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활동공간 및 놀이시설 제도 합리화 방안
Rationalizing Strategies for Children's Activity Spaces and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4, 2012년, pp.36 - 50  

박미옥 (나사렛대학교 에코그린센터) ,  구본학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린이 활동공간이 조경공간의 하나라는 시각에서 법령 분석을 통해 어린이 활동공간 및 놀이시설과 관련된 법령 적용의 상충적 요소를 도출하고, 계획적 수단을 통해 관리할 수 있는 합리적인 대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현행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어린이활동공간과 관련된 법령으로는 환경보건법에서 어린이 활동공간의 위해성관리, 노출평가, 환경안전관리기준 등 어린이 활동공간을 공간적 관점에서 환경안전성을 관리하며, 행안부는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에서 어린이 놀이시설 설치, 검사, 안전점검 및 진단 등을 관리하고 있고, 지경부는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에서 안전인증, 자율안전확인, 안전품질표시, 어린이보호포장 등의 기준을 관리하고 있다. 2. 현행 법령에서 정한 활동공간 외에 추가 관리할 필요가 있는 공간으로 도출된 대상은 아동복지법에 의한 아동복지시설 중 '거실' 등의 실내공간,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도시공원 중 '어린이공원', 학원의 설립 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에 의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학교 교과 교습학원 및 교습소 등의 '강의실' 등이며, 그 외에도 실내공기질과 관련하여 '$430m^2$ 미만의 어린이집 보육실'도 추가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법령의 중복 및 지나친 규제로 인한 놀이시설의 제작, 설치, 운영과 관련된 산업계에 미치는 부담을 저감하고,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와 예산 낭비를 최소화하며, 항목간 중복되거나 상이한 기준을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조경분야에서는 주로 놀이기구의 제작, 수입, 설치 및 놀이시설 운영관리 등에 국한되었던 영역이 활동공간 전체를 대상으로 기구, 재료, 시설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조경 전문 분야와 관련된 엔지니어링 산업, 학술, 유지관리 산업 등의 시장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contradiction factors on laws for children's activity spaces and facilities and to suggest the rational options to control and manage those spaces and facilities by environmental and landscape planning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j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놀이기구 또는 어린이놀이시설의 제작, 수입, 설계, 시공, 기술자격 등의 법령은 본 연구목적과 거리가 있고, 이상석(2009)의 연구 등 몇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바 있어 본 연구 범위에는 포함하지 않았고,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어린이활동공간을 조경공간으로 인식하기 위한 법령 및 어린이놀이시설, 어린이 놀이기구에 대한 중복 또는 누락된 사각지대를 도출하여 활동 공간으로 포함 관리하기 위한 내용으로 국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조경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왔던 어린이 놀이시설의 개별 시설 및 설치, 운영관리, 시설안전 관리 등 시설이라는 관점과 더불어 아직은 조경의 영역에서 비켜나 있는 어린이 활동공간이 조경공간의 하나라는 시각에서 관련 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을 논의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관련 법령 분석을 통해 어린이 놀이시설과 관련된 법령의 적용 흐름과 상충적 요소를 도출하고, 환경계획을 포함하는 광의의 조경계획 등 계획적 수단2)을 통해 관리할 수 있는 합리적인 대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어린이 활동공간 관련 법령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활동공간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간의 법위를 정하고 있는 법령과 어린이 놀이시설 및 어린이 활동공간에서의 관리 물질, 재료, 시설 등의 범위와 항목과 기준을 직접 규제하고 있는 법령에 대해 현행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조경분야의 중요한 관심사의 하나인 어린이 놀이시설의 개별 시설 및 설치, 운영관리, 시설안전관리 등 시설이라는 관점에서 더 나아가 어린이 활동공간이라는 공간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이는 그동안 조경분야에서는 주로 재료 및 기구(놀이기구), 시설(놀이기구가 설치된 놀이터)등을 주 영역으로 인식해왔고, 활동공간은 유해물질 노출평가, 위해성평가 등 환경안전관리 관점에서 물질 관리 차원에서 다루어져 왔으나, 이제는 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를 물질 중심의 치유적 관리보다는 조경계획 또는 환경계획 등의 계획적 수단에 의해 수용체 및 공간, 시설 중심의 예방 관리가 효과적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 이러한 관계를 요약하면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린이놀이기구는 조경재료로 인식되고 있고, 어린이놀이시설은 조경시설로 인식되고 있으나, 어린이활동공간은 아직 조경전문가의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는 않는 바, 본 연구에서는 이를 조경공간으로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부,행안부,지경부는 각각 활동공간,놀이시설,놀이기구에 대해서 어떤 관리를 하고 있는가? 환경보건법(환경부)은 공간개념으로서 놀이시설을 활동공간의 하나로서 관리하고 있으며,어린이 활동공간의 위해성관리, 노출평가,환경안전관리기준,어린이용도 유해물질 관리 및 평가,위해성 정보 제공 등 어린이 활동공간을 공간적 관점에서 환경안전성을 관리하고 있다.그 외에도 환경부에서는 토양환경보전법,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유해화학물질관리법 등을 통해 어린이 활동공간의 토양,실내공기질 등을 관리하고 있다.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행정안전부)은 시설개념으로서 놀이기구가 설치된 놀이터를 놀이시설로 관리하고 있으며,주로 어린이 활동공간에 설치되는 놀이시설 등의 설치,이용관리,안전관리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며,어린이 놀이시설 설치,검사,안전점검 및 진단 등을 관리5)하고 있다.
어린이놀이시설이란? ‘어린이놀이시설’은 ‘어린이 놀이기구’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설치된 ‘놀이터’를 말하며,구체적으로는 1)주택단지나 도시공원,학교 등 행정안전부가 주관 부서인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시행령(별표 2:어린이놀이시설)에 의해 정해진 시설에, 2)지식경제부가 주관 부서인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에 의해 안전인증을 받은 ‘어린이 놀이기구’를, 3)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제2조에 의해 설치하고 설치검사를 받은‘놀이시설’을 의미한다.이와 관련하여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에서는 어린이 놀이기구에 대한 설치검사, 사용검사, 안전 점검 및 진단 등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어린이 놀이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안전인증 대상 공산품은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안전인증 대상 공산품 안전기준 부속서 12(어린이 놀이기구)’에서 정하고 있는 품질 기준을 만족한 것을 말한다.부속서 12에 의하면 어린이 놀이기구로는 미끄럼틀,그네,공중놀이기구,회전놀이기구,흔들놀이기구,정글짐,구름다리,오르는기구,건너는기구,조합놀이터, 그리고 충격흡수용 표면재 등이 있으며, 각 놀이기구의 제작, 수입 과정에서 정해진 기준에 의한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이러한 관계를 요약하면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은주, 정덕희(2008) 어린이 놀이터 놀이시설 안전실태 조사. 보육정책 연구 4(2): 23-38. 

  2. 김종호(2009) 어린이놀이시설 안전성 평가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호현, 임영욱, 양지연(2010) 어린이 활동공간의 유해물질 다경로 위해성 평가. 한국환경독성학회(2010) 추계 학술대회 연제집. pp. 63-64. 

  4. 보건복지부(2010) 2009년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5. 손석정(2009)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법규 고찰. 스포츠와 법 12(1): 85-104. 

  6. 송민경(2010) 어린이 놀이활동 중 노출가능 특정유해물질의 통합위해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신병철(2000) 어린이놀이시설의 안전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7(5): 120-129. 

  8. 안근영, 정민영, 주신하(2008) 어린이 놀이시설의 소재에 따른 만족도 및 친환경성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1(1): 52-61. 

  9. 양지연, 김호현, 양수희, 김선덕, 전준민, 신동청, 임영욱(2010) 어린이 주요 활동 공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노출로 인한 건강 위해성 평가 -보육시설 및 실내놀이터 중심으로-. 환경독성보건학회지 25(1): 57-68. 

  10. 오경록(2006) 한국 조경놀이시설물 안전검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윤강호(2005) 한국 어린이놀이터 위험 실태조사와 국제 안전규정 시스템을 통한 비교 분석.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경영지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재철(1991) 어린이놀이시설 안전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상석(2009)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규의 개선방향. 한국조경학회지 37(2): 47-61. 

  14. 임승빈(2007)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서울:보문당. 

  15. 임영홍, 김세천(2009)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 실태 조사 분석 및 개선 방안 : 전주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2009)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7-30. 

  16. 최일홍(1990) 주거단지내 어린이놀이시설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홍윤미, 김지수, 변대중(2008) 상업시설 내 어린이 놀이공간의 안전관리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서울지역 대형 유통매장 5곳을 대상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7(4): 66-74. 

  18. 홍지숙(2007) 아파트 단지 내 어린이놀이터의 실태조사를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환경부(2008) 50인 이하 보육시설 현황. 환경부(미발간). 

  20. 환경부(2009) 어린이놀이터 바닥재 환경유해인자 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환경부 보고서. 

  21. 환경부(2010a) 어린이 활동공간 위해성평가 사업: 학교, 학원 및 주거, 교통, 공공시설 중심. 환경부 보고서. 

  22. 환경부(2010b) 인조잔디와 탄성포장재의 유해물질 위해성 평가 및 관리대책 마련. 환경부 보고서. 

  23. 환경부(2010c) 어린이 실내활동공간 실태조사 및 관리대책 용역. 환경부 보고서. 

  24. 황정식(2008) 어린이놀이터 놀이시설물에 관한 연구. 부산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Neira, M.(2008) Childhood Environmental Health. WHO. 

  26. USEPA(2008)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2008 Highlights : Environment, Health, And a Focuson Children. USEPA. 

  27. WHO(2006) Principles for Evaluating Health Risks in Children Associated with Exposure to Chemicals.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237. WHO. 

  28. http://www.law.go.kr 

  29. http://www.cpsc.gov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