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죽산천 인공습지의 오염물질 정화효율 평가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encies of Pollutants in Juksancheo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4, 2012년, pp.642 - 648  

최익원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서동철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강세원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이상규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서영진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임병진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 물환경연구소) ,  박종환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 물환경연구소) ,  김갑순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 물환경연구소) ,  허종수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농업생명산업 글로벌 인재 육성 사업단) & 농업생명과학원) ,  조주식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암호 상수원 상류지역인 죽산천에 위치한 죽산천 인공 습지의 수생태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질에서의 영양 염류 처리효율, 수생식물의 무기성분 흡수량 및 퇴적물내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질에서의 영양염류 처리효율은 COD와 SS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낮았다. 죽산천 인공 습지의 주요 우점종의 영양염류 흡수량을 조사한 결과, T-N 및 T-P 흡수량은 8월에 노랑꽃창포 > 수련 > 노랑어리 연꽃 순으로 최대흡수량을 나타내었다. 퇴적물내 O.M 함량은 시기별로 큰 차이가 없었고, T-N 및 T-P의 함량은 봄에서 여름으로 시기가 변함에 따라 낮아져서 겨울까지 낮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퇴적물내 microbial biomass C:N:P의 비율은 봄, 여름, 가을 및 겨울이 각각 117~140:1~4:1, 86~126:5~6:1, 68~101:2~6:1 및 47~138:2~4:1로 나타났다. 죽산천 인공습지는 질소와 인의 처리효율이 낮고, 겨울철 수질 정화효율이 낮아 습지의 정화효율 향상을 위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in Juksancheo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the removal rates of nutrients in water and the total amounts of T-N and T-P uptakes by water plants were investigate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N and T-P in sediment were investigat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죽산천 인공습지의 오염물질 정화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죽산천 인공습지에서 시기별 정화효율, 수생식물의 생육특성 및 퇴적물의 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습지에서 질소제거의 주요기작 중 가장 큰 부분은? 인공습지에서 질소제거의 주요기작은 유기질소의 침전과 암모니아성 질소로의 분해를 통한 다른 질소 형태로의 변환, 암모니아의 휘발, 식물과 조류를 포함한 미생물에 의한 용존성 질소의 흡수, 질산화 및 탈질이다 (Kadlec and Wallace, 2008). 그 중 대부분은 생물학적 탈질작용에 의해서 제거되며, 일부분이 식물체의 흡수에 의해 제거된다. 탈질반응의 경우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20∼30℃ 사이의 높은 온도를 유지할 경우 탈질반응이 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Son et al.
인공습지의 일차적 목적은? 이에 주암호 등 섬진강 수계 물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였으며 수질개선 방안으로 다양한 형태의 인공습지를 조성하였다. 조성된 인공습지는 질소와 인을 처리하는데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인공습지에서 질소제거의 주요기작은 유기질소의 침전과 암모니아성 질소로의 분해를 통한 다른 질소 형태로의 변환, 암모니아의 휘발, 식물과 조류를 포함한 미생물에 의한 용존성 질소의 흡수, 질산화 및 탈질이다 (Kadlec and Wallace, 2008).
주암호의 오염원은? , 2011; Kang, 2012). 전라남도에 위치한 주암호의 오염원으로 농가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와 인근 농경지에서 유입되는 배수에 의한 비점오염원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최근에 농촌지역의 소비생활의 변화에 따라 생활환경 등이 변화하여 호수 주위에 레저시설과 위락시설이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들로 인한 수질악화가 문제시 되고 있다 (Kang, 2012; Kang et al., 2011;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PHA, AWWA, WC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p. 4-112.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2. Brookes, P.C., A. Landman, G. Pruden, and D.S. Jenkinson. 1985. Chloroform fumigation and the release of soil nitrogen: a rapid direct extraction method to measure microbial biomass nitrogen in soil. Soil Biol. Biochem. 17:837-842. 

  3. Cho, J.S., J.S. Heo, Y.M. Chun, D.C. Seo, H.S. Bae, Y.C. Kim, M.J. Han, W.Y. Park, J.S. Yim, Y.S. Chun, S.K. Park, Y.J. Park, and S.E. Kim, 2009. Alternative of optimum management and analysis of removal efficiency for treating the wastewater in constructed wetland to upper region of Juam lake. Yeongsan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ngju, Korea. 

  4. Choi, I.W., S.D. Moon, D.C. Seo, S.W. Kang, B.J. Lim, J.H. Park, K.S. Kim, J.B. Lee, J.S. Heo, and J.S. Cho. 2011.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encies of pollutants in Bongsa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met non-point source pollution. Korean J. Soil Sci. Fert. 44:1089-1094. 

  5. Choi, K.C., O.U. Kwun, Y.D. Kim, Y.H. Kim, W.S. Lee, J.Y. Lee, S.J. Jun, and S.K. Jung. 2004. Annotation for standard methods of water quality. Printed in Dong Hwa Technology Publishing Co. Korea. 

  6. Gerrites, R.G. 1993. Prediction of travel times of phosphate on soils at a disposal site for wastewater. Water Res. 27:263-267. 

  7. Greenway, M. and A. Woolley. 1999. Constructed wetlands in Queensland: performance efficiency and nutrient bioaccumulation. Ecol. Eng. 12:39-55. 

  8. Jenkinson, D.S. 1988. Determination of microbial biomass carbon and nitrogen in soil. p. 368-385. In Wilson, J.R. (ed.) Advances in Nitrogen Cycling in Agricultural Ecosystem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9. Kadlec, R.H. 1997. An autobiotic wetland phosphorus model. Ecol. Eng. 8:145-172. 

  10. Kadlec, R.H. and S.D. Wallace. 2008. Treatment wetlands (2nd ed). p. 267-348. CRC Press, Boca Ration, FL, USA. 

  11. Kang, S.W. 2012.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uptake and release of submerged plants in Boknae reservoir around Juam Lake. Master Science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orea. 

  12. Kang, S.W., D.C. Seo, M.J. Han, J.H. Han, B.J. Lim, J.H. Park, K.P. Kim, Y.J. Lee, I.K. Choi,, Y.H. Lee, J.S. Heo, and J.S. Cho. 2011.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release by submerged plants in flood control reservoirs within Juam lake. Korean J. Soil Sci. Fert. 44:271-277. 

  13. Kim, H.C. 2010. Assess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reduction using constructed wetland.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4. Newbold, D.J., J.W. Elwood, R.V. O'Neil, and A.L. Sheldon. 1983. Phosphorus dynamics in a woodland stream ecosystem: a study of nutrient spiraling. Ecology. 64:1249-1263. 

  15. NIAST. 2000. Methods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16. Park, W.Y., D.C. Seo, J.S. Im, J.K. Park, J.S. Cho, J.S. Heo, and H.S. Yoon. 2008. Optimum configuration filter media depth and wastewater load of small-scale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the hydroponic waste solution in greenhouse. Korean J. Environ. Agric. 27:217-224. 

  17. Reddy, K.R., R.H. Kadlec, E. Flaig, P.M. Gale. 1999. Phosphorus retention in steams and wetlands: a review. Crit. Rev. Environ. Sci. Technol. 29:83-146. 

  18. Seo, D.C. 2005. Development of treatment process of biological nitrogen and phosphorus in sewage treatment plant by natural purification system. Doctor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19. Seo, D.C., B.I. Jang, I.S. Jo, S.C. Lim, H.J. Lee, J.S. Cho, H.C. Kim, and J.S. Cho. 2006. Selection of optimum water plant in constructed wetland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for municipal sewage treatment. Korean J. Environ. Agric. 25:25-33. 

  20. Seo, D.C., S.W. Kang, B.J. Lim, J.H. Park, K.S. Kim, J.B. Lee, H. Kim, J.S. Heo, N.I. Chang, H.H. Seong, and J.S. Cho. 2011a. Evaluation of Aquatic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sinpyongcheo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Korean J. Soil Sci. Fert. 44:400-407. 

  21. Seo, D.C., S.W. Kang, H. Kim, M.J. Han, B.J. Lim, J.H. Park, K.S. Kim, Y.J. Lee, I.W. Choi, J.S. Heo, and J.S. Cho. 2011b.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iencies of pollutants in Boknae bio-park constructed wetlands. Korean J. Soil Sci. Fert. 44:263-270. 

  22. Son, Y.K., C.G. Yoon, J.S. Kim, and H.J. Kim. 2012. A study on seasonal nitrogen treat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sign of constructed wetland. J. Korean Soc. Wat. Environ. 28:94-101. 

  23. Tanner, C.C., J.P.S. Sukias, and M.P. Upsdell. 1998. Relationships between loading rates and pollutant removal during maturation of gravel-bed constructed wetlands. J. Environ. Qual. 27:448-458. 

  24. Vance, E.D., P.C. Brookes, and D.S. Jenkinson. 1987. An extraction method for measuring microbial biomass C. Soil Biol. Biochem. 19:703-707. 

  25. Vymazal, J. 2005. Horizontal sub-surface flow and hybrid constructed wetlands systems for wastewater treatment. Ecol. Eng. 25:478-490. 

  26. Yang, H.M. 2012. Phosphorous removal in a free water surface wetland constructed on the Gwangju stream floodplain. J. Korean Ins. Land. Arch. 40:100-1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