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비작물과 바이오숯의 고추 재배지 아산화질소 배출량 저감 효과
Effect of Green Manure Crop and Biochar on Nitrous Oxide Emission from Red Pepper Field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4, 2012년, pp.540 - 543  

서영호 (강원도농업기술원) ,  김세원 (강원도농업기술원) ,  최승출 (강원도농업기술원) ,  김인종 (강원도농업기술원) ,  김경희 (강원도농업기술원) ,  김건엽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업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하여 녹비작물인 헤어리베치와 바이오숯을 이용하였을 때 밭작물 재배지에서 아산화질소 배출량 저감 효과를 평가하였다. 질소 시용량은 고추의 표준 시비량인 $190kg\;ha^{-1}$이었으며, 주 2회 시료를 채취하여 GC/ECD로 아산화질소를 분석하였다. 대조구인 질소질 비료(요소) 처리구의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1.14kg\;N_2O-N\;ha^{-1}$이었으며, 헤어리베치와 바이오숯+질소질 비료 처리구의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각각 $0.61kg\;N_2O-N\;ha^{-1}$$0.86kg\;N_2O-N\;ha^{-1}$로 온실가스 배출을 각각 46.5%와 24.6% 줄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mospheric nitrous oxide ($N_2O$) level has been increasing at a rate of 0.2~0.3% per year. The rise in $N_2O$ concentration in atmosphere was mainly due to an increased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green manure 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녹비작물인 헤어리베치와 바이오숯이 밭작물의 하나인 고추 재배지에서의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 살펴보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경지로부터 아산화질소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추 재배지에서 어떤 비율로 나타났는가? Kim et al. (2008)은 고추 재배지에서의 아산화질소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식양토에서는 무기태 질소 (51%), 토양 온도 (26%), 토양 수분함량 (23%)이었으며, 사양토에서는 토양 수분함량 (39%), 토양 온도 (36%), 무기태 질소 (24%) 순이었다고 하였다. 또한 사양토에서의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식양토에 비해 74~82% 적었고, 토양 수분장력이 -50 kPa일 때가 -30 kPa인 경우보다 13~40% 적었다고 하였다.
대기의 아산화질소 농도는 매년 얼마씩 높아지고 있는가? 대표적인 온실가스의 하나인 아산화질소의 지구 온난화 잠재력은 이산화탄소와 비교하여 약 300배 높은데, 대기의 아산화질소 농도는 매년 0.2~0.3%씩 높아지고 있다 (Saggar et al., 2009).
아산화질소 농도 증가의 주된 요인은 무엇인가? Park et al. (2012)이 1940년부터 2005년까지 대기 중의 아산화질소의 방사성 동위원소 조성을 살펴본 결과, 아산화질소 농도 증가의 주된 요인은 농경지에 시용한 질소질 비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토양 미생물이 농경지에 시용된 질소질 비료나 가축 분뇨 퇴비를 질산화 과정과 탈질 과정을 거쳐 변환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부산물이나 중간 산물로 아산화질소가 만들어 진다 (Freney, 1997; Singh and Tyagi,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Freney, J.R. 1997. Emission of nitrous oxide form soils used for agriculture. Nutr. Cycl. Agroecosys. 49:1-6. 

  2. Gu, J., X. Zheng, and W. Zhang. 2009. Background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croplands in China in the year 2000. Plant Soil. 320:307-320. 

  3.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Vol. 4. Agriculture, forestry and other land use. Eggleston H. S., Buendia L., Miwa K., Ngara T., Tanabe K. (eds.) Hayama, Japan, 682p. 

  4. Kim, G.Y., B.H. Song, B.K. Hyun, K.M. Shim, J.T. Lee, J.S. Lee, W.I. Kim, and J.D. Shin. 2006. Predicting $N_{2}O$ emission from upland cultivated with pepper through related soil parameters. Korean J. Soil Sci. Fert. 39:253-258. 

  5. Kim, G.Y., B.H. Song, K.A. Roh, S.Y. Hong, B.G. Ko, K.M. Shim, and K.H. So. 2008. Evaluation of greenhouse gases emissions according to changes of soil water content, soil temperature and mineral N with different soil texture in pepper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1:399-407. 

  6. Kim, G.Y., K.H. So, H.C. Jeong, K.M. Shim, S.B. Lee, and D.B. Lee. 2010. Assessment of greenhouse gases emissions using global warming potential in upland soil during pepper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3:886-891. 

  7. Lemke, R.L., R.C. Izaurralde, S.S. Malhi, M.A. Arshad, and M. Nyborg. 1998.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agricultural soils of the Boreal and Parkland regions of Alberta. Soil Sci. Soc. Am. J. 62: 1096-1102. 

  8. Park, S., P. Croteau, K.A. Boering, D.M. Etheridge, D. Ferretti, P.J. Fraser, K.R. Kim, P.B. Krummel, R.L. Langenfelds, T.D. van Ommen, L.P. Steele, and C.M. Trudinger. 2012. Trends and seasonal cycles in the isotopic composition of nitrous oxide since 1940. Nature Geosci. 5:261-265. 

  9. Parkin, T.B. 2008. Effect of sampling frequency on estimates of cumulative nitrous oxide emissions. J. Environ. Qual. 37:1390-1395. 

  10. Parkin, T.B., R.T. Venterea, and S.K. Hargreaves. 2012. Calculating the detection limits of chamber-based soil greenhouse gas flux measurements. J. Environ. Qual. 41:705-715. 

  11. Saggar, S., J. Luo, D.L. Giltrap, and M. Maddena. 2009.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temperate grasslands: Processes, measurements, modelling and mitigation. In Sheldon A. I., Barnhart E. P. (eds.): Nitrous oxide emissions research progress. Nova Science Publishers, Inc., New York, p. 1-66. 

  12. Seo, Y.H., S.W. Kim, S.C. Choi, B.C. Jeong, and Y.S. Jung. 2012. Nitrous oxide emission from livestock compost applied arable land in Gangwon-do. Korean J. Soil Sci. Fert. 45:25-29. 

  13. Shin, Y.K., J.W. Ahn, M.H. Koh, and J.C. Shim. 2003.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from upland rice and soybean. Korean J. Soil Sci. Fert. 36:256-262. 

  14. Singh, S.N. and L. Tyagi. 2009. Nitrous oxide: Sources, sinks and mitigation strategies. In Sheldon A. I., Barnhart E. P. (eds.): Nitrous oxide emissions research progress. Nova Science Publishers, Inc., New York, p. 127-150. 

  15. Stehfest, E. 2008. Modelling of Global Crop Production and Resulting $N_{2}O$ Emissions. VDM Verlag Dr. Muller, Saarbruken, Germany. 

  16. Yanai, Y., K. Toyota, and M. Lkazaki. 2007. Effect of charcoal addition on $N_{2}O$ emissions from soil resulting from resetting air-dried soil in short-term laboratory experiments. Soil Sci. Plant Nutri. 53:181-188. 

  17. Yang, S.H., H.J. Kang, S.C. Lee, H.J. Oh, and G.Y. Kim. 2012a. Influence of N fertilization level, rainfall, and temperature on the emission of $N_{2}O$ in the Jeju black volcanic ash soil with soybean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5:451-458. 

  18. Yang, S.H., H.J. Kang, S.C. Lee, H.J. Oh, and G.Y. Kim. 2012b. Influence of N fertilization level, rainfall, and temperature on the emission of $N_{2}O$ in the Jeju black volcanic ash soil with carrot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5:459-465. 

  19. Zwieten, L.V., B. Singh, S. Joseph, S. Kimber, A. Cowie, and K.Y. Chan. 2009. Biochar and emissions of non- $CO_{2}$ greenhouse gases from soil. In Lehmann, J. and Joseph, S. (eds.): Biochar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Earthscan, London, UK. p. 227-2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