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Glycemic Index, Glycemic Load와 급원식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Food Source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7 no.4, 2012년, pp.429 - 439  

연지영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정책관 영양정책과) ,  김은영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utrients intakes, glycemic index (GI), glycemic load (GL)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in female college students (n = 320).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 an underweight group (BMI < 18.5 kg/$m^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향후 임신, 수유를 경험하는 가임기 여성으로 잠재적으로 충분한 영양을 확보해야 하는 성인기 초반 여성을 대상으로한 식이 GI 및 GL과 비만도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영양소 섭취, GI와 GL와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 관리에 있어 중요한 시기인 가임기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에 따른 영양소 섭취, GI와 GL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섭취량은 세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식물성 지방은 비만군의 섭취량이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당부하지수는 어떻게 구하는가? 혈당지수란 50 g 당질을 함유한 표준 식품 섭취 후의 혈당 반응에 대하여 특정 식품의 섭취 후 혈당 반응 정도를 비교하여 식품에 포함된 당질의 질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것이다(Jenkins 등 2002). 또한 당질 섭취 후 당질의 흡수 속도와 당질의 양을 고려하여 혈당 반응을 예측하는 값을 혈당부하지수(Glycemic Load, GL)라 하며, 이는 해당 식품의 혈당 지수와 1회 섭취 분량에 포함된 당질의 양을 곱한 값을 100으로 나누어 구한다(Foster-Powell 등 2002).
GI가 높은 식품이 체지방 증가를 초래한다는 것에 대해서 반대 의견을 가지고 있는 연구와 그들이 말하는 것은 무엇인가? GI가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으로는 GI가 높은 식품은 초기 단계에서 혈당을 빠르게 증가시키고 그 결과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며, 지방 산화를 억제시켜 혈당 조절에 관련된 호르몬과 대사적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체지방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Du 등 2006). 그러나 덴마크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Hare-Bruun 등 2006)에서 고 GI 식이 섭취는 체중, 체지방량, 허리둘레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라틴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Davis 등 2007)에서도 식이 GI와 GL은 지방 세포 및 인슐린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식이 GI와 GL의 높은 수준이 체질량지수 및 체중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혈당지수란 무엇인가? 식사 후의 혈당 반응은 음식의 양뿐만 아니라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당질의 소화 흡수를 반영하는 것이 혈당지수(Glycemic Index, GI)이다(Jenkins 등 1988). 혈당지수란 50 g 당질을 함유한 표준 식품 섭취 후의 혈당 반응에 대하여 특정 식품의 섭취 후 혈당 반응 정도를 비교하여 식품에 포함된 당질의 질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것이다(Jenkins 등 2002). 또한 당질 섭취 후 당질의 흡수 속도와 당질의 양을 고려하여 혈당 반응을 예측하는 값을 혈당부하지수(Glycemic Load, GL)라 하며, 이는 해당 식품의 혈당 지수와 1회 섭취 분량에 포함된 당질의 양을 곱한 값을 100으로 나누어 구한다(Foster-Powell 등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Kloub MI, Al-Hassan MA, Froelicher ES (2010): Predictors of obesity in school-aged Jordanian adolescents. Int J Nurs Pract 16(4): 397-405 

  2. Azadbakht L, Esmaillzadeh A (2011): Dietary diversity score is related to obesity and abdominal adiposity among Iranian female youth. Public Health Nutr 14(1): 62-69 

  3. Hansen RG (1973): An index of food quality. Nutr Rev 31(1): 1-7 Hansen RG, Wyse BW (1998): Expression of nutrient allowances per 1,000 kilocalories. J Am Diet Assoc 76(3): 223-227 

  4. Jang HS (2001):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s and diet quality of rural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6(3S): 486-494 

  5. Kant AK, Block G, Schatzkin A, Ziegler RG, Nestle M (1991): Dietary diversity in the US population, NHANES II, 1976-1980. J Am Diet Assoc 91(12): 1526-1531 

  6. Kim BR, Cho YE (2001):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food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angneu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5): 986-999 

  7. Kim DS, Cho Y, Cho SI, Lim IS (2009): Body weight perception, un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J Sch Health 79(12): 585-592 

  8. Kim HJ, Yoon JS (2010): Food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Kyungbook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3): 297-307 

  9. Kim IS, Yu HH, Kim YS (2001): A study on nutrient intake, food behavior and health conditions according to food intake diversity in the elderly in a local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6(2): 205-217 

  10. Kim JH, Jung IK (2007): A study on body image perception and eating disorders by gender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 Korean Home Econ Assoc 45(1): 101-109 

  11. Kim MH, Bae YJ (2010): Evaluation of diet qual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nutrient and food group intake and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Korean J Community Nutr 15(1): 1-14 

  12. Kim O, Kim K (2005): Body mass index, body shape satisfaction, and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Korean girls. Psychol Rep 96(3 Pt 1): 676-680 

  13. Kim SH (2010): A review on the relationship of milk consumption, dietary nutrient intakes and physical growth of adolescents. Korean J Dairy Sci Technol 28(1): 9-16 

  14. Kim SH, Kim JY, Ryu KA, Sohn CM (2006):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2(5): 583-591 

  15. Kontogianni MD, Farmaki AE, Vidra N, Sofrona S, Magkanari F, Yannakoulia M (2010): Associations between lifestyle patterns and body mass index in a sample of Greek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110(2): 215-221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Body growth standard values of Korean pediatrics and juveniles in 2007. Seoul 

  17. Krebs-Smith SM, Smiciklas-Wright H, Guthrie HA, Krebs-Smith J (1987): The effects of variety in food choices on dietary quality. J Am Diet Assoc 87(7): 897-903 

  18. Lee JE, Ahn Y, Kimm K, Park C (2004): Study on the associations of dietary variety and nutrition intake level by the number of survey days. Korean J Nutr 37(10): 908-916 

  19. McCrory MA, Fuss PJ, McCallum JE, Yao M, Vinken AG, Hays NP, Roberts SB (1999): Dietary variety within food groups: association with energy intake and body fatness in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69(3): 440-447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3), Seoul 

  21. Mirmiran P, Azadbakht L, Esmaillzadeh A, Azizi F (2004): Dietary diversity score in adolescents - a good indicator of the nutritional adequacy of diets: Tehran lipid and glucose study. Asia Pac J Clin Nutr 13(1): 56-60 

  22. O'Dea JA, Wilson R (2006): Socio-cognitive and nutri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ossibilities for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Health Educ Res 21(6): 796-805 

  23. Ries CP, Daehler JL (1986): Evaluation of the Nutrient Guide as a dietary assessment tool. J Am Diet Assoc 86(2): 228-233 

  24. Steyn NP, Nel JH, Nantel G, Kennedy G, Labadarios D (2006): Food variety and dietary diversity scores in children: are they good indicators of dietary adequacy? Public Health Nutr 9(5): 644-650 

  25. Togo P, Osler M, Sørensen TI, Heitmann BL (2001): Food intake patterns and body mass index in observational studie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5(12): 1741-1751 

  26. Um JS, Park MY, Chung YJ (2006): Composition of food groups appropriate for evaluation of diet quality of Korean adolescents- Based on Kant's minimum amount. Korean J Nutr 39(6): 560-571 

  27. Yim KS (2008): Nutrient intake assessment of Korean elderly living in Inje area, according to food group intake frequency. Korean J Food Cult 23(6): 779-7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