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입·유출특성을 고려한 고속도로 연결로의 교통사고 심각도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s for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on Expressway On- and Off-Ramps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4 no.5 = no.55, 2012년, pp.101 - 111  

윤일수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박성호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윤정은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최진형 (삼성 SDS) ,  한음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Because expressway ramps are very complex segments where diverse roadway design elements dynamically change within relatively short length, drivers on ramps are required to drive their cars carefully for safety. Especially, ramps on expressways are designed to guarantee driving at high sp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속도로 연결로란? 고속도로 연결로(expressway ramps)는 주행속도가 높은 고속도로 본선과 상대적으로 주행속도가 낮은 다른 도로 또는 다른 고속도로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이(transition) 구간이다. 연결로와 고속도로 본선을 연결하는 가₩감속차로에서는 고속도로 본선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과 본선으로 합류하거나 분류하는 저속 차량들이 혼재되어 있으며, 또한 연결로 상에서는 평면 선형, 종단선형 등이 복잡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안전운행을 위해 운전자로부터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한다.
유입 연결로와 유출 연결로의 가장 큰 차이는? 고속도로의 연결로는 본선과의 관계에 따라 크게 합류부와 분류부, 즉 유입 연결로(on-ramp)와 유출 연결 로(off-ramp)로 나눌 수 있다. 유입 연결로와 유출 연결로의 가장 큰 차이는 가속과 감속운행이 각각 요구된다는 점이다. 유입 연결로의 경우는 차량들이 연결로에서 낮은 속도로 운행을 하다가 가속차로에서 속도를 높여 본선과 합류를 하게 되고, 유출 연결로에서는 이와 반대로 차량들이 고속도로 본선에서 높은 속도로 운행을 하다가 연결로 진입을 위해 감속을 하게 된다.
고속도로 연결로 교통사고의 심각도와 각종 교통요소 및 설계요소 간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기존 연구 검토 결과, 고속도로 연결로가 짧은 길이임에도 불구하고 교통사고 빈도 및 심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결로에 대하여 교통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한 연구는 많으나 고속도로 연결로를 대상으로한 교통사고 심각도 관련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 었다. 따라서 고속도로 연결로 교통사고의 심각도와 각종 교통요소 및 설계요소 간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National Police Agency, 2011. Traffic Accident Statistics (Year 2010), Seoul, Korea.(경찰청, 2011. 2010년 교통사고통계, 경찰청, 서울, 대한민국) 

  2. Kim, B. 2008. The Study on Discriminant Model of Traffic Accidents at the Interchange of Freeway,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김봉곤, 2008. 고속도로 유출.입부의 교통사고 판별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수원, 대한민국) 

  3. Kim, S., Choi, J., Kim, S., Kim, M., Lee, D. 2011. The Study on the Accident Injury Severity Using Ordered Probit Model at Multi-Lane Highway,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2011, No. 3, pp.77-84(김성민, 최재성, 김상엽, 김명규, 이대성, 2011.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다차로도로 사고심각도 분석,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1년 제3호, pp.77-84) 

  4. No, C., Park. J., Son. B., 2008. A Study of Accident Models for Highway Interchange Ram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6, No. 4, pp.29-40(노창균, 박종서, 손봉수, 2008. 고속도로 연결로의 교통사고 추정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4호, pp.29-40) 

  5. Park, H. 2007. Development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on Freeway Interchange Ramp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박효신, 2007.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연결로에서의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6. Seong, N., 2002. The Development of Traffic Crash Prediction Models at Freeway Interchanges,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22, No. 4-D, pp.617-625.(성낙문, 2002. 고속도로 인터체인지에서의 교통사고 예측모델의 개발, 대한토목학회지, 제22권, 제4-D호, 617-625) 

  7. Seo, H., 2009, Regression Analysis, 3rd Ed., Hannarea Academy, Seoul, Korea.(서혜선, 2009. 회귀분석 제3판, 한나래아카데미, 서울, 대한민국) 

  8. Yun, B., Oh, Y., Lee, S., Ji, D., 200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on Trumpet IC Ramp,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4, No. 7, pp.41-51(윤병조, 오영태, 이승환, 지동한, 2006. 트럼펫IC형식 연결로 교통사고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7호, pp.41-51) 

  9. Lee, D., Kim, Y., Seong, N., Kim, D., 2008. Development of Severity Model for Rural Unsignalized Intersection Crash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10, No. 3, pp.47-56.(이동민, 김응철, 성낙문, 김도훈, 2008. 지방부 비신호 교차로 교통사고 심각도 예측모형 개발,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10권, 제3호, pp.47-56) 

  10. Lee. S., Won. J., Ha, O.,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raffic Accident Ratio Model in Foggy Ar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3, No. 6, pp.171-177(이수일, 원제무, 하오근. 2008. 안개지역의 교통사고심각도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23권, 제6호, pp.171-177) 

  11. Yim, S., 2009. Factors affecting traffic accident occurrence rate, Ph.D. Dissertation, Mokwon university, Daejeon, Korea.(임선호, 2009. 교통사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박사학위 논문. 목원대학교, 대전, 대한민국) 

  12. Lee, H., Kum, K., Son, S., 2011. A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by grade for highway traffic accid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13, No. 3, pp.157-165.(이혜령, 금기정, 손승녀, 2011.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 등급별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13권 제3호, pp.157-165) 

  13. Jang, T., Park, H., 2010. Modeling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Related to Drinking-Driv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Vol. 30, No. 6, pp.577-585(장태연, 박현천, 2010. 음주교통사고 영향요인과 심각도 분석을 위한 모형설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D, 제30권 제6 D호, pp.577-585) 

  14. JO, W., Lee, Y., 2007. The Study on the Accident Injury Severity Using Ordered Probit Model, Conference of The Korea Institu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2007, No. 1, pp.149-155.(조원영, 이영인, 2007. 교차로 사고 심각도 분석-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ITS학회 학술대회, 제1호, pp.149-155) 

  15. Choi, J., 2003. Development of the Traffic Accident Severity Prediction Model & its Application at Signaled Intersection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최재원, 2003. 신호교차로 교통사고심각도 예측모형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16. Ha, O., Hu, E., Wom, J., 2008. A Development of Modes for Analyzing Traffic Accident Injury Severity for Signalized Interse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3, No. 2, pp.65-71(하오근, 허억, 원제무, 2008. 신호교차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사고심각도 모형개발, 한국안전학회지, 제23권 제2호, pp.65-71) 

  17. Han, S., Kim, K., Oh, H., 2008. What goes problematic in the Existing Accident Prediction Models and How to Make it Bet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10, No. 1, pp.19-29.(한상진, 김근정, 오훈미, 2008. 전통적 사고예측모형의 한계 및 개선방안 :Hauer 사고예측모형 소개 및 적용,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10권 1호, pp.19-29) 

  18. Han, S., Park, B.,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Severity Based on the Ordered Logit Model in the Case of Cheongju,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6, No. 2, pp.183-192(한수산, 박병호 (2011). "순서형 로짓모형을 이용한 사고 심각도 비교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6권 제2호, pp.183-192.) 

  19. Moshe Ben-Akiva, Steven Lerman(1985). Discrete Choice Analysis :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The MIT Press, Cambridge. 

  20. Duncan, C. S., Khattak, A. J., and Council, F. M. (1998). "Applying the Ordered Probit Model to Injury Severity in Truck-Passenger Car Rear-End Collis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365, pp.63-71. 

  21. Hauer. E(2004). "Statistical Road Safety Modeling".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97, TRB. 

  22. Kockelman, K. M. and Kweon, Y. J. (2001). Driver Injury Severity: An Application of Ordered Probit Model,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3. Levine, D., Stephan, D. Krehbiel, T. and Berenson, M. (2011). Statistics for Managers Using Microscopic Excel, 6th edition, Prentice Hall. 

  24. O'Donnell, C. J. and Connor, D. H. (1996). "Predicting The Severity of Motor Vehicle Accident Injuries Using Models of Ordered Multiple Choice,"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ume 28 No. 6, pp.739-753. 

  25. Washington, S. P., Karlaftis, M. G., and Mannering, F. L. (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 

  26. Zajac, S. S. and Ivan, J. N. (2003). "Factors Influencing Injury Severity of Motor vehicle-Crossing Pedestrian Crashes In Rural Connecticut,"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ume 35 Issue 3, pp.369-3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