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3 no.4, 2013년, pp.537 - 565
이경진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 최진영 (이화여자대학교)
본 연구는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준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영재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준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영재교육기관을 시도교육청 운영 영재교육원, 지역공동 영재학급,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기관의 교사들을 면담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평가준거들 중 3개의 평가준거에 대해서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특히 '운영인력의 전문성'과 '자문위원회 활용'의 경우 영재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교사들의 의견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투입평가준거들 중 13개의 평가준거에 대해서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특히 '교육 지원 인력 확보', '교구 및 자료 제공'의 경우 영재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교사들의 의견이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과정평가준거들 중 2개의 평가준거에 대해서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특히 '교강사 전문성 신장 노력'의 경우는 영재교육기관에 따라 교사들의 의견이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성과평가준거들 중 4개의 평가준거에 대해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특히 '차년도 예산 확보 계획'의 경우는 영재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교사들의 의견이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국가적 수준에서 영재교육과정 평가준거를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responses to curriculum evaluation of gifted curriculum in visual arts.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responses among three types of institutions for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for gifted education, comm...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영재교육진흥법 제1조에는 어떤 내용이 있는가? | 우리나라에서는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조기에 발굴하여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국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게” 한다는 내용의 영재교육진흥법 제1조를 근거로 하여 영재교육을 실행해 왔다. 2008년에 0. | |
우리나라 영재교육이 예술영재교육과정에 평가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특히 우리나라 영재교육은 수학·과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예술영재교육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할 수 있기 때문에 예술영재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예술영재는 수학·과학 영재와는 다른 능력과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술 영재교육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될 필요가 있다. | |
예술영재교육과정에 대한 평가가 당위성을 갖는 경우,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는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가? | 미술영재교육과정에 대한 평가가 당위성을 갖는다면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는 미술이라는 예술분야에 대한 시대의 변화와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다양한 맥락에서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는 기준에 따라 진행되어야 한다(이경진, 김선아, 2012). 무엇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는가는 미술영재교육에서 핵심적인 부분이 무엇인가를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김건희 (2012). 문화예술교육정책 안에서 미술영재의 선발현황과 개선방향. 문화정책논총, 26(2), 152-173.
김정희 (2003) 미술영재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미술가와 미술영재아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17, 48-78.
김정희 (2007). 미술영재교육과정 모형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1(2), 61-82.
김정희, 강병직 (2011). 미술영재교육학. 서울: 학지사.
김혜선 (2004). 미술영재교육 실태조사 연구. 미술교육논총, 18(3), 81-102.
백경미 (2012). 한국 미술영재교육 현장의 요구. 기초조형학연구, 13(3), 153-161.
백중렬 (2008). 초등미술교육의 현황과 미술영재의 육성방안. 미술교육논총, 22(2), 211-228.
서예원, 이재분, 박지은 (2011).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서예원, 이재분, 유경재, 정영옥, 박지은, 이경숙 (2012).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수립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서혜애, 조석희, 이은아, 한석실, 윤초희 (2003). 영재교육기관 평가체제 개발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경진 (2012).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 개발. 교육과정평가, 15(2), 217-240.
이경진, 김선아, 강병직, 최진영 (2012).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영재교육연구, 23(2), 193-213.
이정규, 김미숙, 박춘성, 이승희, 이행은 (2007). 영재학급.영재교육원 운영실태 및 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13).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지표 개발.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Clark, G., & Zimmerman, E. (2008). 미술영재교육: 이론과 실제. [홍소영 역]. 서울: 미진사. (원본출간년도: 2004).
Csikszentmihalyi, M. (2003). 창의성의 즐거움 [노혜숙 역], 서울: 북로드. (원본출간년도: 1996).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Boston, MA: Allyn & Bacon.
Fitzpatrick, J. L., Sanders, J. R., & Worthen, B. R. (2011). Program evalu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4th ed.). Boston, MA: Allyn & Bacon.
Gagne, F. (2003). Transforming gifts into talents: the DMGT as a development theory.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60-74). Boston, MA: Allyn & Bacon.
Provus, M. M. (1971). Discrepancy evaluation. Berkeley, CA: McCutchan.
Renzulli, J. (1999). What is this thing called giftedness, and how do we develop it?: A twenty-five year perspective.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3(1), 3-54.
Renzuilli, J, S., & Ward, V. S. (1969). Diagnostic and evaluative scales for differential education for gifted. Storrs, CT: University of Connecticut,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Scriven, M. (1967). The methodology of evaluation. In R. E. Stake (Ed.), Curriculum evalu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onograph Series on Evaluation, No. 1, pp. 39-83). Chicago: Rand McNally.
Stufflebeam, D. L. (2005). CIPP model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In S. Mathison (Ed.), Encyclopedia of evaluation (pp. 60-65). Thousand Oak, CA: Sage.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