, Lee YK (201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nimations on the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5(1):50-60 

  11. Kim SY, Kim HS (2008):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ulture 23(5):556-562 

  12. Kim YH (2009): American elementary teachers' attitude toward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2):213-234 

  13. Koo NS, Park CI (1998): 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der meal service in Taejon. Korean J Community Nutr 3(3):440-453 

  14.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Press release of the results 'children's eating habits Environment Survey'.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index.kfda. Accessed February 4, 2010 

  15. Lee KA (2003): Activity-based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36(4):405-417 

  16. Lee MY, Kim YA (2006):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fastfood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nsan area.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10):109-120 

  17. Lee OH, Chang SO, Park MJ (2008): Comparis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1427-1434 

  18. Lee YM, Lee MJ, Kim SY (2005):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4(th)-, 5(th)- and 6(th)-grad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1(3):331-340 

  19. Loewen R, Pliner P (2000): The food situations questionnaire: a measure of children's willingness to try novel foods in stimulating and non-stimulating situations. Appetite 35: 239-250 

  20. Mustonen S, Rantanen R, Tuorila H (2009): Effect of sensory education on school children's food perception: a 2-year follow- up study. Food Quality and Preference 20(3):230-240 

  21. Noh EH, Kim JS (2007): The integrated cooking program development for an unbalanced diet intervention of young children. Korean J Child Educ Care 7(1):81-93 

  22. Oh YH (2002): The effect of integrated cooking activity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Korean J Child Care and Education 31:111-133 

  23. Park HN, Jeong HS, Joo NM (2008): Reserch on the educa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of cooking activities for children. Korean J Food Culture 23(4):455-461 

  24. Park KY (2001):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health. Proceedings for Alliance of Societies pp.38-46 

  25. Reverdy C, Chesnel F, Schlich P, Koster EP, Lange C (2008): Effect of sensory education on willingness to taste novel food in children. Appetite 51(1):156-165 

  26. Yang JH (2010): The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program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n the change of disabled children toward dietary attitude. J Elementary Education 23(1):163-182 

  27. Yoon SJ, Kim HS (2010): Meal practice and perception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5(5):558-5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