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통중인 유기농 채소류의 미생물 분포도 분석
Monitoring of Pathogenic Bacteria in Organic Vegetables from Korean Market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4, 2012년, pp.560 - 564  

정규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노은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류경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원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경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동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계훈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윤종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허성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 건강식품의 선호에 따라 신선 채소류 등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유통 중인 유기농 채소류를 구입하여 총균수,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Y. enterocolitica 등의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도를 분석하고 유기농산물의 식중독균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유기농 채소류 4종의 일반 세균수 수준을 비교한 결과 오이의 일반 세균수 수준이 가장 높았고, 토마토의 일반 세균수는 가장 낮았다. 유기농 채소 중 깻잎의 일반 세균수는 $4.2{\sim}7.7log\;CFU\;g^{-1}$, 상추는 $5.0{\sim}8.0log\;CFU\;g^{-1}$, 토마토는 $4.0{\sim}7.5log\;CFU\;g^{-1}$, 오이는 $6.6{\sim}8.6log\;CFU\;g^{-1}$ 범위였다. 유기농 채소에서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Y. enterocolitica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일반 세균수는 관행 농산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병원성 미생물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식중독균 오염수준은 극히 낮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생산, 유통 단계에서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revalence of pathogens in organic vegetables produced in Korea. A total of 189 organically grown vegetable samples (perilla leaf 50, lettuce 50, tomato 39, cucumber 50)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aerobic plate count, Esch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유통 중인 유기농 채소류를 구입하여 총균수,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Y. enterocolitica 등의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도를 분석하고 유기농산물의 식중독균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유기농 채소류 4종의 일반 세균수 수준을 비교한 결과 오이의 일반 세균수 수준이 가장 높았고, 토마토의 일반 세균수는 가장 낮았다.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통되는 유기농 채소의 병원성 미생물 오염실태를 조사하여 유기농 채소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일반 세균수는 관행 농산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병원성 미생물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식중독균 오염수준은 현저히 낮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우리나라는 농산물에 대한 병원성 미생물 관리기준이 없는 실정인데 유통단계에서 유기농산물의 병원성 미생물 오염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인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유통 중인 유기농 채소류에서의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식중독균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웰빙문화와 개인건강유지가 사회적 화두로 떠오르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 2006). 대표적인 비가열 농식품으로 곡류, 과채류, 엽채류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식품은 가열 가공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생리기능성이 높아지는 반면 농식품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또한 그대로 유지될 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외국의 농산물 식중독 사고에서 알 수 있듯이 과일 및 채소와 같은 신선 농산물은 수확 후 소비되는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병원성 미생물을 포함한 다양한 미생물에 오염될 수 있다 (Kang et al.
Burnett et al. (2001)이 말한 채소나 과일의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오염 원인은? Burnett et al. (2001)은 채소나 과일은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오염될 수 있는데 그 오염 원인으로는 토양, 가축분뇨, 관개수, 먼지, 미숙퇴비 등을 들 수 있다고 하였다. 식중독 사고를 일으키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로는 Salmonella spp.
한국의 신선편의용 농산물 시장 규모는? 한국의 신선편의용 농산물 시장 규모는 5,900~6,900억원으로 전체 농산물 시장의 3.3~3.9%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Lee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Y.S. and D.H. Shin. 1999. Antimicrobial effects of organic acids and ethanol on several foodborn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315-1323. 

  2. Bae, Y.M., Y.J. Hong, D.H. Kang, S.G. Heu, and S.Y. Lee. 2011. Microbial and pathogenic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resh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161-168. 

  3. Beuchat, L.R. 1996. Pathogenic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fresh produce. J. Food Prot. 59:204-216. 

  4. Bohaychuk, V.M., R.W. Bradbury, R. Dimock, M. Fehr, G.E. Gensler, R.K. King, R. Rieve, and P.R. Barrios. 2009. A microbiological survey of selected Alberta-grown fresh produce from farmers' markets in Alberta, Canada. J. Food Prot. 72:415-420. 

  5. Burnett, S.L. and L.R. Beuchat. 2001. Human pathogens associated with raw produce and unpasteurized juices, and difficulties in decontamination. J. Industrial Micro. & Biotech. 27:104-110. 

  6. Cho, J.I., G.J. Bahk, K.S. Kim, and S.D. Ha. 2004. Microbial assessment of wild cabbage and its control. Korean J. Food Sci. Technol. 36:162-167. 

  7. Cho, M.J., A.R. Jeong, H.J. Kim, N.R. Lee, S.W. Oh, Y.J. Kim, H.S. Chun, and M.S. Koo. 2011.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cut produce and organic vegetables. Kor. J. Food Sci. Technol. 43:91-97. 

  8. Donelly, C.W. and E.H. Briggs. 1986. Psychrotropic growth and themal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as a function of milk composition. J. Food Prot. 49:994-998. 

  9. Jung, S.H., M.J. Hur, J.H. Ju, K.A. Kim, S.S. Oh, J.M. Go, Y.H. Kim, and J.S. Im. 2006.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Korean J. Fd. Hyg. Safety 21:250-257. 

  10. Kang, T.M., S.K. Cho, J.Y. Park, K.B. Song, M.S. Chung, and J.H. Park. 2011.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sprouts and fresh cut salads in a mark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490-494. 

  11. Kim, D.M. and S.I. Hong. 2004.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fresh-cut produce in Korea. Food Preserv. Proc. Ind. 4:41-61. 

  12. Lammerding, A.M. 1997. An overview of microbial food safety risk assessment. J. Food Prot. 60:1420-1425. 

  13. Lee, Y.S., S.H. Kim, and D.H. Kim. 2009. Current status of fresh-cut market in Korea and stimulus measur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port. 602:16-19. 

  14. Loncarevic, S., G.S. Johannessen, and L.M. Rorvik. 2005. Bacteriological quality of organically grown leaf lettuce in Norway. Lett. Appl. Microbiol. 41:186-189. 

  15. Mukherjee, A., D. Speh, E. Dyck, and F. Diez-Gonzalez. 2004. Preharvest evaluation of coliform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and Escherichia coli O157:H7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roduce grown by Minnesota farmers. J. Food Prot. 67:894-900. 

  16. Nguz, K., J. Shindano, S. Samapundo, and A. Huyghebaert. 2005. Microbiogical evaluation of fresh-cut vegetables produced in Zambia. Food Control. 16:623-628. 

  17. Oliveira, M., J. Usall, I. Vinas, M. Anguera, F. Gatius, and M. Abadias. 2010.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 lettuce from organic and conventional production. Int. J. Food Microbiol. 27:679-684. 

  18. Sagoo, S.K., C.L. Little, and R.T. Mitchell. 2001.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ready-to-eat organic vegetables from retail establishments in the United Kingdom. Lett. Appl. Microbiol. 33:434-439. 

  19. Smith, D.W., C.K. Barlow, L. Alderton, and M.F. Jacobson. 2011. Outbreak alert! Center for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Available at: http://www.cspint.org/reports/outbreak_report.pdf Accessed Aug. 15. 

  20. Stephenson, J. 1997. New approaches for detecting and curtailing foodborne microbial infections. J. American Med. Association. 277:1337-1339. 

  21. Wher, M.H. 1987. Listeria monocytogenes-A current dilemma. J. Assoc. Off. Anal. Chem. 70:7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