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을 통한 한국 성인 남녀의 식이 중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및 탄수화물 섭취 수준과 당뇨 발병과의 관련성 연구
Association between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Dietary Carbohydrates and Diabetes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2 no.7, 2009년, pp.622 - 630  

김은경 (상명대학교 생활환경학부 외식영양학과) ,  이정숙 (상명대학교 생활환경학부 외식영양학과) ,  홍희옥 (상명대학교 생활환경학부 외식영양학과) ,  유춘희 (상명대학교 생활환경학부 외식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association between glycemic index (GI), glycemic load (GL), dietary carbohydrates and diabetes with the context of the current population dietary practice in Korea. The subjects of 3,389 adults (male 1,430, female 1,959) were divided into normal (seru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외국의 경우 식이 중 GI, GL 수준과 당뇨병과의 관련성 파악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특정 식품에 대한 혈당반응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혈당지수가 높은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식이 GI, GL 수준과 당뇨병 사이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성인 남녀의 식이 중 GI, GL 수준 및 탄수화물 섭취비와 당뇨병 및 내당능장애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30~64세 성인을 대상으로 DGI, DGL 및 탄수화물 섭취 수준이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30~64세 성인을 대상으로 DGI, DGL 및 탄수화물 섭취 수준이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년 30세 이상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얼마인가? 6%, 2005년 9.2%, 2007년 9.5%로 보고되고 있으며,2) 2007년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이 인구 10만명당 22.9명 (남자 23.
당뇨병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고 있는가? 8명)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5위에 해당하였다.3) 당뇨병은 여러 환경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식이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선행연구에서 동물성 지방 및 단순당을 더 많이 섭취하는 경우 당뇨병의 발병률을 높일 수 있다고 하였으며,5,6) 탄수화물의 과잉섭취 또는 채소나 과일의 섭취부족 역시 당뇨병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30~64세 성인을 대상으로 DGI, DGL 및 탄수화물 섭취 수준이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1) 조사대상자 남녀 모두 연령이 높은 군에서 내당능장애와 당뇨병 발생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 남녀 모두 정상군에 비해 당뇨군이 체중, 허리둘레, BMI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신장은 유의적으로 낮았고, 공복기 및 당부하시험 시 혈당은 당뇨군과 내당능장애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3) 3대 열량영양소 섭취를 보면 남자의 경우 정상군의 1일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 섭취량이 당뇨군에 비해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여자의 경우 정상군의 단백질과 탄수화물 섭취량은 당뇨군에 비해 적은 경향을 보였다. 4) DGI는 남녀 모두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DGL은 남자의 경우 정상군 240.8, 내당능장애군 239.3, 당뇨군 223.6으로 정상군과 내당능장애군에 비해 당뇨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여자의 경우 정상군 201.7, 내당능장애군 204.2, 당뇨군 224.2로 당뇨군이 정상군과 내당능장애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라 상이한 경향을 보였다. 5) DGI 수준은 남녀 모두 당뇨 및 내당능장애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남자의 경우 DGL 수준이 증가할 때 연령 보정 시 당뇨 및 내당능장애의 발생 위험이 감소하였으나, 연령과 그 외 요인 (교육수준, 수입, 거주지역, 당뇨병 가족력, 흡연, 음주, 운동,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 하였을 때에는 DGL수준이 당뇨 및 내당능장애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DGL 수준이 증가할 때 연령 보정 시 당뇨병과 당뇨 및 내당능장애 발생 위험이 증가하였으나, 연령과 그 외 요인을 보정하였을 경우 DGL 수준은 당뇨 및 내당능장애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 총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탄수화물 섭취비의 경우 남자 69.9% 이상, 여자 75.7% 이상일 때 당뇨병과 당뇨 및 내당능장애 발생 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ild S, Roglic G, Green A, Sicree R, King H. Global prevalence of diabetes: estimates for the year 2000 and projections for 2030. Diabetes Care 2004; 27(5): 1047-1053 

  2.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4), Nutrition survey,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7 

  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5: http://www.nso.go.kr 

  4. Yang EJ, Kim WY. The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of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Korea. Korean J Nutr 1999; 32(4): 401-406 

  5. Franz MJ, Horton ES Sr, Bantle JP, Beebe CA, Brunzell JD, Coulston AM, Henry RR, Hoogwerf BJ, Stacpoole PW. Nutrition principles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and related complications. Diabetes Care 1994; 17(5): 490-518 

  6. Feskens EJ, Bowles CH, Kromhout D. Carbohydrate intake and body mass index in relation to the risk of glucose intoler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m J Clin Nutr 1991; 54: 136-140 

  7. Yang EJ. A study on dietary factors related to the incidence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7 

  8. Jenkins DA, Thomad MS, Alexandra LJ. Starchy foods and glycemic index. Diabetes Care 1988; 11: 149-159 

  9. Chai HJ, Hong HO, Kim HS, Lee JS, Yu CH. Relationship between food intakes,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body weight among high school boys in Seoul. Korean J Nutr 2008; 41(7): 645-657 

  10. Murakami K, Sasaki S, Takahashi Y, Okubo H, Hosoi Y, Horiguchi H, Oguma E, Kayama F. Dietary glycemic index and load in relation to metabolic risk factors in Japanese female farmers with traditional dietary habits. Am J Clin Nutr 2006; 83: 1161-1169 

  11. Schulze MB, Liu S, Rimm EB, Manson JE, Willett WC, Hu FB.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dietary fiber intak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younger and middle-aged women. Am J Clin Nutr 2004; 80: 348-359 

  12. Du H, van der A DL, van Bakel MM, van der Kallen CJ, Blaak EE, van Greevenbroek MM, Jansen EH, Nijpels G, Stehouwer CD, Dekker JM, Feskens EJ.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in relation to food and nutrient intake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a Dutch population. Am J Clin Nutr 2008; 87: 655-661 

  13. Foster-Powell K, Holt SH, Brand-Miller JC. International tab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 Am J Clin Nutr 2002; 76: 5-56 

  14. www.glycemicindex.com 

  15. www.gitest.co.kr 

  16. Sung YA, Oh JY, Kim DJ, Kim SH, Kim SK, Moon SD, Lee EJ, Jung CH, Hong YS. Standard of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Korean Diabetes J 2007; 8(1): 23-24 

  17. Kim CS, Jeong EK, Park JN, Cho MH, Nam JS, Kim HJ, Kong JH, Park JS, Nam JY, Kim DM, Ahn CW, Cha BS, Lim SK, Kim KR, Lee HC, Nam CM.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fasting plasma glucose by the ADA criteria)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according to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and dietary habits-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Diabetes J 2005; 29(2): 151-166 

  18. Kim WY, Cho MS, Jang YA, Won HS, Lee HS, Yang EJ. Clinical Nutrition. Seoul: Shinkwang; 2004 

  19. Cho NH. Epidemic characteristic and risk factor analysis of diabete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Korean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2000. p.11-16 

  20. Ryu JS, Kim SD, Park JS, Lee JS. Risk factors of impaired fasting glucose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using datamining. Korean J Epidemiol 2006; 28(2): 138-151 

  21. Bennett PH, Knowler WC, Baird HR, Bulter WJ, Pettitt DJ. Diet and development of NIDDM: an epidemiological perspective. In: Diet, Diabetes and atherosclerosis. New York: Raven Press; 1984. p.109-119 

  22. Sahyoun NR, Anderson AL, Tylavsky FA, Lee JS, Sellmeyer DE, Harris TB: Health, Aging, and Body Composition Study. Dietary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in older adults. Am J Clin Nutr 2008; 87(1): 126-131 

  23. Barclay AW, Petocz P, McMillan-Price J, Flood VM, Prvan T, Mitchell P, Brand-Miller JC.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chronic disease risk-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Am J Clin Nutr 2008; 87(3): 627-637 

  24. Hodge AM, English DR, O'Dea K, Giles GG. Glycemic index and dietary fiber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4; 27(11): 2701-2706 

  25. Riccardi G, Rivellese AA, Giacco R. Ro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in the healthy state, in prediabetes, and in diabetes. Am J Clin Nutr 2008; 87(suppl): 269S-274S 

  26. Asp NG. Classification and methodology of food carbohydrates as related to nutritional effects. Am J Clin Nutr 1995; 61(suppl): 930S-937S 

  27. Montonen J, Knekt P, Jarvinen R, Aromaa A, Reunanen A. Whole-grain and fiber intake and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m J Clin Nutr 2003; 77: 622-629 

  28. Meyer KA, Kushi LH, Jacobs DR Jr, Slavin J, Sellers TA, Folsom AR. Carbohydrates, dietary fiber, and incident type 2 diabetes in older women. Am J Clin Nutr 2000; 71: 921-930 

  29. Jenkins DJ, Kendall CW, Marchie A, Jenkins AL, Augustin LS, Ludwig DS, Barnard ND, Anderson JW. Type 2 diabetes and the vegetarian diet. Am J Clin Nutr 2003; 78(suppl): 610S-616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