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유병자의 혈당 조절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Bloo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9 no.3, 2012년, pp.15 - 22  

표은영 (한양대학교 보건학과) ,  정문희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  김윤신 (한양대학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among Korean patients with diabetes.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Fourth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hich was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urvey. The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09) 자료를 이용하여 만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자의 혈당 조절 상태를 파악하고 당화혈색소 7.0%를 기준으로 당뇨병 유병자의 혈당 조절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2009)에 참여한 만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자 1,536명 중 당화혈색소 검사 결과가 있는 대상자 총 1,441명을 대상으로 혈당 조절 상태와 혈당 조절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당뇨병 유병자 중 혈당 조절이 안 되는(HbA1c≥7.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2009)에 참여한 만30세 이상 당뇨병 유병자를 대상으로 혈당 조절과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인 당뇨병 유병자 중에는 당뇨병으로 의사의 진단을 받지 않았으나,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인 일반 대상자들이 포함되어 있어 혈당 조절의 기준을 당화혈색소 7.
  • 이 연구는 만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자의 혈당 조절 상태와 이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은 어떤 노력이 요구되는 질환인가? 당뇨병은 의학적 치료 및 자가 관리에 대한 교육과 급성 합병증을 예방하고 장기 합병증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만성질환이다(American Diabetes Association[ADA], 2010). 미국 만 20세 이상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11.
당뇨병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의 증가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이러한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당뇨병으로 이미 진단된 환자들에게는 정상수준의 혈당상태를 유지하여 합병증을 예방하고, 진단되지 않은 환자들을 선별검사를 통하여 조기 진단하며, 당뇨병 고위험군에 대한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실제로 제2형 당뇨병은 합병증이 나타날 시점까지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흔하며, 이는 당뇨병 유병자의 1/3 정도로 추정된다(Korean Diabetes Association[KDA], 2011).
미국 만 20세 이상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당뇨병은 의학적 치료 및 자가 관리에 대한 교육과 급성 합병증을 예방하고 장기 합병증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만성질환이다(American Diabetes Association[ADA], 2010). 미국 만 20세 이상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11.3%이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2011), 당뇨병은 당뇨병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고, 당뇨병과 당뇨합병증은 사망률을 높이는 주요원인이다(Cowie et al., 2006; Khattab, Khader, Al-Khawaldeh, & Ajlouni,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0).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 2010. Diabetes Care, 33(1), S11-S69. 

  2. Benoit, S. R., Fleming, R., Tsimikas, A. P., & Ming, J. I. (2005). Predictors of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longitudinal study. BMC Public Health, 5, 36-45.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National diabetes fact sheet: national estimates and general information on diabetes and prediabetes in the United States, 2011. Atlanta, G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4. Cowie, C. C., Rust, K. F., Byrd-Holt, D. D., Eberhardt, M. S., Flegal, K. M., Engelgau, M. M., . . . Gregg E. W. (2006). Prevalence of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in adults in the U.S. populati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2. Diabetes Care, 29(6), 1263-1268. 

  5.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Research Group. (1993).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diabetes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long-term complication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9, 977-986. 

  6. El-Kebbi, I. M., Cook, C. B., Ziemer, D. C., Millier, C. D., Gallina, D. L., & Phillips, L. S. (2003). Association of younger age with poor glycemic control and obesity in urban African Americans with type 2 diabetes. Archives of International Medicine, 163, 69-75. 

  7. Gress, T. W., Nieto, F. J., Shahar, E., Wofford, M. R., & Brancati, F. L. (2000). Hypertension and antihypertensive therapy as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2(13), 905-912. 

  8. Hong, M. H., Yoo, J. W., Gu, M. O., Kim, S. A., Lee, J. R., Gu, M. J., . . . Eum, J. H. (2009). A study on effects and their continuity of the self regulation educ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Korean Clinical Diabetes Journal, 10, 187-195. 

  9. Karter, A. J., Moffet, H. H., Liu, J., Parker M. M., Ahmed A. T., Ferrara A., & Selby J. V. (2005). Achieving good glycemic control: Initiation of new antihyperglycemic therapi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from the Kaiser Permanente Northern California diabetes registry. American Journal of Managed Care, 11(4), 262-270. 

  10. Khattab, M., Khader, Y. S., Al-Khawaldeh, A. A., & Ajlouni, K.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24, 84-89. 

  11. Kim, H. S., Yoon, K. H., Yoo, Y. S., Oh, J. A., Song, M. S., Shin, M. O., . . . Song, B. R. (2000). Effects of critical pathway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on glycemic control, the knowledge on the disease,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3(1), 76-86.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Chungcheongbuk-do, Korea: Author. 

  13.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1).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2011.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12(1), 4-49.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Year Book 2011. Retrieved from http://stat.mw.go.kr/stat 

  15.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0).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2010. Retrieved from http://www.nhic.or.kr/portal/site/main/menuitem 

  16. Nichols, G. A., Hillier, T. A., Javor, K., & Brown, J. B. (2000). Predictors of glycemic control in insulin using adult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3(3), 273-277. 

  17. Oh, H. G., Rhee, E. J., Kim, T. W., Lee, K. B., Park, J. H., Yang, K. I., . . . Park, H. K. (2011). Higher glycated hemoglobin level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ischemic stroke in non-diabetic Korean male adults.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35, 551-557. 

  18. Park, S. W., Kim, D. J. Min, K. W., Baik, S. H., Choi, K. M., Park, I. B., . . . Kim, H. Y. (2007). Current Status of Diabetes Management in Korea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31(4), 362-367. 

  19. Rohlfing, C. L., Wiedmeyer, H. M., Little, R. R., England, J. D., Tennill, A., & Goldstein, D. E. (2002).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glucose and HbA[1c]: analysis of glucose profiles and HbA[1c] in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Diabetes Care, 25, 275-278. 

  20. Rothenbacher, D., Ruter, G., Saam, S., & Brenner, H. (2003). Young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need better glycemic control: Results of a community-based study describing factors associated with a high HbA1c value.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53, 389-391. 

  21. Sargeant, L. A., Khaw, K. T., Bingham, S., Day, N. E., Luben, R. N., Oakes, S., . . .Wareham, N. J. (2001). Cigarette smoking and glycaemia: the EPIC-Norfolk Study.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0, 547-554. 

  22. Targher, G., Alberiche, M., Zenere, M. B., Bonadonna, R. C., Muggeo, M, & Bonora, E. (1997). Cigarette smoking and insulin resistance in patients with no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82, 3619-3624. 

  23.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1995). Overview of 6 years' therapy of type 2 diabetes: a progressive disease. Diabetes 44, 1249-1258. 

  24.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1998).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sulphonylureas or insul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and risk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KPDS 33]. Lancet, 352, 837-853. 

  25. Valle, T., Koivisto, A., Reunanen, A., Kangas, T., & Rissanen, A. (1999).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in Finland. Diabetes Care, 22(4), 575-579. 

  26. Verma, M., Paneri, S., Badi, P., & Raman, G. (2006). Effects of increasing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Type 2 on glycated hemoglobin and insulin sensitivity. Indian Journal of Clinical Biochemistry, 21(1), 142-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